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삐딱ㅇㅇ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08-14
    방문 : 1930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umorbest_1028990
    작성자 : 빨래통
    추천 : 83
    조회수 : 2642
    IP : 182.213.***.101
    댓글 : 10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5/03/08 00:37:38
    원글작성시간 : 2015/03/07 22:41:42
    http://todayhumor.com/?humorbest_1028990 모바일
    [정치참여]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이 필요합니다.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시민 단체 참여 가이드라인 작성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중 (계속 추가 예정)</span></div> <div>현재 만드는 중이라 추가하면 좋겠다 싶은 시민단체가 있거나 글 내용에 오류나 추가 하고 싶은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의견을 부탁드립니다.</div> <div><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 size="6"><요약></font></div> <div style="text-align:center;">0. 투표는 최소의 정치참여입니다. 하지만 몇 년에 겨우 한번 오는 선거로는 모자랍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1. 시민단체는 <font color="#ff0000">시민의 자발적 참여</font>가 기반이 되는 <font color="#ff0000">적극적, 지속적 정치참여</font>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2. 시민활동가는 바쁜 <font color="#ff0000">시민들의 힘을 조직</font>해 가장 앞장서서 싸워주는 사람들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3. 그러니 시민들이 생계와 활동자금을 지원해주어야 권력과 자본에 당당히 저항할 수 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4. 시민단체가 이루어낼 성과는 다시 시민에게 돌아옵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5. 그러니 <font color="#ff0000">일단</font> 맘에 드는 곳 한 군데씩 단돈 5천원씩이라도 <font color="#ff0000">후원을 시작</font>해주세요. 시작이 반입니다.</div> <div><br></div> <div><이하 자세한 내용></div> <div><font size="6">목차</font></div> <div>0. 비영리 시민 단체의 필요성과 효과</div> <div><br></div> <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1. 시민단체</b></span></div></div> <div> 1) 참여연대</div> <div> 2) 선대인경제연구소</div> <div><br></div> <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b>2. 언론단체</b></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 1) 뉴스타파</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 2) 시사인</div></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 3) 팩트TV</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br></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b>3. 환경단체</b></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 1) 그린피스</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 2) 녹색연합</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br></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b>4. 가입하지 말아야 할 곳</b></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 size="4"><br></font></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 size="4"><b><비영리 시민 단체의 필요성과 효과></b></font></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 size="4"><br></font></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 size="4"><b>"민주주의의 최후의 보루는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입니다." - 노무현 전 대통령</b></font></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 size="4"><br></font></div> <div style="text-align:left;"><b style="color:#252525;font-family:sans-serif;font-size:14px;line-height:22.3999996185303px;">시민 단체</b><span style="color:#252525;font-family:sans-serif;font-size:14px;line-height:22.3999996185303px;">(市民團體)는</span><span style="font-family:sans-serif;font-size:14px;line-height:22.3999996185303px;"><font color="#ff0000"> 공동선과 공공의 이익</font></span><span style="color:#252525;font-family:sans-serif;font-size:14px;line-height:22.3999996185303px;">을 위해 봉사나 구호활동을 펼치고 기본적으로 </span><span style="font-family:sans-serif;font-size:14px;line-height:22.3999996185303px;"><font color="#ff0000">국가나 자본으로부터 독립</font></span><span style="color:#252525;font-family:sans-serif;font-size:14px;line-height:22.3999996185303px;">해서 활동하는 </span><a target="_blank" href="http://ko.wikipedia.org/wiki/%EB%B9%84%EC%A0%95%EB%B6%80%EA%B8%B0%EA%B5%AC" title="비정부기구" class="mw-redirect" style="text-decoration:none;color:#0b0080;font-family:sans-serif;font-size:14px;line-height:22.3999996185303px;background-image:none;" target="_blank">비정부기구</a><span style="color:#252525;font-family:sans-serif;font-size:14px;line-height:22.3999996185303px;">(Non-Government Organization, NGO)를 뜻한다. -위키백과-</span></div> <div><span style="font-size:large;line-height:24.5454540252686px;text-align:center;"><br></span></div> <div> 정치참여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방법인 투표부터 <b>민원, 청원, 정당 활동, 시위 등 여러가지 방법</b>이 있습니다. 