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light77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06-15
    방문 : 68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umorbest_818931
    작성자 : light77
    추천 : 60
    조회수 : 3326
    IP : 67.167.***.105
    댓글 : 19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4/01/13 11:02:13
    원글작성시간 : 2014/01/13 08:47:34
    http://todayhumor.com/?humorbest_818931 모바일
    외신, 한국정부는 인권탄압 경험 무기 수출 국가?

    외신, 한국정부는 인권탄압 경험 무기 수출 국가?
    -캄보디아 유혈진압 규탄 시위 전 세계로 확산
    -한국 정부 배후 조정설에 한국 정부 곤혹


    캄보디아 노동자들의 임금인상 시위 유혈진압의 배후에 한국정부가 있다는 글로벌 포스트의 보도가 나가 한국정부가 매우 곤혹스런 입장에 처한 가운데 캄보디아 정부를 규탄하는 시위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고 ‘Asian Correspondent’가 10일 전했고 이어서 토픽스가 이 기사를 다시 보도했다. 특히 이 기사는 서울 외무부 앞에서 국제민주연대가 기자회견을 하는 사진을 실으며 이번 시위에서 한국정부가 결코 무관하지 않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다섯 명의 사망자와 적어도 39명의 부상자를 낸 이 살인적인 진압을 비난하는 온 세계 행동 주간의 일환으로 수백 명의 시위자들이 방콕에서 베를린에 이르기까지 해외 캄보디아 대사관 앞에서 시위를 벌여왔다고 전한 이 기사는 ‘11개 도시에서의 집회를 기획하고 있는, 여성, 법률, 발전에 관한 아시아태평양 포럼 (APWLD)은 전세계 노동자들을 위한 연대를 보여줌으로써 캄보디아 정부가 가난한 노동자들을 향해 보인 무지비함이 용납될 수 없다는 것을 알린다’고 전했다. 이 기사는 방콕의 규탄시위 상황을 자세하게 전한 뒤 한국의 운동가들이 서울 외교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캄보디아에서 있었던 진압에 한국 정부가 연루되었는지에 대해 진실을 밝히라고 정부에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이 기사는 한국 대사관 페이스 북 페이지에 올랐다 삭제한 ‘캄보디아 정부에게 "상황의 심각성을 이해하고 신속히 행동"하도록 정부를 움직인 데에 자신들의 공이 컸다고 언급했다’는 대사관 포스팅 글을 언급해 배후에 한국 대사관의 개입이 있었음을 시사했다. 바레인 최루탄 수출중지에 이어 외신들의 연일 계속되는 캄보디아 유혈진압의 배후로 한국 정부가 지목되는 보도로 한국은 국내 상황에서 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비인권적인 수출국가로 낙인 찍혀가는 듯하다. 바레인에 한국이 최루탄 수출을 중지했다는 소식은 CNN, 뉴욕타임스, BBC를 비롯한 전 세계 유명 언론매체에 일제히 보도된 바 있다.

    미 토픽스는 미국 10대 뉴스 사이트로 미국내 각 도시의 1240만 명에게 뉴스와 토론을 연결해 주는 선도적인 뉴스 커뮤니티이다. 토픽스는 또한 매달 520만 모바일 방문객을 가지고 있는 2번째로 가장 큰 모바일 뉴스 사이트이다. 아시안 코레스판던트는 전문 언론인과 뉴스 블로거들이 함께 만드는 웹 뉴스 사이트로서 2009년에 만들어졌다. 주로 아시아 지역의 뉴스를 다룬다.

    다음은 정상추가 번역한 보도전문이다.

    번역 감수: 임옥

    아시안 코레스판던트 사 바로가기 http://bit.ly/1cZ8ZEp

    미 토픽스 사 바로가기 http://bit.ly/1heODMu


    Civil society groups ramp up pressure on Cambodian govt

    캄보디아 정부 가중되는 국제 시민사회 압력 직면

    By Asian Correspondent Jan 10, 2014 6:39PM UTC



    The Korean House for International Solidarity (KHIS) held a press conference 
    outside the Korean Foreign Ministry in Seoul, South Korea earlier today. Pic: AP.
    국제민주연대가 오늘 아침 한국 서울 외무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By Robert Baird

    HUMAN rights activists have condemned the Cambodian government over its deadly crackdown on striking garment workers a week ago today.

    인권운동가들은 일주일 전 파업 중인 의류산업 노동자들에게 가한 살인적 진압에 대해 캄보디아 정부를 비난해왔다.

