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light77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06-15
    방문 : 68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umorbest_872608
    작성자 : light77
    추천 : 56
    조회수 : 2907
    IP : 134.68.***.18
    댓글 : 6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4/04/26 09:50:31
    원글작성시간 : 2014/04/26 05:54:23
    http://todayhumor.com/?humorbest_872608 모바일
    르몽드, 세월호 참사 행정부와 관리능력의 침몰
    <div><a target="_blank" href="http://thenewspro.org/?p=3457" rel="nofollow nofollow" target="_blank" style="cursor: pointer; font-family: 'lucida grande', tahoma, verdana, arial, sans-serif"><font size="3" color="#0070c0"><b>http://thenewspro.org/?p=3457</b></font></a></div> <div><br /></div> <div>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444444"><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inherit; font-size: inherit;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 inherit; font-weight: inherit; line-height: inherit;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르몽드, 세월호 참사 행정부와 관리능력의 침몰</span><br style="color: #141823" /><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inherit; font-size: inherit;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 inherit; font-weight: inherit; line-height: inherit;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朴, ‘살인적’ 발언으로 거리두기 시도</span><br style="color: #141823" /><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inherit; font-size: inherit;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 inherit; font-weight: inherit; line-height: inherit;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국가와 국가경제 운영에 광범위한 의문 불러 일으켜</span></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프랑스 유력 일간지 <르몽드>가 세월호 사고로 상식적인 기준에 맞춰 절제하지 못하는 한국 사회의 치부가 드러났다고 분석했다.</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지난 23일 <르몽드> 인터넷판은 도쿄에 상주하는 필립 메스메르 특파원이 쓴 “‘세월호’ 침몰, 한국 사회의 무절제함을 폭로하다”라는 제목의 분석기사를 실었다. 이 기사는 25일자 종이신문에도 실렸다.</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메스메르 특파원은 기사를 통해 이번 세월호 침몰 사고는 단순 선박 사고라기보다 ‘정부의 관리능력 침몰’이라고 꼬집었다. 박근혜 대통령은 “살인” 운운하며 선장 등에게 비난의 화살을 돌리고 있지만 자신과 정부로 향하는 수많은 비난들에 괴로울 것이라고 썼다. 특히 해군, 해경을 비롯한 여러 정부 기관들 사이의 불협화음을 비난의 예로 들었다.</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기자는 조선시대부터 내려오는 유교 전통으로 인해, 한국 사회가 초고속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이 사실이지만 동시에 사고에서 나타난 것처럼 맹목적 복종에 대한 부작용을 낳기도 했다고 봤다. 선실에서 기다리라는 선원들의 잘못된 지시를 곧이곧대로 따르다가 갇혀버린 고등학생들의 경우에 대한 이야기다. 앞만 보고 달려온 고속성장의 나라에서 인간성이 실종된 것은 아닌지 되물었다.</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기사는 또 지난 대선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국민의 안전에 대해 많은 약속을 했지만 지켜진 것은 없다고 지적했다. 처벌 조항도 없는 법 개정안 역시 무용지물이었다고 적었다. 비정규직이라는 불안정한 사회적 위치 그리고 제대로된 안전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사실 등을 떠올리면 세월호 선장과 선원들이 사고 당시 보여준 태도는 어쩌면 구조적인 것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기사는 대구 지하철 참사, 삼풍백화점 붕괴, 서해 페리호 침몰 등 수백명이 희생된 이전의 대형 사고들을 언급하며, 이전 사고의 죽음들에서는 어떤 교훈도 얻지 못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번 세월호 침몰 사고로 인해 “이 나라가 가진 무절제함이 온 천하에 드러나고 말았다”고 기사를 끝맺었다.</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다음은 뉴스프로의 <르몽드>보도 전문번역이다.