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전자기파동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10-07
    방문 : 1524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umorbest_887151
    작성자 : 전자기파동
    추천 : 37
    조회수 : 8652
    IP : 180.67.***.129
    댓글 : 3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4/05/23 19:30:26
    원글작성시간 : 2014/05/21 06:25:45
    http://todayhumor.com/?humorbest_887151 모바일
    [스페이스압박주의] 스페이스 엔진으로 외계별을 관찰해 보았습니다2
    <div>내행성 여행편</div> <div><a target="_blank" href="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science&no=35616&s_no=8022598&kind=member&page=1&member_kind=total&mn=290636" target="_blank">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science&no=35616&s_no=8022598&kind=member&page=1&member_kind=total&mn=290636</a></div> <div><br /></div> <div>외행성 여행편</div> <div><a target="_blank" href="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science&no=35673&s_no=8028782&kind=member&page=1&member_kind=total&mn=290636" target="_blank">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science&no=35673&s_no=8028782&kind=member&page=1&member_kind=total&mn=290636</a></div> <div><br /></div>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소행성 및 왜행성 관찰편</div> <div style="line-height: 21px"><a target="_blank" href="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science&no=35711&s_no=8034518&kind=member&page=1&member_kind=total&mn=290636" style="color: blue; text-decoration: none">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science&no=35711&s_no=8034518&kind=member&page=1&member_kind=total&mn=290636</a></div></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외계행성 관찰편</div> <div style="line-height: 21px"><a target="_blank" href="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science&no=35786&s_no=8044505&kind=member&page=1&member_kind=total&mn=290636" target="_blank">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science&no=35786&s_no=8044505&kind=member&page=1&member_kind=total&mn=290636</a></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01557I4NeQfjYXBZi83Uv.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35.jpg" id="image_01919070144649595"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우주에 별은 어마무시하게 많았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여기저기 가도 끝이 없네요 ㄷㄷ</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이번엔 유명하고 밝은 별들에 가볼겁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01691KDZJpQupeFVSrgQ.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36.jpg" id="image_07242692222353071"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폴라리스입니다. 분류는 F0 초거성으로 딱봐도 0.7AU에서 찍은건데 어마무시하게 큽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현재 북극성으로 지구에서 겉보기등급은 1.97입니다. 지구의 밤하늘에서 47번째로 밝은 별입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서기 3000년 경에는 북극성 자리에서 물러나고 그 자리는 알라이에게 넘겨줄 것이라고 합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태양과 거리는 132.275파섹(431.2광년)이며 여기서는 우리 태양을 눈으로 볼 수 없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03362ibxOfuOsiZI7lcadYSpw6srF.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37.jpg" id="image_05791822737082839"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폴라리스에 가상의 행성이 있다면 이렇게 보일겁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스페이스 엔진에 폴라리스 가상행성 중 대기가 없어서 폴라리스가 잘 보이는 곳으로 왔는데 28AU떨어져있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이는 태양계에선 태양과 해왕성정도의 거리인데 하늘의 폴라리스는 지구에서 본 태양보다도 더 밝아보입니다 ㄷㄷ</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036368MZZMEn7rzRTu796IjfIre7zcub9.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39.jpg" id="image_01127347822766751"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직녀성 베가입니다. 쌍성계네요. <span style="font-size: 9pt">지구에서 겉보기등급은 0.03으로 5번째로 밝은 별입니다.