    Hundreds of protesters have rallied in front of Cambodian embassies from Bangkok to Berlin as part of a global week of action condemning the violence that left five dead and at least 39 injured.

    다섯 명의 사망자와 적어도 39명의 부상자를 낸 폭력사태를 비난하는 온 세계 행동 주간의 일환으로 수백명의 시위자들이 방콕에서 베를린에 이르기까지 해외 캄보디아 대사관 앞에서 시위를 벌여왔다.

    On Friday, January 3, following a largely peaceful two-week strike over wages, military police moved on a protest at the Canadia Industrial Park in Phnom Penh, firing live ammunition, teargas and grenades.

    임금인상을 요구하는 전체적으로 평화로운 이주 간의 시위에 이어 1월 3일 금요일 군경이 프놈펜에 있는 카나디아산업지구에서 벌어지고 있던 시위대 쪽으로 이동하여 탄약, 최루탄 그리고 수류탄을 발사했다.

    The Asia Pacific forum on Women, Law and Development (APWLD), coordinating demonstrations in 11 cities, said that the display of solidarity for the workers around the world shows the brutality of the Cambodian government towards poor workers is unacceptable.

    11개 도시에서의 집회를 기획하고 있는, 여성, 법률, 발전에 관한 아시아태평양 포럼 (APWLD)은 전세계 노동자들을 위한 연대를 보여줌으로써 캄보디아 정부가 가난한 노동자들을 향해 보인 무지비함이 용납될 수 없다는 것을 알린다고 말했다.

    “We want to say that the Cambodian government should listen to their own people protesting, but since they won’t, it’s up to the rest of the world to stand up,” APWLD’s regional coordinator Kate Lappin said.

    여성, 법률, 발전에 관한 아시아태평양 포럼의 지역 코디네이터 케이트 라핀은 “캄보디아 정부는 시위를 하는 자국민의 말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그러나, 정부가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므로 이에 맞서 싸울지는 전세계가 결정할 몫이라고 우리는 말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In Bangkok, more than 100 protestors marched to the Cambodian embassy around noon, carrying banners such as “protest is a basic human right.”

    방콕에서는 정오 경 100명이 넘는 시위자들이 “시위는 기본적 인권이다”라고 적힌 현수막을 들고 캄보디아 대사관을 향해 행진했다. 

    Pranom Somwong, who led the march, challenged the Cambodian government to produce evidence that the striking workers attacked police, which had been blamed for tri***ing the crackdown.

    행진을 이끈 프라놈 솜웡은 캄보디아 정부에게, 진압의 도화선이 되었다고 주장되는 파업노동자들의 경찰공격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라고 요구했다.

    “You cannot just say ‘our position is everyone who committed the violence should be prosecuted’ if violence by the military isn’t being addressed,” she said.

    또한 “군대의 폭력을 간과한다면, 정부는 ‘우리의 입장은 폭력을 저지르는 모든 사람이 처벌되어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In Seoul, protestors held a press conference in front of the Kore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is morning, demanding the government come clean about its involvement in the crackdown.

    오늘 아침 서울의 외교부 앞에서 시위자들은 기자회견을 갖고, 캄보디아에서 있었던 진압에 우리 정부가 연루되었는지에 대해 진실을 밝히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Eun-ji Kang of the Korean House for International Solidarity (KHIS) says Korean companies should take full responsibility for the loss of life.
    “We believe the lives of the people are much higher and more valuable than the enterprises in Cambodia,” she said.

    국제민주연대의 (KHIS) 강은지씨는 한국회사들이 인명 피해에 대한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는 사람의 생명이 캄보디아에 있는 기업들보다 훨씬 소중하고 가치있다고 믿는다" 라고 그녀는 말했다. 

    The Korean government has faced a stream of criticism over its role in the crackdown after its embassy in Phnom Penh admitted – then denied – it had met with the Cambodian military ahead of the crackdown.

    한국 정부가 진압이 있기 전 캄보디아 군부를 만났음을 프놈펜의 한국대사관이 인정한 후에 - 나중에 부인했지만 - 이번 진압에서의 한국 정부의 역할에 대해 비난 세례를 받아왔다.

    In a post on the its Facebook page, which has been de***d, the embassy took credit for convincing the Cambodian government to “understand the seriousness of this situation and act swiftly.”

    지금은 삭제되었지만 대사관 페이스북 페이지의 포스팅에서, 대사관은 캄보디아 정부에게 "상황의 심각성을 이해하고 신속히 행동"하도록 정부를 움직인 데에 자신들의 공이 컸다고 언급했다. 

    Since then the embassy in Phnom Penh has denied allegations it urged the use of force on protestors, saying such claims were “ill-intentioned” and based on false information.