</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번역 및 감수: Sang-Phil Jeong</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기사 바로가기 ☞ <a target="_blank" href="http://bit.ly/1hvfshc" target="_blank"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inherit; font-size: inherit;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 inherit; font-weight: inherit; line-height: inherit;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0000ff; text-decoration: none; outline: 0px; -webkit-transition: 0.2s ease; transition: 0.2s ease">http://bit.ly/1hvfshc</a></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Le naufrage du « Sewol », révélateur des excès de la Corée</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세월호’ 침몰, 한국 사회의 무절제함을 폭로하다</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LE MONDE | 23.04.2014 à 17h33 |</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Par Philippe Mesmer (Tokyo, correspondance)</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필립 메스메르 (도쿄, 특파원)</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a target="_blank" href="http://thenewspro.org/wp-content/uploads/2014/04/lemonde_0423_2014.jpg"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inherit; font-size: inherit;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 inherit; font-weight: inherit; line-height: inherit;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0000ff; text-decoration: none; outline: 0px; -webkit-transition: 0.2s ease; transition: 0.2s ease" target="_blank"><img class="aligncenter size-medium wp-image-3459" src="http://thenewspro.org/wp-content/uploads/2014/04/lemonde_0423_2014-297x300.jpg" alt="lemonde_0423_2014" width="297" style="margin: 0px auto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inherit; font-size: inherit;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 inherit; font-weight: inherit; line-height: inherit; vertical-align: baseline; opacity: 0.99; -webkit-transition: opacity 0.2s ease; transition: opacity 0.2s ease; max-width: 100%; height: auto; clear: both; display: block" /></a></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Les Coréens pleureront longtemps les noyés du Sewol. Le naufrage survenu le 16 avril à quelques encablures de la côte sud-est de la péninsule n’est pas seulement celui d’un ferry de 6 825 tonnes ou des compétences d’un capitaine, de son équipage et de son armateur. Il est celui d’une administration négligente et d’un gouvernement qui avait fait de la protection des citoyens une priorité de son action.</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한국인들은 세월호 희생자들을 두고 오랫동안 슬퍼할 것이다. 지난 4월16일 한반도의 남서쪽 연안에서 벌어진 침몰 사고는 단순히 6825톤짜리의 페리호가 물에 잠긴 것이거나, 선주와 선장을 비롯한 직원들의 부족한 능력에서 온 것이 아니다. 시민을 보호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삼아야 할 행정부와 부주의한 관리 능력이 침몰한 것이다.</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La présidente, Park Geun-hye, a bien tenté de prendre ses distances en appelant à la fermeté face au comportement « meurtrier » de l’équipage et aux égarements des fonctionnaires. Elle aura de la peine à échapper aux critiques formulées contre son administration.</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박근혜 대통령은 세월호 직원들의 “살인적” 행동과 일부 공무원들의 일탈을 단호하게 꾸짖으며 거리를 두려고 시도하고 있다. 그는 정부의 행정능력에 대해 제기되는 비판들을 피하는 일이 괴롭기만 할 것이다.</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Car les reproches sont nombreux. Les premiers corps récupérés ne l’ont pas été par des gardes-côtes ou des marins, mais par des plongeurs volontaires. Le centre national de gestion des crises basé à Séoul a dû s’en remettre à la télévision pour suivre les progrès des secours. L’armée n’a pu utiliser le Tongyeong, premier navire sud-coréen de sauvetage en mer, terminé en 2012 et ayant coûté 159 milliards de wons (110 millions d’euros). Les différents services impliqués n’ont jamais su se coordonner ni répondre efficacement à l’urgence de la situation.