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전자기파동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10-07
    방문 : 1524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umorbest_938066
    작성자 : 전자기파동
    추천 : 115
    조회수 : 12228
    IP : 218.235.***.136
    댓글 : 27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4/08/26 23:22:08
    원글작성시간 : 2014/08/26 19:35:23
    http://todayhumor.com/?humorbest_938066 모바일
    위성에서 본 행성들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1698uCyZz7nFBKl256SFRHpb75yjIERcu5.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30.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어김없이 심심하면 켜보는 스페이스 엔진입니다.</div> <div>정말 좋은 우주 시뮬레이터에요.</div> <div><br></div> <div>이번에는 위성에서 모행성을 쳐다보았습니다. 위의 사진은 달에서 본 지구죠. 아름답습니다...</div> <div>개인적으로 이렇게 달에서 지구를 바라보는 것을 좋아해서 자주 이 짓을 하는데 다른 태양계의 행성들의 위성에서 모행성을 봐보았습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1862soBIMy5o2zTmjf273sCH.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31.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음...수성입니다. 처음은 역시 수성이죠.</div> <div>하지만 수성에는 위성이 없는 관계로 그냥 수성에서 태양을 바라보았습니다.</div> <div><br></div> <div>태양과 거리가 0.43AU로 지구에서 보는 태양보다 훨씬 큰데 대기가 없어서 엄청 밝습니다.</div> <div>겉보기 등급이 -28.6이나 되네요.</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19845n83Cvqijdc.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34.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당연히 두번째는 금성이죠!</div> <div>그리고 금성에도 위성이 없으니 금성에 착륙했는데 대기가 엄청 두껍습니다....참고로 지금 해가 중천에 떠 있는 거에요...</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2117ZSYd8ROzOIMD5stduOef6JWI5.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35.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그리고 그런 대기의 특성인지 금성에서 본 노을은 파란색이더군요.</div> <div>별거 아니지만 신기했습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2230Srzp2JE17B21.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39.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달과 지구는 건너 뛰고 화성의 위성 중 하나인 데이모스입니다.</div> <div>화성으로부터 23,400km정도 떨어져있습니다. 달과 지구의 거리인 약 380,000km와 비교해서 매우 가까워서 화성이 매우 크게 보입니다.</div> <div><br></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화성에 밝은 점이 보이는데 저건 화성 앞을 지나고 있는 화성의 다른 위성 포보스입니다.</span></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2190BDgNWbAYSLCGgkkBxmt6Kc233VO.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37.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바로 여기죠.</div> <div>화성으로부터 9,300km밖에 안 떨어져있습니다. 태양계의 위성들 중 모행성과 가장 가까운 위성이죠. 두 번째도 화성의 데이모스이구요.</div> <div><br></div> <div>그래서 마치 무슨 가스행성 보는 마냥 거대해 보입니다...</div> <div>실제로 포보스와 데이모스는 얼마 안 가서 화성의 중력에 이끌려 화성으로 떨어지며 산산조각날 운명이라고 합니다.</div> <div><br></div> <div>물론 우주에서 얼마 안 가서라는 말은 수 천 년 이후라는 소리이긴 합니다만..</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2761u5yUWiy5MJ2TYC.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41.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여기는 세레스입니다. 태양과 가장 가까운 왜행성이죠. 소행성대에 위치해 있으며 과거에는 1번 소행성이었죠.</div> <div>가장 처음 발견된 소행성이라는 말입니다. 지금은 왜행성으로 등급이 올랐지만요.</div> <div><br></div> <div>위성이 없는 천체이니 행성 자체에서 태양을 바라 보았습니다. 2.7AU 떨어져 있네요. 태양의 겉보기 등급이 -24.6입니다.