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전자기파동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10-07
    방문 : 1524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umorbest_950197
    작성자 : 전자기파동
    추천 : 102
    조회수 : 9955
    IP : 218.235.***.136
    댓글 : 22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4/09/23 03:34:29
    원글작성시간 : 2014/09/22 21:39:47
    http://todayhumor.com/?humorbest_950197 모바일
    [시뮬레이터] 태양은 얼마나 먼 거리에서까지 보일까?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384299wBpiNWly8XeH5UCUJAHlE9cA9qB6Hb.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65.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태양은 한 동안 태양계에선 위엄 넘치지만 우주에서는 사실 명함도 못 내미는 동네 스타 정도로 오랫동안 생각해왔었습니다.</div> <div>사실 과학을 학교에서 배운지 좀 오래된 사람들은 여전히 그렇게 알고 있기도 하죠. 20대 중~후반까지도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많습니다.</div> <div><br></div> <div>하지만 우주가 하도 넓어서 태양보다 크고 밝은 별들이 많이 보이는 것으로 착각 되어서 그렇지 실제로 태양은 꽤 밝은 별이라고 다시 정립되었습니다.</div> <div><br></div> <div>그렇다면 태양은 실제로 얼마나 멀리서 까지 보일까요?</div> <div>시뮬레이터를 이용해서 태양으로 부터 한 번 멀어져 봤습니다.</div> <div><br></div> <div>참고로 오른쪽 위의 별은 금성입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384573ZYkyCSuUibqevYZTw516nitmX.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67.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거리 0.43AU(64,327,084.4km)</div> <div>대략 수성이 위치하는 거리입니다. 인간 기준으로는 엄청나게 먼 거리같지만 우주에서는 매우 가까운 거리죠.</div> <div><br></div> <div>실시등급은 -28.6등급입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384861nZgRQYFvm6AA.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69.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거리 1AU(149,597,871km)</div> <div>태양과 지구정도의 거리입니다. 실제로 지구의 공전궤도는 타원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1AU보다 가깝거나 멀어질 때가 있습니다.</div> <div>재미있는 것은 1AU보다 가까울 때가 겨울이고 멀 때는 여름이라는 점이죠.</div> <div><br></div> <div>실시등급은 -26.77등급입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385060KgY1XGwPfv6tLw8vIPrYVyr6KEDj6r.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73.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거리 5AU(747,989,354km)</div> <div>대략 태양과 목성과의 거리정도 되는 위치입니다. 태양계 내에서 태양은 생각보다 그다지 작아지지 않네요.</div> <div><br></div> <div>실시등급은 -23.27등급입니다.</div> <div><br></div> <div>여담이지만 우측상단에 자세히 보시면 목성이 보입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385302VXoijF9WZLlKpdtLS16D.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75.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거리 20AU(2,991,957,414km)</div> <div>갑자기 확 멀어져봤습니다만...생각보다 티가 안 납니다. 태양계 내에서는 몇십천문단위 정도로는 티도 안 나네요.</div> <div>그래도 확실히 멀어지긴 멀어졌다고 태양광이 약해져서 가려져있던 다른 별들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div> <div><br></div> <div>좌측 아래쪽에 보이는 별이 스피카입니다.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초신성 후보죠.</div> <div>우측에 태양에 가까운 별은 목성입니다. 오히려 태양에서 멀어졌더니 태양빛이 약해져서 목성이 더 밝게 보이게 됐습니다.</div> <div>금성은 태양에 바짝 붙어있어서 자세히 보셔야 보입니다.</div> <div><br></div> <div>태양의 실시등급은 -20.26등급입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3856895wiImi4JRuiVy3gVTSF.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80.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거리 60AU(8,975,872,240km)</div> <div>왜행성 에리스가 있는 거리 정도입니다. 말하자면 태양계의 끝자락이죠. 물론 오르트구름까지 치면 더 멀긴 하지만...</div> <div>보통 사람들은 마지막 왜행성정도까지를 태양계의 끝이라고 생각할테니 이정도에서 찍어봤습니다.</div> <div><br></div> <div>태양광이 상당히 줄어서 다른 별들이 많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div> <div>실시등급은 -17.88등급입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385991P7YXXhhXmcEtKVc.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82.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거리 100AU(14,959,787,100km)</div> <div>태양과 지구의 거리의 100배에 달하는 거리까지 왔습니다만...여전히 "우리 태양"이라는 느낌이네요.</div> <div><br></div> <div>실시등급은 -16.77등급입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3862352NiqDjulic.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84.