</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정부에 대한) 비난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처음으로 인양된 시신은 해경이나 해군이 아니라 자원봉사에 나선 잠수부에 의해 뭍으로 옮겨졌다. 서울에 위치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구조상황을 따라가기 위해 텔레비전을 봐야 했다. 해군은 지난 2012년 1590억원을 주고 완성한 한국 최초의 구난함정 통영함을 사용할 수 없었다. 구조에 참여하고 있는 여러 기관들은 전혀 조화롭지 않았고, 응급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도 않았다.</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Ajoutées aux dizaines de disparus – pour la plupart des lycéens de 17 ans –, ces défaillances sont un véritable traumatisme. Certes, comme souvent en Corée, la population a fait preuve d’un bel élan de générosité et de solidarité. Des milliers de volontaires se sont précipités vers Jindo pour aider les familles de victimes. Quelque 590 000 colis ont afflué de tout le pays.</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대부분이 17살의 고등학생인 10여명의 실종자가 사망자로 바뀌자, 이는 심각한 충격으로 받아들여졌다. 물론 한국에서 종종 그러하듯, 국민들은 아름다운 연대정신을 보여주고 있다. 수많은 자원봉사자들이 희생자 가족들을 돕기 위해 진도로 발걸음을 재촉했고, 59만 건의 소포가 전국 각지에서 답지했다.</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Certains s’interrogent néanmoins sur des aspects importants de la société coréenne, comme le respect obsessionnel de la hiérarchie. Ainsi Jasper Kim, dirigeant de l’institut de recherche Asia-Pacific Global de Séoul, estime que la société reste « proche de celle de la dynastie Choson [1392-1910]». L’obéissance liée à la tradition confucéenne reste très ancrée et, de fait, a contribué au développement rapide du pays.</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에서는 한국 사회의 계급에 따른 강박적 존중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서울 아시아 태평양 글로벌 연구소의 제스퍼 김 소장은 한국 사회가 “조선 왕조(1392-1910) 사회에 가깝게” 남아있다고 주장한다. 유교 전통에서 비롯된 복종은 깊이 뿌리내렸고, 국가의 급속한 발전에 기여한 것도 사실이다.</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Dans le cas du Sewol, ceux qui n’ont pas suivi les instructions ont survécu. Ceux qui ont obéi, en l’occurrence les lycéens restés sagement dans leurs cabines, ont disparu. « Dans les pays développés, la règle de base en situation d’urgence est de suivre les instructions données par des responsables, note Lee Won-ho, professeur d’ingénierie de l’université Kwangwoon. Mais pour que cela fonctionne, ajoute-t-il, il faut des règles claires et des responsables correctement formés pour prendre la bonne décision. »</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세월호의 경우 선박 직원들의 지시를 따르지 않은 사람들이 살아남았다. 고등학생들처럼 지시에 따라 선실에 남아있던 사람들은 사라져버린 것이다. 광운대학교 공대 이원호 교수는 “선진국에서는 위급한 상황이 벌어졌을때 기본이 책임자가 내리는 지시에 따르는 것”이라며 “하지만 이런 가정이 통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규칙과 올바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교육받은 제대로 된 책임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Manifestement, cela n’a pas été le cas le 16 avril. Et cela a suscité une interrogation plus large sur le fonctionnement du pays et de son économie. Fondé sur la vitesse et obsédé par la compétitivité, il apparaît aujourd’hui inabouti et peut sembler, dans une certaine mesure, négliger les vies humaines.</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명백하게, 4월 16일의 경우는 여기에 해당하지 않았다. 또한 이번 일은 국가와 국가 경제의 운영에 대한 광범위한 의문을 불러 일으켰다. 경쟁에만 사로잡혀 속도에 의해 세워진 것은 오늘날 성공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어떤 의미에서는 인간적인 삶을 무시해버린 것으로도 보인다.