</div> <div>태양의 크기가 수성에서 봤던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작아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3054wYTYYFtDpjayGHVZjGtQFxkghfdLCe.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43.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외행성으로 와서 목성의 갈릴레오 4대 위성 중 가장 가까운 이오에서 본 목성입니다.</div> <div>대략 420,000km 떨어져있습니다. 그 말은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보다도 더 멀다는 소리입니다만..... 졸라 크네요.</div> <div><br></div> <div>위에 보이는 대적점에 지구가 3개 들어가는 크기라는걸 생각해보면....코스믹호러가 따로없습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3122oWhXx8zIfOdcEEH2pZKhnBKdw68.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44.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이번에는 갈릴레오 위성 중 가장 먼 칼리스토입니다.</div> <div>대략 1,874,200km정도 떨어져있습니다. 거리수치가 무섭습니다 ㅋㅋㅋㅋㅋ</div> <div><br></div> <div>그 위로는 태양과 태양빛이 반사된 목성의 빛을 동시에 받아 무섭게 빛나는 이오가 보입니다.</div> <div><br></div> <div>목성의 위성에 전부 가볼 수 없을 만큼 많기 때문에 갈릴레오 4대 위성 중 가까운 것과 가장 먼 것을 가봤습니다.</div> <div>하지만 목성에는 갈릴레오 위성 4개만 있는게 아니라 갈릴레오 위성 4개를 포함한 63개의 위성이 있죠.</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3548mCxStTNd6.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47.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그 63개의 위성중 목성과 가장 가까운 위성에서 본 목성입니다.</div> <div>대략 128,000km 떨어진 거리입니다...</div> <div><br></div> <div>화성은 9,300km로 가까운 위성이 있음에도 거기서도 화성이 이 정도로 크게 보이진 않았습니다...</div> <div>개인적으로 가스행성에서 가까운 위성은 잘 안 다니는데...그 이유는 보고 있으면 오금이 저려서요. 하하하</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3705KU1wRGmKN2lWUsXt4rt.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51.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가장 가까운 위성이 있다면 가장 먼 위성도 있겠죠.</div> <div>...근데 가까운 것에 비해서 거리차이가 너무 많이 납니다...</div> <div><br></div> <div>거리단위도 km에서 AU단위로 바뀌어서 표기 될 정도네요. 0.225AU 떨어져있습니다.</div> <div>대략 33,659,520km 입니다. 수치가 무섭습니다 ㅋㅋㅋㅋㅋㅋ</div> <div><br></div> <div>그래도 한 눈에 목성과 갈릴레오 4대 위성이 보이는 군요. 가운데 가장 크고 밝은 것이 목성입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39752iKR5PzIDB5DQOnJDM1H.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52.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잘 안 보이니 확대해봤습니다. 이 먼 거리에서도 목성의 줄무늬는 볼 수 있군요.</div> <div>눈이 좋은 사람이라면 맨눈으로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41285vAQz7RA6.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53.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이 번에는 토성입니다. 토성은 목성처럼 딱히 갈릴레오 4대위성 같은 것이 없어서 토성의 위성 중 처음 발견한 미마스에 왔습니다.</div> <div>거리는 대략 182,200km 입니다. 꽤 가깝 군요. 토성의 위성들은 대개 이렇게 토성의 적도를 따라 공전을 하는 관계로 고리가 잘 안 보입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42965DtSHYCI8zd.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56.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음...토성의 위성 중 가장 크고 가장 유명한 타이탄입니다.</div> <div>금성처럼 대기가 두꺼워서 타이탄에서는 아쉽게도 토성을 볼 수 없습니다.</div> <div><br></div> <div>그 대신 타이탄에서는 바다를 볼 수 있죠. 사진의 시컴녹색(?)한 것이 타이탄의 바다입니다.</div> <div>하지만 지구와 달리 그 성문은 물이 아니라 액체 메탄이라고 하네요.</div> <div><br></div> <div>토성도 목성만큼은 아니지만 위성이 많습니다. 31개나 되죠!</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44289QAfXxTMRgc7x.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59.