</span></div> <div style="line-height: 21px"><span style="font-size: 9pt">과거 기원전 12000년 경에는 이 베가가 북극성이었으며 미래 서기 14000년 경에 다시 북극성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span></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여름의 대삼각형을 그리는 별이라고 하는데...제가 별은 좋아하지만 별자리엔 관심이 없었어서 이런건 잘 모릅니다 하하...</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04234RhxHho8y4io4zQurGrH.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40.jpg" id="image_09029817560222"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자전속도가 17시간에 1회로 약 275km/s로 상당히 빠릅니다. 자세히 보시면 그래서 약간 계란 모양을 이루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죠.</div> <div style="line-height: 21px">그리고 이 속도는 태양의 자전속도보다 대략 50배나 빠르며 항성이 조각날 수 있는 속도의 93%에 달하는 속도라고 합니다. 무시무시하네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베가는 태양 다음으로 스펙트럼 촬영을 한 첫 항성이며 최초로 시차를 이용해 거리를 알아낸 항성입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베가는 지구에서 볼 때 극지방이 보이는데 이 때문에 베가가 비교적 더 밝게 보인다고 합니다. 그리고 주위에 먼지원반을 가지고 있는데 이 먼지원반을 관찰하면 불규칙성이 나타나기 때문에 최소한 1개의 행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합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04713f37AlHTm3NAyctp.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41.jpg" id="image_04496953112538904"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가상행성 베가1의 하늘</div> <div style="line-height: 21px">베가에서 2.5AU떨어진 위치입니다. 주계열성 태양이 무려 두개나 가까운 거리에 떠 있어서 상당히 밝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참고로 왼쪽의 별은 우리 태양입니다. 거리는 25.3광년으로 가까운 편이네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05405G4P2PVclabNQ5AI2me.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42.jpg" id="image_05922099929302931"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직녀성을 봤으니 견우성에도 와봐야 겠죠.</div> <div style="line-height: 21px">알타이르입니다. A7 준거성이네요. 지구에서는 겉보기등은 0.76이며 12번째로 밝습니다. 이 별도 상당히 빠르게 자전하기 때문에 럭비공마냥 부풀어있어야 하는데 베가랑 다르게 그건 표현이 안 되어있네요. 베가도 약간만 달걀 모양인데 시스템상 기준점에 도달하지 못 했나 봅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지구와는 16.7광년 떨어져있는 매우 가까운 별입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그리고...사실 이 별은 견우성이 아닙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실제 견우성은 다비흐인데 아무래도 알타이르가 더 밝다보니 설화가 변한게 아닌가...생각되네요...견우와 직녀이야기는 대충 알뿐 자세한건 몰라서...</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064939CiciNxyLnjfZbAJS3gliE.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44.jpg" id="image_07507373855914921"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지구랑 비슷한 느낌의 가상행성에서 본 알타이르</div> <div style="line-height: 21px">약 1.3AU떨어져 있으며 태양보다 좀더 밝은 느낌으로 보입니다. 위쪽에 떠있는 별은 직녀성 베가입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06690cPJ2GzS6kST58WkbWtok.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46.jpg" id="image_0717443484114483"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진짜 견우성 다비흐입니다. A5 주계열성이네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지구에서 겉보기등급은 3.1이며 거리는 대략 328광년 떨어져있습니다. 이쪽은 거성이 아니라 주계열성인데 자전속도가 12시간에 1회라 눈에 띄게 부푼 모습을 볼 수 있군요. 위에서 본 베가와 알타이르도 보통은 이런 모양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실제 밝기는 직녀성보다 밝지만 지구에서 거리는 견우성이 훨씬 더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겉보기등급은 더 낮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이는 신분적으로 높은 직녀와 낮은 견우의 속성에 의해 설정된 것으로 생각된다고 하네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다비흐는 사실 복잡한 다중성계인데 대략 5개가량의 항성이 돌고 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스페이스 엔진에서는 구현이 안 되어있군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07450TRHnGoRDg9arapXZlXHZyys.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48.jpg" id="image_08568282492924482"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1.1AU떨어진 위치의 가상 행성입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지구에서 1AU떨어진 태양과 비교했을 때 무지 밝게 보입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시선을 돌리다 살짝만 지나쳐도 실명해버릴 것 같은 무시무시한 밝기네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07582EIqmH7pLfQhvhrhEX.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49.jpg" id="image_08292720443569124"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 시리우스입니다. 