</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AUCUNE SANCTION SÉRIEUSE</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엄한 처벌도 없어</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Pendant sa campagne présidentielle de 2012, Park Geun-hye avait promis de faire de la sécurité des citoyens une priorité. Plus d’un an après son entrée en fonctions, peu de choses ont changé. Une nouvelle structure a été mise en place, en février, sous la responsabilité du ministre de la sécurité et de l’administration publique, Kang Byung-kyu. Or M. Kang n’est pas considéré comme un expert de ces questions. Sur le plan légal, des règles existent qui encadrent la sécurité sur les bateaux, mais aucune sanction sérieuse n’est prévue en cas de manquement.</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박근혜는 지난 2012년 대선 캠페인에서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겠다고 약속했다. 대통령직을 맡은지 1년이 조금 지난 지금 바뀐 것은 거의 없다. 지난 2월 강병규 안전행정부 장관의 주도 하에 법 개정안이 마련됐다.(‘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역주) 하지만 강 장관은 이 문제에 있어 전문가로 알려진 인물은 아니다. 이 개정안에 따르면 해양 안전에 대한 규정들이 포함돼있지만 법규를 위반했을 때 적용되는 엄한 처벌은 어디에도 없다.</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L’équipage du Sewol et son attitude illustrent ces limites. Le capitaine était sous contrat précaire, tout comme une dizaine de marins. L’équipage n’avait effectué aucun exercice de sécurité. L’armateur Chinghaejin Marine aurait fait pression pour aller toujours plus vite.</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세월호 직원들과 그들의 태도는 그 한계를 잘 보여준다. 선장 뿐 아니라 10여명의 선원들은 비정규직이었고, 직원들은 어떤 안전교육도 받지 않았다. 선주인 청해진 해운은 언제나 빨리 운행할 것을 종용했을 것이다.</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 Les administrations Lee Myung-bak et Park Geun-hye considèrent la régulation de manière simpliste. Les règles, c’est mal ; la dérégulation, c’est bien », juge le quotidien de gauche Kyunghyang. Et le journal de dénoncer une société où « les emplois à responsabilités importantes sont confiés à des travailleurs précaires ».</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좌파 성향의 일간지 <경향신문>은 “이명박과 박근혜는 규제란 것을 아주 단순하게 바라본다. 규제는 악이고, 규제 완화는 선이라는 식이다”고 평가했다. 이 신문은 “불안정한 일자리를 가진 노동자들에게 과도한 책임을 지우는” 사회를 고발했다.</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En 2003, de graves erreurs de communication avaient conduit à la mort de 193 personnes dans le métro de Daegu (centre du pays). En 1995, le grand magasin Sampoong de Séoul, mal conçu, s’était effondré, faisant plus de 500 morts. En 1993, le naufrage d’un ferry avait – déjà – fait 293 morts. La Corée du Sud figure aujourd’hui en tête du classement des pays de l’OCDE en termes de décès par accident.</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2003년에는 소통 부재라는 심각한 실수로 인해 중부 지역의 대구시 지하철에서 193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1995년에는 잘못 지어진 서울의 삼풍백화점이 붕괴해 500명이 넘는 사망자를 내기도 했다. 1993년에도 페리 선박이 침몰한 적이 있는데, 293명이 사망했다. 오늘날 한국은 OECD 국가 중 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에서 수위권을 차지하게 됐다.</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Le naufrage du Sewol s’ajoute à cette liste déjà trop longue, comme si les victimes des drames d’hier étaient mortes pour rien. « Ces terribles tragédies continuent d’arriver car la société coréenne s’est uniquement focalisée sur le développement rapide, considérant les règles de sécurité comme des entraves », observait un éditorial du quotidien conservateur Chosun Ilbo. « Nous devrions baptiser le 16 avril “jour de l’infamie” et renouveler notre engagement à ne pas léguer aux générations futures un pays aussi honteux », a commenté le très conservateur quotidien Dong A. Et le Hankyoreh, pourtant d’un bord opposé, de renchérir : « Dans quel pays vivons-nous ? »</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세월호의 침몰은 이미 긴 대형 참사 리스트에 한 줄을 더했다. 