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그래서 역시 가장 가까운 위성에 와봤습니다.</div> <div>대략 133,500km 떨어진 거리입니다. 미마스랑 별로 차이 안 나네요. 게다가 고리의 약간 위쪽 궤도에 있어서 고리의 면이 보입니다.</div> <div><br></div> <div>...만 이 정도면 토성의 고리가 우리가 아는 모습이 아니라 돌멩이들 날아다니는 모습이 보이지 않을까 싶습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4644sI9zRFbV5Y2KmRQqyUCj.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64.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이번엔 토성의 위성중 가장 먼 위성에 왔습니다. 목성때랑 비슷하네요...</div> <div>거리는 0.172AU입니다. 대략 25,730,833km되는 군요.</div> <div><br></div> <div>확실히 토성이 거대해서 목성과 비슷한 점이 많지만 꼭 조금씩 목성보단 스케일이 작습니다. 고리 빼구요.</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4776tbfuxvNtqlPQbXHC2KKrxnA8DaKdtO.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65.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그리고 역시 너무 작으니 확대를 해봤습니다.</div> <div>고리가...보이네요...눈이 좋다면 맨눈으로 토성의 고리를 볼 수 있단 소리네요. 역시 토성도 대단합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4855kZTYdZWA18rJ4hEWVh.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68.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이번엔 천왕성의 위성입니다. 그 중 유명한 미란다입니다. ...주로 탄산음료 이름으로 오해받지만 그건 미린다고 이쪽은 미란다입니다.</div> <div>이 위성이 유명한 이유는</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49124Mc3SSYEGz2yC4fr64VskOH.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69.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지표면에 어마무시한 지각변동의 흔적이 거대해도 너무나도 거대하게 펼쳐져 있기 때문입니다!</div> <div>아마도 천왕성보단 이쪽이 더 관심을 받고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5062q5ReZAekUV4.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71.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여튼 미란다에서 본 천왕성입니다. 역시 가스행성들은 하나같이 거대합니다.</div> <div>거리는 대략 130,000km네요.</div> <div><br></div> <div>가스행성들이 다 그렇듯 위성이 매우 많습니다. 천왕성은 26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군요.</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5159vYsT5uRgyMfrSrfKFfLmqrBe43.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72.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그리고 가장 가까운 위성에서 본 가스행성은 하나같이 거대합니다....</div> <div>거리는 대략 50,000km입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5239Fm9r2ZMw4jNODL9.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77.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그리고 가장 먼 위성은 하나같이 엄청 멀어요!!</div> <div>0.149AU입니다. 대략 22,290,082km입니다. 크기가 목성이나 토성과 비교하면 꽤 작은 것을 생각해 봤을 때 상당한 거리입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5357DMmVPiayUpf5mSu4PWwKRnf.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78.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천왕성은 목성이나 토성과 달리 행성 자체는 외형적으로 특징이 없어서 확대는 해보나 마나 별로 볼 거리가 없지만 그래도 심심하니 그냥 확대해봤습니다.</div> <div>..그랬더니 위성들의 나열이.....상당히 특이하네요?? '< '모양으로 위성이 위아래로 각각 두 개 씩 배치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div> <div>딱히 대단한건 아니지만...역시 그냥 신기하네요.</div> <div><br></div> <div>왜 저렇게 되는 건지는 이유까진 모르겠습니다. 궤도 따져보기 귀차늠....</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5579X7F7cZSSqlYD.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79.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태양계의 마지막 행성 해왕성의 위성인 트리톤에서 본 해왕성입니다.