쌍성계네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지구에서는 하나로 보이며 이 둘을 분리해서 보려면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시리우스가 쌍성인 것을 알게 된 것은 꽤 최근의 일이라고 합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078394q3cagfS4EouofD5Dq3FyYd5DfeI9l.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50.jpg" id="image_08923845309764147"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시리우스 A는 A1 주계열성으로 상당히 밝은 별인데 지구랑 거리는 8.6광년으로 거의 이웃집 수준으로 가까워서 매우 밝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지구에서 겉보기등급이 -1.44로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이죠.</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그런 이유로 창작물등에 자주 인용되고 등장하는 편입니다. 밤하늘의 가장 밝은 별인 타이틀과 이름자체도 시리우스로 멋있기 때문이죠.</div> <div style="line-height: 21px">아마 시리우스라는 별을 들어본 사람들은 정말 많을겁니다. 뭐...킬라킬이라던가 킬라킬 같은거 보신 분들 말이죠.</div> <div style="line-height: 21px">참고로 한자이름은 천랑성인데 한자이름 마저도 멋 있습니다. 오오 간지별 오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시리우스는 태양계로 가까이 오고 있기 때문에 6만년 동안은 더 밝아질 전망입니다. 그리고 6만년 후에는 다시 멀어져서 어두워 지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21만년 동안은 계속 밤하늘의 가장 밝은 별 타이틀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08557Ci5QjrN58w8QbdBxjgrjJcWK.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51.jpg" id="image_003043081285431981"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시리우스 B는 백색왜성인데 이는 별이 죽어가는 모습입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더이상 핵융합을 하지않으며 천천히 식어 최후에는 흑색왜성이 되며 아무런 에너지를 감지할 수 없어 발견할 수 없게 된다고 합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하지만 백색왜성이 식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255억년 정도이며 이는 지금의 우주나이인 137억살을 감안하면 아직 흑색왜성은 존재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흑색왜성이 실존한다고쳐도 발견하는건 불가능하겠지만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그리고 이 백색왜성 시리우스 B는 질량이 태양과 거의 비슷한데 이는 대부분의 백색왜성이 지구 질량의 50~60%인 것을 보면 상당히 질량이 큰 편인데 밀도는 높아서 크기가 거의 지구만한 수준입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그래서 그런가 중력이 큰데...</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09021qLLa5rwCz2dlU.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52.jpg" id="image_05265278210863471"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09032cCXXDLRJZy.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53.jpg" id="image_039525834121741354"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중력렌즈 현상이 일어납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빛이 천체의 중력에 끌려 상이 왜곡되어 보이는 현상이죠. 보통은 은하단이나 블랙홀같은 천체를 통해서 볼 수 있습니다만...</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보시다시피 쌍성에서 다른 짝별을 가리는 위치에 두면 그냥 가려져서 안 보이는데 시리우스 B는 중력렌즈 현상으로 시리우스 A가 아인슈타인 링의 모습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다음에 백색왜성 몇개 골라서 한 번 찾아가 봐야겠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096078ITm1xL57wA7cuxbnI6e8KEEKfeJC.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54.jpg" id="image_05042921013664454"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시리우스 A를 1AU의 거리에서 보면 이정도의 밝기로 보입니다. 겉보기등급 -30으로 지구에서 본 태양보다 더 밝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시리우스 옆에는 가상행성이 설정되어 있지 않아서 행성에서 본 모습은 찍지 못 했네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09768voL1mv6VDesycT.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55.jpg" id="image_038999705272726715"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밤하늘에서 두번째로 밝은 별 카노푸스입니다. 이번에도 쌍성계입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두번째로 밝음에도 불구하고 인지도가 떨어지는 별인데 그 이유는 남쪽하늘에 매우 낮게 뜨기 때문에 보기가 힘들어서 그렇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그나마 제주도나 남해안에 가야 볼 수 있다고 하네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이 별은 예로부터 노인성으로 불리었으며 이 별을 보게되면 장수하게 된다는 설이 퍼져있었으며 이 별을 보면 나라에 고해야했으며 길조로 여겼다고 합니다. 얼마나 보기 어려웠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 되겠네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또한 남극에는 북극과 다르게 딱히 남극성이라 부를만한 별이 현재는 없지만 12000년 뒤에는 이 별이 남극성이 될 것이라고 합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10004EpSm7mx3z8NIn97L4lnqxRvmQQVhV.