그 중에 시민단체 참여를 소개하겠습니다. 시민단체는 정치권에 압력을 넣거나 기업들의 불법행위를 감시하는 등의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개인이나 특정 당이 할 수 있는 영역과는 조금 다릅니다. 활동이 조직적이며 특정 정치세력의 이익보다는 <font color="#ff0000">공공의 선과 이익을 우선</font>합니다.</div> <div><br></div> <div> 그런데 위에서 보셨듯이 시민단체란<b>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b>를 기반으로 운영됩니다. 하지면 현재 많은 시민 단체는 그 운영이 어려워 국가에서 보조금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는 시민 단체가 국가보조금을 받으면 국가에게 싫은 소리를 하기가 힘들어집니다. 국가로부터 지원받는 단체 중 일부(한국자유총연맹, 바르게살기운동본부, 새마을운동중앙회 등)는 국가와 결탁, 정치인에게 압박을 가해 세금으로 사욕을 챙는 경우도 있습니다.</div> <div><출처:뉴스타파 <a target="_blank" href="http://newstapa.org/9272" target="_blank">http://newstapa.org/9272</a>></div> <div><br></div> <div> 이처럼 시민단체가 국가나 자본으로부터 독립해 우리의 목소리를 제대로 대변해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선 <b>시민들의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참여와 후원</b>을 통해서 활동가들을 십시일반 물질적으로 지원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왜냐하면 시민단체는 <b><font color="#ff0000">모호한 시민들의 여론을 구체화해서 조직적인 활동을 하고, 소송이나 고발 등 개인이 부담하기 힘든 위험과 노력을 대신 안아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font></b></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군인과 경찰을 예로 들자면, 이들은 공공의 안전을 지키고 위험을 부담하기 때문에 시민들이 세금으로 급여를 줍니다. 시민 개개인이 자신의 안전을 지키는 것은 아무래도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전문화를 통해서 효율적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시민단체 활동가들도 생계를 이어나갈 수 있고 활동 자금이 있어야 권력과 자본을 두려워하지 않고 소신있게 시민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기 위한 노력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국민의 목소리를 잘 대변해주는 단체나 활동가에게 더욱 많은 후원이 이루어지고 그 목소리는 더욱 커져서 제대로된 사회를 만드는 발판이 됩니다. 이런 과정의 모식도는 아래와 같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span>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2/1424332032CTBVsMR3B9BFgswDsyl5Ma.jpg" width="800" height="273" alt="도표.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 이와 같이 시민단체의 힘으로 서민을 위한 정책이 실행되면 그 이익은 대다수 시민에게 돌아가고, 이를 통해 시민단체는 지속적으로 대다수 시민을 위한 정책을 이끌어 낼 수 있게 됩니다. </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1.5;"><span style="font-size:9pt;"> 저는 계속 </span><b><font color="#ff0000" size="5">후원</font></b><span style="font-size:9pt;">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시민단체에게 정말 필요한 것은 <b>물질적인 지원과 참여</b>입니다. 속물적이라 느끼실지도 모르겠지만, 의식주는 돈이 없으면 해결되지 않습니다. '동정할 거면 돈으로 달라'는 말도 있듯이 </span><span style="font-size:9pt;">물질적인 도움</span><span style="font-size:9pt;">이 진짜 도움이 됩니다. 시간이 없거나 여러 사정이 있어 직접 나서기가 힘드신 분들은 후원으로도 도울 수 있습니다. 만약 우리의 이익을 위해 싸워주는 사람들을 우리가 지원해주지 않으면 </span><b style="font-size:9pt;">언젠간 아무도 우리를 위해 싸워주지 않을 겁니다.</b><span style="font-size:9pt;"><b> 큰 돈이 들지도 않습니다.</b> 작게는 한달에 오천원부터 시작할 수 있습니다. 저도 참여연대와 뉴스타파에 각각 오천원씩 후원하고 있습니다. <b>일단 마음에 드는 곳에 후원을 시작</b>해주세요. 후원을 하시다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더 마음에 드는 곳에 후원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span></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1.5;"><span style="font-size:9pt;"><br></span></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1.5;"><span style="font-size:9pt;"> 저는 오유의 많은 분들이 정치참여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 실제 방법을 모르거나 단체가 너무 많아 갈피를 잡지 못하시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이를 위해서 이 글을 작성했습니다. 단체 리스트는 앞으로 추가될 것입니다. 부디 오유에서부터 1인 1참여가 이루어졌으면 좋겠습니다.</span></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1.5;"><span style="font-size:9pt;"><br></span></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1.5;"><span style="font-size:9pt;"> (실은 <u>정당가입이 가장 직접적인 방법입니다만</u>, 현재 정당가입을 하라고 하면 몇가지 선택지가 없기 때문에 따로 언급은 하지 않겠습니다. 저보다 똑똑한 오유 여러분들 중에 누군가가 써주시면 좋겠습니다. ㅜㅜ)</span></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 <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아래는 본문 내 시민 단체 목록입니다. 내용이 많으므로 끌리는 곳부터 먼저 봐주세요.</b></span></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br></b></span></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1. 시민단체</b></span></div></div> <div> 1) 참여연대</div> <div> 2) 선대인경제연구소</div> <div><br></div> <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b>2. 언론단체</b></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 1) 뉴스타파</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 2) 시사인</div></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 3) 팩트TV</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br></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b>3. 