    그 이후 그런 주장들은 "악의적"이며 잘못된 정보에 근거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프놈펜의 한국대사관은 시위대에 무력을 행사하도록 촉구한 혐의를 부인해왔다.

    Korea is one of the largest investors in Cambodia, with about 60 South Korean-owned factories in the country – six in the Canadia Industrial Park where the protests occurred.

    한국은 캄보디아에서 가장 큰 투자국들 중 하나로서 캄보디아에 약 60개 정도의 한국인 소유 공장이 있고, 이번에 시위가 발생한 카나디아산업지구에는 여섯 개의 공장이 있다.

    Most of the estimated 350,000 strikers have returned to work, and the workers’ push for a minimum wage rise from $80 to $160 a month remains unfulfilled.

    35만명 정도로 추정되는 파업 참가자들 대부분은 일터로 돌아갔고 월 최저 임금을 80 달러에서 160 달러로 인상해줄 것을 요구했던 노동자들의 요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With some of the lowest wages in Southeast Asia, Cambodian workers were promised a $160 minimum wage by the opposition party Cambodia National Rescue Party (CNRP) coalition if the party won election. Despite losing the poll, MP Mu Sochu says the party is still determined to push for the reform.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낮은 임금을 받는 캄보디아 노동자들은 통합야당인 캄보디아 구국당 (CNRP)이 선거에 승리한다면 최저 임금 160 달러를 받게 해주겠다는 약속을 받았다. 선거에서 패배했지만 무소추 의원은 당은 결단코 이 개혁안을 추진하겠다고 말한다.

    Ms Sochua slammed the Hun Sen government’s actions, saying the deployment of military on civilian populations is unconstitutional and can only be issued by decree of the King during a state of emergency.

    소추 의원은 민간인에 대해 군을 동원하는 것은 헌법을 위반하는 것이고 국가 비상사태시 왕의 재가에 의해서만 가능한 일이라고 말하며, 훈센 정부의 행동을 강력히 비난했다. 

    “The fact is [Prime Minister] Hun Sen knows about this, and this is not the first time that more-than-excessive force as used to crackdown on civilians,” she said. “This is a culture of impunity that has for too long existed in Cambodia.”

    "사실은 훈센[총리]는 이것을 알고 있으며, 시민들을 탄압하기 위하여 공권력이 지나치게 남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라고 그녀는 말했다. "이것이 캄보디아에 지나치게 오랫동안 존재해 온 면책특권의 문화다." 

    Concerns have also been raised for 23 young men arrested during the crackdown, who are being held in the notorious and remote CC3 prison, located near the Vietnam border.

    진압시 체포되어 베트남 국경 근처에 위치한 악명높고 외진 CC3 교도소에 수용된 23명의 젊은 남성들에 대한 걱정도 있다.

    They could wait up to 18 months for trial, and if convicted face 5 years’ imprisonment as well as fines up to $2,500 – or two and a half years’ worth of the current wages – according to the the Cambodian rights group LICADHO.

    그들은 재판을 받기까지 최고 18 달을 기다려야 할 수도 있고, 만약 유죄판결을 받는다면 5년 징역형과 아울러 최고 2,500 달러의 벌금 - 또는 현재 임금 2년 반치에 해당하는 액수 - 을 받게 될 것이라고 캄보디아 인권단체인 LICADHO은 말했다. 

    Further demonstrations are set to take place in Berlin, Manila and Istanbul in the coming days.

    추가적으로 시위가 베를린, 마닐라, 그리고 이스탄불에서 조만간 열릴 예정이다.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4/01/13 09:24:49  175.252.***.196  우울한짜장  471390
    [2] 2014/01/13 09:58:01  121.130.***.158  알투파이퍼  433434
    [3] 2014/01/13 09:59:41  121.88.***.90  추태산발호미  429659
    [4] 2014/01/13 10:09:52  222.101.***.54  빠르티잔  347539
    [5] 2014/01/13 10:10:33  211.246.***.18  機巧少女  187118
    [6] 2014/01/13 10:27:45  61.102.***.18  해피콜Ω  117721
    [7] 2014/01/13 10:38:25  118.222.***.150  오늘다음내일  338690
    [8] 2014/01/13 10:44:19  1.220.***.234  조심스런생각  438470
    [9] 2014/01/13 10:48:39  121.66.***.170  모두의행복을  510546
    [10] 2014/01/13 11:02:13  175.210.***.49  암시리어스  386852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 [2] [3] [4] [5] [6] [7] [8] [9] [10]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