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56.jpg" id="image_007067136350087821"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카노푸스는 지구에서 겉보기등급 -0.72이며 310광년 떨어져있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카노푸스 A는 F0 초거성이라 매우 거대합니다. 1AU떨어진 위치에서 찍은 것이니 그 크기를 .....상상하기 어렵군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10535q7EhNPPx2UXsJ2fRtYyEU5iBz6Wc.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57.jpg" id="image_06449710598681122"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짝별은 O8 주계열성입니다. 그동안 백색, 황색, 오렌지색등등을 주로 봐왔던 주계열성과 달리 이쪽은 청색 주계열성이네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그리고 청색이란 소리는 엄청나게 뜨겁다는 소리로 표면온도가 35800K입니다. 이는 태양보다 30000K정도 더 뜨거운 온도입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10776JWFV9eygt7p.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58.jpg" id="image_049777909624390304"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가상행성 카노푸스1에서 본 하늘</div> <div style="line-height: 21px">대략 44AU떨어져 있는 거리인데 태양이 두개이기도 하지만 엄청나게 밝습니다 ㄷㄷ</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겉보기등급은 둘 다 비슷한데 대충 지구에서 본 밝기의 태양이 두개가 떠있는 수준의 밝기입니다. 이거 참 눈부셔서 살 수가 없을 것 같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11365qcT58kmoU5nSrYICSC.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59.jpg" id="image_037302884366363287"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이번엔 잠시 새로운 곳에 와 봤습니다. 용골자리 성운입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우리은하내에서는 가장 거대한 성운으로 겉보기등급 1로 눈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남반구에서만 볼 수 있어서 오리온 성운과 달리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용골자리 성운은 오리온 성운보다 4배나 더 크고 밝으며 지름은 20파섹정도 됩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지구로부터 대충 7500광년 정도 떨어져있습니다. 그리고 갑자기 이런 먼 곳을 들른 이유는...</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11765agE72WKvf8j4idkFqM7VVUxIHF.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60.jpg" id="image_08076177157927305"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바로 이 별 용골자리 에타 때문입니다. 매우 거대한 극대거성이며 태양보다 40000000배 가량 더 밝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바로 이 별이 1843년에 겉보기등급이 -0.8까지 밝아져 밤하늘의 밝은 별 두번째 자리를 잠시 차지하기도 했었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지구와 거리는 7745광년 떨어진 별입니다........아무리 두번째 밝은 별이라지만 상상을 초월하는 거리에 있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이런 별은 우리은하를 전부 뒤져도 열몇개나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매우매우 희귀한 별입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분류가 울프-레이에 별인데 이 분류는 이 별이 곧 죽을 것이라는 의미입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얼마 안가서 이 용골자리 에타는 초신성보다 강력한 극초신성의 폭발을 일으키고 그 생을 마감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고 하네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몇 번이고 초신성 위장 폭발이 있었으나 아직 죽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빠르면 수년이내에 늦으면 수천년 이내에 극초신성 폭발을 할 것으로 생각 되고 있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말하자면 이미 폭발해서 실제 위치에는 없어진 별일 수 있다는 소리죠...</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12733kfd9lIRUP8dPtRMQkXePLkFLvsDUr.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61.jpg" id="image_09670238858088851"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한번 1AU까지 다가가 봤습니다. ....닿을 것 같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이쯤되면 뭐랄까...미지의 공포가 느껴질 수준입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12893g5MeIsSFa8XYZIPdilOVzGTZBNDr.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62.jpg" id="image_0030697410460561514"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다시 돌아와서 밤하늘의 세번째로 밝은 별. 아크투루스입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영어로 쓰면 Arcturus. 네, 악튜러스라고 알고 있는 별이죠. 하지만 악튜러스는 잘못된 발음이고 아크투루스라고 읽는게 맞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지구에서 겉보기 등급 -0.05이며 거리는 36.7광년 정도 떨어져있습니다. 태양이 보이는 거리네요. 