</div> <div>대략 354,600km 떨어진 거리입니다. 목성이나 토성에 비하면 작긴 하지만 그래도 충분히 큽니다.</div> <div><br></div> <div>해왕성도 역시 가스행성답게 위성이 많은데 13개가 있습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5743x9H6TI76TWGOJ7KHV5N3voi7ie9ByiW.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91.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그리고 다른 가스행성들이 다 그렇듯이...가장 가까운 위성에서 본 가스행성은....좀 무섭습니다.</div> <div>그보다 해왕성은 고해상도 텍스쳐 팩이 없어서 화질구지네요 ㅠㅠ</div> <div><br></div> <div>거리는 대략 48,200km입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5896Jef331FLx82LihhffrEcS9C1hE.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94.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그리고 역시 가장 먼 위성에서는....더럽게 멉니다.</div> <div>0.326AU로 대략 48,768,905km라는 어마무시한 거리를 자랑하고 있습니다.</div> <div><br></div> <div>너무 멀어서 이번엔 확대해도 저게 모행성인지 그냥 별인지 구분이 안 갈지경이고 다른 해왕성의 위성들은 보이지도 않더군요..</div> <div><br></div> <div>그보다 사실 해왕성의 볼거리는 따로 있습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6114BhBi3vKmgf7Hasuq9QSolMEcuMrHKgh.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84.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바로 네레이드죠. </div> <div>해왕성의 위성중 공전 방향과 자전 방향이 정반대인 트리톤과 함께 특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6242ICwwSUy1NtkYDRO.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83.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바로 정신나간 궤도 이심률입니다.</div> <div>위 사진이 원해왕성점으로 해왕성과 거리가 가장 멀 때죠. 대략 9,650,000km정도 떨어져 있습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6397MNX8DNqxtBuTZk72ftuRraMn9Vaq7z8.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86.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이번에는 근해왕성점에 왔습니다.</div> <div>해왕성과 가장 가까운 시점이죠.</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64405bvhaSRQuGuA5yDFQtnOp1.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087.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반달 모양이긴 하지만 한 눈에 척 봐도 해왕성임을 알 수 있을 정도로 커다랗습니다.</div> <div>원해왕성점에서 봤던 해왕성과는 차원이 다른 크기입니다. 거리는 1,409,000km정도로 상당히 차이가 납니다.</div> <div><br></div> <div>뭣보다 해왕성의 다른 위성인 트리톤이 옆에서 빛나고 있는 것이 보입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6711W5Hrsk5UOIGe7lUQf.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106.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과거에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이었던 명왕성입니다. 지금은 태양에서 두 번 째로 가까운 왜행성이죠.</div> <div>그리고 여기는 그 명왕성의 위성 카론입니다. 거리는 21,800km정도입니다. 엄청...가깝군요.</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68363674mbwxNqa1mjMxPhLZffaNAUpD.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109.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그리고 뭣보다...</div> <div>명왕성에서 본 카론도 엄청 큽니다.</div> <div><br></div> <div>물론 크기는 명왕성이 더 크긴 크지만...이 정도면 서로 중력때문에 충분히 흔들거릴 정도죠.. ㅠㅠ</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6937h8TJljfGXSktL1EjnAjKucLEE.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113.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명왕성에도 위성이 5개나 있는데 그 중 가장 멀리 있는 히드라입니다.</div> <div>명왕성과 카론이 보이네요. 카론은 명왕성의 뒤 쪽에 있어서 상당히 작게 보입니다.</div> <div><br></div> <div>명왕성은 62,800km 떨어져 있는데 카론은 그보다 20,000km정도 더 멀리 있습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7024WvzeSVaTdlTMox1raIVvL.