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거리 500AU(74,798,935,500km)</div> <div>음.......여전히 "우리 태양"이라는 느낌입니다. 그래도 이제 태양광이 약해졌다고 가려졌던 별들이 꽤 많이 보이게 됐습니다.</div> <div>하지만 여전히 태양빛은 강렬합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3863674lToMel8x.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86.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태양빛에 가려진 별들을 표시해보면 이렇게나 많은 별들이 태양빛 때문에 가려져서 안 보이고 있는 상태거든요.</div> <div>태양이 얼마나 밝은지 새삼 놀랍습니다.</div> <div><br></div> <div>실시등급은 -13.27등급입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386475O3sJ7tJh691KUxq5KRQ4eL.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87.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거리 1,000AU(<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149,597,871,000km)</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태양과 지구의 거리에 1000배입니다. ....여전히 우리 태양이라는 느낌이네요. 코앞에 있는 항성이라는 티가 납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실시등급 -11.77등급입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span>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386846hdZ81sTf5BB.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89.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1광년(</span>9,460,730,472,580.8km)</div> <div>약 63,241.1AU입니다.</div> <div><br></div> <div>이제서야 "우주의 어떤 별"이라는 느낌입니다. 이제는 태양빛 때문에 가려져서 안 보이는 별도 없습니다.</div> <div><br></div> <div>실시등급 -2.76등급입니다.</div> <div>여전히 마이너스 등급이네요.</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387156IAGrIaQ1CRgQkM99YK9OmwZxBrJpxJQ.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91.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거리 1pc(30,856,774,878,505km)</div> <div>약 206,265AU이며 약 3.26광년입니다.</div> <div><br></div> <div>매우 많은 별이 보이지만 그래도 여전히 태양은 밝습니다.</div> <div>pc(파섹)이라는 단위는 지구에서 6개월의 시차를 두고 관측했을 때 연주시차가 각거리로 1"(초)인 곳을 나타내는 거리....입니다.</div> <div>모르긴 몰라도 어쨋든 드럽게 먼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div> <div><br></div> <div>실시등급 -0.2등급입니다. 놀랍게도 여전히 마이너스등급이네요.</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387469W3RDDBCM8a9RfubQwvYelOQFEK.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93.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거리 10광년(<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94,607,304,725,808km)</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이제 많은 별들 속에 묻혀 알아보기 어렵게 됐습니다. 하지만 밝은 별들만 찝어본다면 여전히 태양은 그 목록에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div> <div>우측 아래쪽의 가장 밝은 별은 지구의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입니다. 스피카는 상당히 먼거리라 그런지 처음 보였던 위치에서 거의 변하지 않은 자리에 있습니다.</div> <div><br></div> <div>실시등급은 2.23등급입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387921guLEVJV7fPikdgLgzmu.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96.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거리 10pc(<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308,567,748,785,050km)</span></div> <div>약 32.6광년</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별의 절대등급을 나타내는 거리인 10파섹입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제는 표시를 하지 않으면 태양을 알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매우 먼 거리까지 왔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제는 태양보다 밝은 별들이 많이 보입니다. 대부분 지구에서 인간들이 이름을 붙여준 별들입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아크투루스, 알타이르, 스피카, 시리우스 등등...많은 네임드 스타가 있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태양의 밝기는 실시등급이자 절대등급인 4.8등급입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span>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388349EIXPTuMaOHa.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102.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거리 20pc(</span>617,135,497,570,100km)</div> <div>약 65.2광년입니다.</div> <div><br></div> <div>엇비슷한 거리의 직녀성 베가가 매우 밝게 빛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 태양은...잘 보이지 않습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388534XKypEckYa76OAbVqugzPC6UN8.