사실 우측에 자그마한 점이 우리 태양입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K2 적색거성으로 태양보단 훨씬 크고 밝지만 온도는 태양보단 1000K정도 조금 낮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또한 이 별은 변광성으로 밝기가 주기적으로 왔다리갔다리 합니다. 이는 거성들의 특징이라네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13876Mv9sFURnsSs4kvskdc6CCmAXyhslbL3.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63.jpg" id="image_0008515388937667012"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가상행성으로부터 3AU떨어진 거리입니다. 태양과 지구 거리의 3배인데 매우 크고 밝습니다. 거성답네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14108HjOAn8FE5ZXAO1f8XVW34QDu.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64.jpg" id="image_038314651721157134"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밤하늘에서 여섯번째로 밝은 별 카펠라입니다. 쌍성이네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갑자기 왜 네번째랑 다섯번째를 건너 뛰었느냐 하면 네번째로 밝은 별이면 알파 센타우리인데 이 전편에 외계 행성편에서 가보았기 때문이죠.</div> <div style="line-height: 21px">그리고 다섯번째는 직녀성 베가입니다. 네임드스타로 앞에서 다루었으니 건너 뛰게 되었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14389TbuTqEWEk2x9CKMCGsg2kc.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65.jpg" id="image_08102224415633827"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카펠라 A. G0 거성입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이번엔 쌍성과 거성들을 많이 보게 되네요. 그 만큼 그게 밝은 별들의 특징이기도 한거겠죠.</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카펠라는 북반구에서 7월을 제외한다면 1년 내내 항상 볼 수 있는 유일한 1등성 별입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지구에서 겉보기등급은 0.08입니다. 수치가 이젠 -가 아닌 +가 되었네요. 거리는 42.2광년 정도 떨어져있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14811ZGBw6I41tFfoA964jzbnP.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66.jpg" id="image_08578133590053767"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짝이 되는 별은 A8 주계열성이네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카펠라 A, B 쌍성은 추가로 더 작은 적색왜성 쌍성을 데리고 다니고 있습니다. <span style="font-size: 9pt">카펠라 Ha와 Hb인데 이 카펠라 H쌍성은 카펠라 A, B를 공전하고 있다고 합니다. 카펠라는 알파 센타우리와 비교해서 지구로부터 10배가량 떨어져 있는데 비슷한 밝기로 보이는데 이 말은 알파 센타우리보다 100배 더 밝다는 이야기가 되겠죠.</span></div> <div style="line-height: 21px"><span style="font-size: 9pt"><br /></span></div> <div style="line-height: 21px"><span style="font-size: 9pt">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15261PhUOZhZJF46akVpIh.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68.jpg" id="image_09770123714115471"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span></div> <div style="line-height: 21px"><span style="font-size: 9pt">2.3AU 떨어진 거리의 행성에서 본 카펠라입니다.</span></div> <div style="line-height: 21px"><span style="font-size: 9pt">거성과 주계열성의 태양이 둘이나 떠있으니 눈이 부시군요.</span></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16153GiXSXOTXmMwZ.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70.jpg" id="image_05026288204826415"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div> <div style="line-height: 21px"><span style="font-size: 9pt"><br /></span></div> <div style="line-height: 21px"><span style="font-size: 9pt">밤하늘의 일곱번째 밝은 별 리겔입니다. B8 청색빛 초거성입니다.</span></div> <div style="line-height: 21px"><span style="font-size: 9pt">지구에서 겉보기등급은 0.18이며 773광년 정도 떨어져있습니다.</span></div> <div style="line-height: 21px"><span style="font-size: 9pt"><br /></span></div> <div style="line-height: 21px"><span style="font-size: 9pt">리겔은 주변에 성운이 많아서 그 성운들을 비추는 별인데 대표적인 것이 마녀머리 성운이 리겔에 의해 빛을 받고 있습니다.</span></div> <div style="line-height: 21px">그건 그렇고...보시면 리겔에게 궤도가 있습니다. 리겔이 쌍성이기 때문이죠. 짝별을 한번 찾아 봅시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16278jfX8eopgXXD.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71.jpg" id="image_06349984544795007"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div> <div style="line-height: 21px">아무것도 없네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리겔 B는 주계열성으로 딱히 어두운 별은 아니지면 리겔 A와 가까운데다가 리겔 A자체가 겁나게 밝아서 잘 안 보인다고 합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span style="font-size: 9pt">....