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114.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그리고 카론이 명왕성 앞에 있을 때는 이렇게 보이죠.</div> <div>사실상 거의 쌍둥이 행성을 보는 느낌입니다...</div> <div><br></div> <div>그보다 명왕성이 잘 보이게 하려고 하다보니 히드라가 태양 빛을 거의 뒤통수에서 받아서 밤에 가까운지라 지표면이 일부분만 보이네요..</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7287WBJfXgQbzONg2EEb2.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115.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하우메아에서 가장 가까운 나마카에서 본 하우메아입니다.</div> <div>1회 자전 하는데 4시간밖에 안 걸리는 지라 적도부분이 부푼 타원의 모습이 적나라하게 보입니다.</div> <div><br></div> <div>안그래도 생소한 천체인데 모양까지 생소합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7398vomDQXHuaW2KHo3K9WJJGX.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116.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하우메아는 위성이 두개가 있는데 이건 가장 멀리 있는 히이아카입니다.</div> <div>정말 적응 안되는 모습입니다. 납작한 타원형의 천체가 하늘에 떠 있다니...</div> <div><br></div> <div>하우메아는 시간을 두고 관찰한다면 자전하는 모습이 눈에 보일 정도로 정말 빠르게 돌고 있습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7885hEcPsloW6.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118.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마케마케는 특이하게 큐비원족 천체 중에선 혼자 위성이 없는 왜행성입니다.</div> <div>그래서 다시 한 번 태양을 바라보게 됐습니다.</div> <div><br></div> <div>52AU나 떨어져 있군요. 태양의 겉보기 등급이 -18까지 내려갔습니다. 척 봐도 상당히 작아졌네요.</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8095JB7PQqpFKIB.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120.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태양계의 마지막 왜행성 에리스의 위성인 디스노미아에서 본 에리스입니다. 태양계의 왜행성 중 가장 큰 왜행성이죠.</div> <div>거리가 대략 37,300km입니다.</div> <div><br></div> <div>에리스는 볼 때마다 느끼지만 태양광 반사율이 정말 어마어마합니다.</div> <div><br></div> <div>이걸로 태양계의 행성과 왜행성은 끝이지만 이럴 때 마다 꼭 빼놀 수 없는 천체가 하나 있죠.</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84113aC5kbEZzja6nR4GROyppb1wliqIVB.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125.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90377 세드나입니다. 태양계에서 가장 붉은 천체답게 땅이 시뻘겋네요.</div> <div>거의 모든 특성이 왜행성의 조건에 들어맞음에도 불구하고 왜행성이 되지 못한 천체입니다.</div> <div><br></div> <div>그 이유는</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8623PP6Bcvx2vOM4ftmbYihPNE3BMVgV.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123.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정신나간 궤도 이심률 때문이죠! 세드나는 현재(2014년 8월 26일) 태양과 86AU가량 떨어져있으며 근일점을 향해 가고 있습니다.</div> <div>위 사진은 근일점인 거리에서 세드나에 착륙해 태양을 바라본 것이죠. (사진은 78AU에서 찍혔는데 실제 근일점은 76AU정도입니다)</div> <div><br></div> <div>근일점에서 태양의 겉보기 등급은 대략 -17.2였습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88463cN55BxPTA1g9WLzLKG6iQiutQ.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127.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시간을 돌려 원일점으로 왔습니다.</div> <div>2014년에서 8714년이 되었습니다. ...6700년이나 흘러서야 원일점에 도달했네요. </div> <div><br></div> <div>세드나의 공전주기는 대략 12000년이라고 합니다. 이는 지구의 북극성이 바뀌고 없던 남극성이 생기는 수준의 세월입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8/14090490094KRk9IHU537ZE3vEk55MVJkC4hmafOF.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128.