마치 지난날에 희생된 이들이 주는 교훈은 아무것도 없는 듯하다. 보수신문 <조선일보>는 사설에서 “안전 규정을 족쇄로 인식하며, 성장에만 초점이 맞춰있기 때문에 한국 사회에서는 이같은 엄청난 비극이 계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극보수의 <동아일보>는 “4월16일을 ‘치욕의 날’로 정해야 한다. 이처럼 부끄러운 나라를 미래 세대에 물려주지 않기 위해 새롭게 맹세해야 한다”고 적고 있다. 반대 진영의 <한겨레>는 “우리는 어떤 나라에서 살고 있는가?”라며 한술 더떴다.</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Preuve que le naufrage du Sewol n’a pas fait que des centaines de morts et des milliers de malheureux : il a exposé le pays à ses propres excès.</p> <p style="margin: 0px 0px 14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family: 굴림, Arial; font-size: 14px; line-height: 21.979999542236328px; vertical-align: baseline; color: #141823">세월호 침몰이 남긴 것은 수백명의 사망자와 수백만의 슬픔에 찬 이들 뿐이 아니다. 이번 사고로 이 나라가 가진 무절제함이 온 천하에 드러나고 말았다.</p></div>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4/04/26 05:54:38  59.29.***.80  Illuminata03  425577
    [2] 2014/04/26 06:13:28  192.0.***.184  봄소풍  498127
    [3] 2014/04/26 06:17:20  182.226.***.130  비극적상상력  350460
    [4] 2014/04/26 06:21:56  70.211.***.240  pacman  377515
    [5] 2014/04/26 06:52:18  211.234.***.133  썩은낙지  125155
    [6] 2014/04/26 07:46:51  211.36.***.207  wrath  413918
    [7] 2014/04/26 07:58:51  14.42.***.150  Wanⓖ꽃님  146219
    [8] 2014/04/26 09:10:47  211.238.***.13  지으니!  392367
    [9] 2014/04/26 09:26:18  189.182.***.243  Johnotto  183489
    [10] 2014/04/26 09:50:31  106.246.***.107  초복아이디  254821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이코노미스트, 박근혜 마지막 기회, 더 이상 기회 없어 [9] light77 14/06/10 22:52 6939 64
    내셔널 지오그래픽, 미국 4번째 광우병 사망자 발생 [13] light77 14/06/06 17:43 6782 83
    머큐리 뉴스, 재미 한인 분노의 항의 시위 light77 14/05/24 16:47 2394 41
    한국 정권, 미시 USA에 대대적인 종북 씌우기 [17] light77 14/05/19 07:48 5614 108
    獨, 보수 학술지 세월호 참사 원인 심층 분석 [14] light77 14/05/16 10:41 3369 69
    WSJ, YTN 사진합성 보도, 세계적 대굴욕 [30] light77 14/05/13 12:25 8347 129
    로이터, 승객들 놔두고 배를 포기하라 [20] light77 14/05/13 07:56 8534 104
    AP, 숫자도 셀 줄 모르는 정부라니 [2] light77 14/05/09 14:06 3659 43
    "주독일 한국문화원 윤종석 원장의 사퇴를 촉구합니다." [16] light77 14/05/08 08:06 3613 127
    BBC, ‘가만히 있으라고?’ 승객들 스스로 탈출 [27] light77 14/05/05 12:29 8815 102
    WSJ, 분노한 한국 시위대에 주목 [13] light77 14/05/04 12:04 5442 115
    CNN, 세월호 마지막 영상 방영, 온 세계가 충격 [21] light77 14/04/30 15:38 7074 111
    르몽드, 세월호 참사 행정부와 관리능력의 침몰 [6] light77 14/04/26 09:50 2907 56
    獨 언론, 얼음공주 박근혜, 도살자 박정희 딸 [27] light77 14/04/25 10:15 4713 102
    BBC, 여전히 너무너무 느린 구조작업 [11] light77 14/04/21 08:40 4995 100
    獨 권위지 FAZ, 세월호 사고 박근혜에 치명타 [14] light77 14/04/21 08:10 4296 67
    CNN, 세월호 물속의 어떤 물체와 부딪혔을 가능성 [13] light77 14/04/19 11:02 8441 35
    BBC, 한국 국정원 뼈를 깎겠다? [13] light77 14/04/16 13:06 4534 68
    르몽드, 한국 파업 보복 탄압 상세히 보도 [6] light77 14/04/16 11:32 3574 74
    외신에 비친 사진 한 장, ‘박근혜 사퇴’ [12] light77 14/04/14 10:44 8662 110
    CNN, 무인항공기 장난감 가게 원격조정 비행기와 유사 [35] light77 14/04/12 14:23 8310 112
    외신 돌아온 김어준, 韓 언론자유 리트머스 시험지 [5] light77 14/04/11 10:19 4407 67
    일본인도 보는 것을 한국인만 못 보는 것 [15] light77 14/04/10 23:36 10327 87
    월스트리트 저널, 언론 자유 침해 [2] light77 14/04/08 23:02 2818 44
    알자지라 생방송, 한국 자살 유행병 특별 기획 조명 [4] light77 14/03/29 21:16 3214 56
    국정원 직원 자살 미수 日 매체 드라마로 착각? [6] light77 14/03/29 13:42 4144 48
    월스트리트 저널, 국정원 간부 자살 이례적 속보 [12] light77 14/03/24 17:46 3835 48
    한국 국정원 정보기관인가? 범죄집단인가? [11] light77 14/03/22 16:19 2890 81
    佛 방송, ‘갈수록 비밀스럽지 못한 국정원’ 비아냥 [8] light77 14/03/14 03:12 3402 69
    중국 유력지, 중국 공문서 조작 간첩 사건 입 열다 [4] light77 14/03/11 13:17 4039 58
    [1] [2] [3] [4] [5] [6] [7] [8] [9] [10]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