그런거 치곤 이상하네요. 암만 가까워도 저렇게 가깝진 않습니다. 그리고 안 보일리가 없죠 프로그램인데...아무래도 버그같습니다...</span></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17809lQ4VzcjOMO.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74.jpg" id="image_08789194591809064"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밤하늘의 여덟번째 밝은 별 프로키온입니다. 이번에도 쌍성이네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짝별은 척보니 백색왜성입니다. 밝기가 어둡고 작네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17971lLFzPD8qDSoLfuDEf.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75.jpg" id="image_06970216883346438"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프로키온 A는 F5 준거성으로 점차 크기가 부풀어오르고 있는데 태양의 미래모습입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지구에서 겉보기등급은 0.4이며 거리는 11.4광년 떨어져있습니다. 꽤 가까운 곳에 있군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18165gzfV4nKLzKwFoiFEyi9dlfhuq7.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76.jpg" id="image_030334689072333276"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짝별인 프로키온 B는 백색왜성입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다른 백색왜성이었던 시리우스 B와 비교해보면 A별과 거리가 프로키온 B가 더 가까워서 시리우스 B보다 찾기가 매우 힘듭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시리우스 B보다 크기는 2배 조금 안되는 수준으로 큽니다 그러나 질량은 태양의 60%정도로 시리우스 B보다 훨신 가볍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18625WvgadA9buuBsEVfKE5.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77.jpg" id="image_06140247841831297"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밤하늘의 아홉번째 밝은 별 아케르나르입니다. 또 쌍성이군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둘다 B계열 청색 주계열성입니다...근데 이 별이 쌍성인건 이제 알았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18727puxIKQqe64LL.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78.jpg" id="image_09685044477228075"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아케르나르는 지구에서 겉보기등급 0.5이며 거리는 144광년 떨어져있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그러나 북반구에서 볼 수는 없고 남반구에서 볼 수 있는 별입니다. 기원전 3000년 경에는 이 별이 남극성이었다고 하네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18938QywADJDBNnyhukGOS1TRqVbk7e.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79.jpg" id="image_09528919567819685"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아케르나르는 태양의 100배에 달하는 속도로 자전하고 있기 때문에 상당히 납작한 모양이라고 합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이는 발견된 별들 중 가장 평평한 모양이라고 하네요. 그러나 잘 구현이 안 되어있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아무래도 베타버전이라 완벽하게 구현이 안 된것들이 몇가지 있는가 봅니다. 아니면 버그거나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19188UiIDkyVnKtFQ.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80.jpg" id="image_023317052866332233"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밤하늘의 열번째로 밝은 별 베텔게우스입니다. 이번엔 쌍성이 아니군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M2 적색 초거성입니다. 지구에서 겉보기등급은 0.45이며 640광년 떨어져있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다만 거성들이 다 그렇듯 변광성인데 0.2~1.2까지 마구 오락가락합니다. 밝기변화가 상당히 크네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19975I5QCj9rEKzPFe.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82.jpg" id="image_034565634559839964"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div> <div style="line-height: 21px">베텔게우스에 2.5AU다가간 모습입니다. ......프로그램상 표면에 닿았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1AU까지 다가가볼 수도 없었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베텔게우스는 대략 천만살 정도로 젋은 편인데 수명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질량이 클 수록 항성의 수명은 짧기 때문이랍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즉, 곧 터질거랍니다. 물론 이 곧은 우주적 관점이라 대충 수천만년 이내 라는 소리이니 걱정 하지 않아도 됩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그리고 베텔게우스가 터진다고 해도 자전축이 지구를 향하고 있지 않아서 걱정없다고 하네요.</div> <div style="line-height: 21px"><span style="font-size: 9pt">만약 베텔게우스가 초신성 폭발을 하면 2, 3달 정도는 낮에도 보일정도로 밝을 것이라고 합니다. 밤에는 달보다 밝을 것이라고 하네요.</span></div> <div style="line-height: 21px"><span style="font-size: 9pt">참고로 달의 겉보기등급은 -12정도이며 태양은 -26정도입니다.