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101.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실시등급 6.3으로 이제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는 한계에 가까워졌습니다.</div> <div>하지만 지구환경과 달리 우주공간이라 지구의 매우 맑은 밤 하늘 보다 더 잘 보이는 편입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388628KJtuSbEjRjoPMZRjgI68.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103.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29.972pc 시뮬레이터로 볼 수 있는 태양의 최대 거리였습니다.</div> <div>약 97.8광년</div> <div>924,839,256,658,551km</div> <div><br></div> <div>구백이십사 조</div> <div>팔천삼백구십이 억</div> <div>오천육백육십오 만</div> <div>팔천오백오십일</div> <div>킬로미터...</div> <div><br></div> <div>도저히 인간의 경험으로 체감할 수 없는 거리입니다.</div> <div><br></div> <div>실시등급 7.18</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9/1411389202uHheBed5g.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104.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100광년에서는 7.23등급으로 더 이상 태양은 볼 수 없었습니다.</div> <div>1초에 299,792,458m를 이동해도 100년을 이동해야 하는 거리죠.........</div> <div><br></div> <div>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먼 거리에서도 보이는 별들이 존재하는 이 우주의 크기는...상상이 되질 않습니다.</div> <div>이렇게 넓은 곳이니 사실은 적은 편인 심하게 밝은 별들이 많다고 생각되는 것도 무리가 아니며 태양은 어두운 별이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도 납득이 가네요.</div> <div><br></div> <div>하지만 태양은 약 97광년에서 까지도 보이는 밝은 별이었습니다.</div>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4/09/22 21:58:51  14.34.***.252  TLGD  88042
    [2] 2014/09/22 22:00:05  61.77.***.149  BoA*  19649
    [3] 2014/09/22 23:02:38  203.226.***.49  신선한유머  379860
    [4] 2014/09/22 23:23:06  121.88.***.2  추태산발호미  429659
    [5] 2014/09/23 00:02:23  223.62.***.94  중복이네  370681
    [6] 2014/09/23 00:25:56  175.196.***.104  개구리찡  481890
    [7] 2014/09/23 01:55:13  130.225.***.217  잣수정과  401631
    [8] 2014/09/23 01:56:11  129.174.***.163  valkyrie  179758
    [9] 2014/09/23 03:29:07  110.15.***.91  Quzo  224485
    [10] 2014/09/23 03:34:29  110.15.***.13  산세리프  238143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국제우주정거장 생방송 [22] 전자기파동 15/05/19 18:34 7905 57
    던 탐사선, 3월 6일에 왜행성 1 세레스의 궤도 진입 [14] 전자기파동 15/03/05 18:08 6019 42
    태양계의 위성들 [42] 전자기파동 15/02/17 12:20 10574 108
    소행성대를 돌파하는 방법 [17] 전자기파동 15/02/09 14:55 11288 70
    (목성공포증)우주의 거대한 천체들 [83] 전자기파동 15/01/31 01:18 11440 117
    태양계에 우리가 잘 모르는 천체가 있다? [43] 전자기파동 15/01/29 23:17 11839 101
    잊혀진 행성 명왕성 [40] 전자기파동 15/01/28 11:29 11524 160
    토성의 고리는 실제로 어떻게 생겼을까? [74] 전자기파동 15/01/28 00:17 13669 101
    스페이스 엔진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12] 전자기파동 15/01/27 10:42 9326 64
    쥐새끼인가 개새끼인가. 불독을 살려둔 대가 [13] 전자기파동 14/12/17 02:38 3798 14
    네번 째 등반만에 성공한 화증 세줄 [10] 전자기파동 14/12/03 09:48 1936 15
    지난 20일 화성을 14만km 거리로 스쳐지나간 C/2013 A1 혜성 [10] 전자기파동 14/10/22 23:46 6975 47
    지금 화성을 향하는 혜성 사이딩 스프링 [10] 전자기파동 14/10/22 23:30 7226 46
    태양에서부터 빛의 속도로 지구에 들이박는 영상 [14] 전자기파동 14/10/15 02:31 11446 50
    [시뮬레이터] 태양은 얼마나 먼 거리에서까지 보일까? [22] 전자기파동 14/09/23 03:34 9955 102
    [스크롤압박주의] 우주공간에서 지구 찾기 [스페이스압박주의] [14] 전자기파동 14/09/21 12:51 5510 71
    위성에서 본 행성들 [27] 전자기파동 14/08/26 23:22 12228 115
    심심하면 올라오는 태양계 행성 크기 비교 [50] 전자기파동 14/08/10 03:16 10216 108
    [스페이스압박주의] 스페이스 엔진으로 태양계를 여행해 보았습니다2 [11] 전자기파동 14/05/24 21:58 14985 31
    [스페이스압박주의] 스페이스 엔진으로 외계별을 관찰해 보았습니다2 [3] 전자기파동 14/05/23 19:30 8652 37
    실시간으로 우주여행하는 글 3 [71] 전자기파동 14/05/22 13:22 4113 31
    실시간으로 우주여행하는 글 [38] 전자기파동 14/05/22 00:49 5435 49
    실시간으로 우주여행하는 글 2 [116] 전자기파동 14/05/21 22:03 3389 43
    [스페이스압박주의] 태양계의 거리 [14] 전자기파동 14/03/02 16:04 6656 54
    진짜 리신은 두 명 뿐인듯 [30] 전자기파동 13/12/04 21:34 11372 39
    어머니께서 석류를 다 뜯어다 컵에 담아 주심 ㅋㅋ [42] 전자기파동 13/11/16 01:35 15192 130
    공원에 산책하다 강아지랑 술래잡기하는 아저씨 봤어요 [58] 전자기파동 13/10/28 18:08 5803 129
    조혜련 옹호 여론 보고 느끼는게 있는데 [12] 전자기파동 12/11/13 11:33 9473 109
    [1]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