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얼마나 먼지 거리가 AU도 아니고 0.005pc이 되어버렸습니다...</div> <div>대략 960AU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드럽게 머네요 ㅋㅋㅋㅋㅋㅋㅋ</div> <div><br></div> <div>이정도면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태양계는 한참 벗어났습니다. 하지만 오르트구름까지 따지면 안 쪽인 편이라고 하네요.</div> <div><br></div> <div>꽤 멀리까지 온 것 같지만 여전히 태양은 밝습니다.</div> <div>겉보기 등급은 -11.75로 근일점 때와 상당히 차이가 나긴 합니다.</div> <div><br></div> <div>게다가 태양광의 영향도 꽤 적어져서 주변에 다른 별들도 잘 보이네요.</div> <div>그리고 태양광이 멀어진 세드나의 지표면도 상당히 어두워졌습니다. 낮인데도 말이죠.</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위성에서 본 행성들은 마치고 저는 다시 우주여행을 떠나겠습니다!</div>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4/08/26 19:44:56  58.142.***.180  문쫑  73372
    [2] 2014/08/26 19:49:57  223.33.***.19  으허허엉어  84921
    [3] 2014/08/26 19:53:31  14.34.***.252  TLGD  88042
    [4] 2014/08/26 20:11:28  61.77.***.156  BoA*  19649
    [5] 2014/08/26 20:19:02  180.229.***.14  답?  535355
    [6] 2014/08/26 20:19:09  110.14.***.190  라군Fish  490180
    [7] 2014/08/26 21:30:01  211.247.***.248  배찌귀여워요  549289
    [8] 2014/08/26 22:55:59  121.172.***.17  신답  196520
    [9] 2014/08/26 23:13:13  220.76.***.128  쿠겡쿠겡  482268
    [10] 2014/08/26 23:22:08  1.212.***.51  니오오  54365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국제우주정거장 생방송 [22] 전자기파동 15/05/19 18:34 7905 57
    던 탐사선, 3월 6일에 왜행성 1 세레스의 궤도 진입 [14] 전자기파동 15/03/05 18:08 6019 42
    태양계의 위성들 [42] 전자기파동 15/02/17 12:20 10574 108
    소행성대를 돌파하는 방법 [17] 전자기파동 15/02/09 14:55 11288 70
    (목성공포증)우주의 거대한 천체들 [83] 전자기파동 15/01/31 01:18 11440 117
    태양계에 우리가 잘 모르는 천체가 있다? [43] 전자기파동 15/01/29 23:17 11839 101
    잊혀진 행성 명왕성 [40] 전자기파동 15/01/28 11:29 11494 160
    토성의 고리는 실제로 어떻게 생겼을까? [74] 전자기파동 15/01/28 00:17 13669 101
    스페이스 엔진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12] 전자기파동 15/01/27 10:42 9326 64
    쥐새끼인가 개새끼인가. 불독을 살려둔 대가 [13] 전자기파동 14/12/17 02:38 3798 14
    네번 째 등반만에 성공한 화증 세줄 [10] 전자기파동 14/12/03 09:48 1936 15
    지난 20일 화성을 14만km 거리로 스쳐지나간 C/2013 A1 혜성 [10] 전자기파동 14/10/22 23:46 6975 47
    지금 화성을 향하는 혜성 사이딩 스프링 [10] 전자기파동 14/10/22 23:30 7226 46
    태양에서부터 빛의 속도로 지구에 들이박는 영상 [14] 전자기파동 14/10/15 02:31 11446 50
    [시뮬레이터] 태양은 얼마나 먼 거리에서까지 보일까? [22] 전자기파동 14/09/23 03:34 9955 102
    [스크롤압박주의] 우주공간에서 지구 찾기 [스페이스압박주의] [14] 전자기파동 14/09/21 12:51 5510 71
    위성에서 본 행성들 [27] 전자기파동 14/08/26 23:22 12228 115
    심심하면 올라오는 태양계 행성 크기 비교 [50] 전자기파동 14/08/10 03:16 10216 108
    [스페이스압박주의] 스페이스 엔진으로 태양계를 여행해 보았습니다2 [11] 전자기파동 14/05/24 21:58 14985 31
    [스페이스압박주의] 스페이스 엔진으로 외계별을 관찰해 보았습니다2 [3] 전자기파동 14/05/23 19:30 8652 37
    실시간으로 우주여행하는 글 3 [71] 전자기파동 14/05/22 13:22 4113 31
    실시간으로 우주여행하는 글 [38] 전자기파동 14/05/22 00:49 5435 49
    실시간으로 우주여행하는 글 2 [116] 전자기파동 14/05/21 22:03 3389 43
    [스페이스압박주의] 태양계의 거리 [14] 전자기파동 14/03/02 16:04 6656 54
    진짜 리신은 두 명 뿐인듯 [30] 전자기파동 13/12/04 21:34 11372 39
    어머니께서 석류를 다 뜯어다 컵에 담아 주심 ㅋㅋ [42] 전자기파동 13/11/16 01:35 15192 130
    공원에 산책하다 강아지랑 술래잡기하는 아저씨 봤어요 [58] 전자기파동 13/10/28 18:08 5803 129
    조혜련 옹호 여론 보고 느끼는게 있는데 [12] 전자기파동 12/11/13 11:33 9473 109
    [1]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