</span></div> <div style="line-height: 21px"><span style="font-size: 9pt"><br /></span></div> <div style="line-height: 21px"><span style="font-size: 9pt"> <div style="text-align: 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405/14006203859U11FFOkEdLWA1c5eruFQN374LZfbZtA.jpg" width="800" height="450" alt="scr00283.jpg" id="image_031471886998042464" class="chimg_photo" style="border: none" /></div><br /></span></div> <div style="line-height: 21px"><span style="font-size: 9pt">이번에 볼 마지막 별 스피카입니다. 밤하늘에서 열다섯번째로 밝은 별입니다.</span></div> <div style="line-height: 21px"><span style="font-size: 9pt">B1 청색 주계열성으로 지구에서 겉보기등급은 0.98이며 262광년 떨어져있습니다.</span></div> <div style="line-height: 21px"><span style="font-size: 9pt">그보다 원래는 쌍성으로 0.12AU떨어진 겁나게 가까운 위치에서 도는 동반성이 있습니다.</span></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span style="font-size: 9pt">그건 그렇고 갑자기 열다섯번째로 건너뛴 이유는 너무 많아서.....그럼 왜 스피카냐?</span></div> <div style="line-height: 21px">그 이유는 이 스피카가 초신성으로 생을 마칠 것으로 생각되는 별인데 그런 초신성 후보중 지구와 가장 가까운 별이기 때문입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물론 보시다시피 아직 주계열성으로 베텔게우스처럼 천년만년 하거나 용골자리 에타처럼 백년만년하거나 이미 없어졌거나 그런건 아닙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주계열성 단계는 이제 막바지에 이른 것으로 생각되며 곧 거성단계로 들어갈 것으로 보고있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21px"><br /></div> <div style="line-height: 21px">이정도면 아무래도 초신성 폭발은 인류가 멸망하고 난 뒤에나 하지 않을까요..</div>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4/05/21 10:35:35  147.43.***.68  딥군  462326
    [2] 2014/05/21 16:02:05  175.223.***.98  낭만개냥이  498130
    [3] 2014/05/22 00:58:02  125.132.***.101  어른아이!  420943
    [4] 2014/05/22 01:08:24  112.170.***.218  mare  107771
    [5] 2014/05/22 01:36:06  223.62.***.63  이구역의미친  403507
    [6] 2014/05/22 01:42:10  125.142.***.211  zert  113576
    [7] 2014/05/22 03:04:04  125.197.***.204  지못미⋈  515372
    [8] 2014/05/22 16:59:31  182.215.***.222  뀨우뀨우  80523
    [9] 2014/05/23 16:16:35  61.33.***.2  초궁극미남  219968
    [10] 2014/05/23 19:30:26  220.68.***.30  알파붕괴  190457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국제우주정거장 생방송 [22] 전자기파동 15/05/19 18:34 7905 57
    던 탐사선, 3월 6일에 왜행성 1 세레스의 궤도 진입 [14] 전자기파동 15/03/05 18:08 6019 42
    태양계의 위성들 [42] 전자기파동 15/02/17 12:20 10574 108
    소행성대를 돌파하는 방법 [17] 전자기파동 15/02/09 14:55 11288 70
    (목성공포증)우주의 거대한 천체들 [83] 전자기파동 15/01/31 01:18 11440 117
    태양계에 우리가 잘 모르는 천체가 있다? [43] 전자기파동 15/01/29 23:17 11839 101
    잊혀진 행성 명왕성 [40] 전자기파동 15/01/28 11:29 11524 160
    토성의 고리는 실제로 어떻게 생겼을까? [74] 전자기파동 15/01/28 00:17 13669 101
    스페이스 엔진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12] 전자기파동 15/01/27 10:42 9326 64
    쥐새끼인가 개새끼인가. 불독을 살려둔 대가 [13] 전자기파동 14/12/17 02:38 3798 14
    네번 째 등반만에 성공한 화증 세줄 [10] 전자기파동 14/12/03 09:48 1936 15
    지난 20일 화성을 14만km 거리로 스쳐지나간 C/2013 A1 혜성 [10] 전자기파동 14/10/22 23:46 6975 47
    지금 화성을 향하는 혜성 사이딩 스프링 [10] 전자기파동 14/10/22 23:30 7226 46
    태양에서부터 빛의 속도로 지구에 들이박는 영상 [14] 전자기파동 14/10/15 02:31 11446 50
    [시뮬레이터] 태양은 얼마나 먼 거리에서까지 보일까? [22] 전자기파동 14/09/23 03:34 9955 102
    [스크롤압박주의] 우주공간에서 지구 찾기 [스페이스압박주의] [14] 전자기파동 14/09/21 12:51 5510 71
    위성에서 본 행성들 [27] 전자기파동 14/08/26 23:22 12228 115
    심심하면 올라오는 태양계 행성 크기 비교 [50] 전자기파동 14/08/10 03:16 10216 108
    [스페이스압박주의] 스페이스 엔진으로 태양계를 여행해 보았습니다2 [11] 전자기파동 14/05/24 21:58 14985 31
    [스페이스압박주의] 스페이스 엔진으로 외계별을 관찰해 보았습니다2 [3] 전자기파동 14/05/23 19:30 8652 37
    실시간으로 우주여행하는 글 3 [71] 전자기파동 14/05/22 13:22 4113 31
    실시간으로 우주여행하는 글 [38] 전자기파동 14/05/22 00:49 5435 49
    실시간으로 우주여행하는 글 2 [116] 전자기파동 14/05/21 22:03 3389 43
    [스페이스압박주의] 태양계의 거리 [14] 전자기파동 14/03/02 16:04 6656 54
    진짜 리신은 두 명 뿐인듯 [30] 전자기파동 13/12/04 21:34 11372 39
    어머니께서 석류를 다 뜯어다 컵에 담아 주심 ㅋㅋ [42] 전자기파동 13/11/16 01:35 15192 130
    공원에 산책하다 강아지랑 술래잡기하는 아저씨 봤어요 [58] 전자기파동 13/10/28 18:08 5803 129
    조혜련 옹호 여론 보고 느끼는게 있는데 [12] 전자기파동 12/11/13 11:33 9473 109
    [1]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