환경단체</b></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 1) 그린피스</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 2) 녹색연합</div></div> <div><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 size="4"><시민단체></font></div> <div><b><font size="6">1. 참여연대</font><font size="2"> (<a target="_blank" href="http://www.peoplepower21.org/" target="_blank">http://www.peoplepower21.org/</a>)</font></b></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2/1424333500iygv4BY2XOjQFaGYkLNQFODQh.jpg" alt="참여연대01.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width:640px;height:423px;"></div> <div style="text-align:left;"><메인 페이지></div></div> <div><b><br></b></div> <div> 아마 한 번 쯤 이름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참여연대는 가장 대표적인 시민단체로서 그 역사도 1994년부터 시작해 20년이 넘고 활동영역도 매우 광범위합니다. 참여연대의 활동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3/1425647172nMnF1ovNkNr4QBuFg3s99moTCEY.jpg" width="399" height="187" alt="참여연대07.jpg" style="border:none;"></div> <div><br></div>크게는 <b>1.권력감시 2.사회경제 3.국제/평화/연대</b> 영역으로 나누어져있으며 그 밑에는 세부 영역들이 있습니다. 후원을 할 때 희망하신다면 후원금의 70%를 관심분야에 집중적으로 지원하실 수 있습니다.</div> <div><br></div> <div> 참여연대는 또 다른 3가지 분류를 두고 있습니다.</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2/1424334908VlAe9ezDvQqmdoQ2wEXnC4ovbw.jpg" alt="참여연대02.jpg" style="border:none;width:480px;height:164px;float:right;margin-left:1em;"></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첫번째로 </span><b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발간자료</b><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영역입니다. (오른쪽 사진)이곳에는 크게 '이슈리포트'와 '정책자료'가 있습니다.</span></div></div> <div> 이슈리포트에서는 말 그대로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여러 사안들에 대한 보고서가 올라오며 그 내용이 구체적이고 잘 정리되어 있어 일반인도 어느정도 인내심을 가지면 고급정보를 습득할 수 있습니다.</div> <div> 정책자료에서는 특정 정부 부서에 제출하는 각종 의견서, 제안서, 정책보고서 등이 있습니다.</div> <div><br></div> <div> 둘째는 <b>입법자료</b> 영역입니다. 청원은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시민단체나 개인이 직접적으로 행정부나 국회에 의견을 제출하는 정치 참여 방법입니다만, 개인이 하기엔 쉽지 않습니다. 개인은 시민단체에 참여함으로써 이 과정에 참여가 가능합니다. 진행상황을 보면 많은 폐기된 청원도 많지만 부분이나 완전 반영된 법안들도 많습니다. 이는 차후 참여가 증가함에 따라 반영율을 올릴 수 있습니다.</span></div> <div><br></div> <div> 셋째는 <b>소송자료</b>입니다. 밑의 사진에서 보시듯이 (비록 패소하긴 했습니다만) 시민 변론이나 고발이나 고소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법의 영역도 일반인이 쉽게 접근하기가 쉽지 않은 부분이지만, 시민단체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참여가 가능합니다.</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2/1424336129xZPNLQWx7z3O3SbkWgf.jpg" alt="참여연대05.jpg" style="border:none;width:480px;height:177px;"></div><br></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2/1424336312XDiXkkOX.jpg" width="226" height="91" alt="참여연대06.jpg" style="border:none;float:left;margin-right:1em;"></div> 현재 참여연대는 20년이나 된 역사에도 불구하고 회원 수는 2월 19일 설 기준으로 만 오천명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는 아직 시민단체 참여가 많이 부족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여담입니다만, 가입을 하니까 직접 전화가 왔습니다. 그만큼 한 사람 한 사람 참여가 귀중한 것 같습니다. 또르르...)</div> <div> 참여연대는 활동범위가 넓고 전문적이라 처음에 접하기는 조금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그 만큼 고급정보를 얻을 수도 있고, 오랜 시간 천천히 들여다보면 분명 많은 것을 얻어가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div> <div>후원페이지 : <a target="_blank" href="https://mrmweb.hsit.co.kr/Member/MemberJoin.aspx" target="_blank">https://mrmweb.hsit.co.kr/Member/MemberJoin.aspx</a></div> <div><br></div> <div><br></div> <div><font size="6" style="font-weight:bold;">2.선대인경제연구소 </font><font size="2">(<a target="_blank" href="http://www.sdinomics.com/" target="_blank">http://www.sdinomics.com/</a>)</font></div> <div> <div style="font-weight:bold;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2/1422802474UHKbPg8kmckPFEamF4ne9pIkPH.jpg" width="567" height="376" alt="001.jpg" style="border:none;"></div> <div style="text-align:left;"><메인페이지 화면></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div> <div> 지금 우리는 자본주의라는 ‘경제 체제’속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경제는 개인의 생존에도 직결된다는 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지금의 경제 체제는 너무 커지고 복잡해져서 한눈에 파악하기가 어렵습니다. 또 배우려고 해도 접근이 쉽지도 않은 학문입니다. 때문에 우리는 경제에 대해서 ‘감으로’ 판단하는 경향이 높습니다. 만약 이런 와중에 만일 정부나 언론이 잘못된 혹은 왜곡된 발언을 하게 되면 경제 지식이 부족한 일반 국민들은 제대로 된 목소리를 내기가 힙듭니다. 그래서 저는 가능하면 <b>독립적이고 전문성을 갖춘 시민경제연구단체</b>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2/1423212287nKKREUmq9Fh93mMYmDDKMRci5rn.jpg" width="228" height="130" alt="002.jpg" style="border:none;float:right;margin-left:1em;"></div></div> <div><br></div> <div> 선대인경제연구소는 이름 그대로 소장 선대인 씨를 선두로 한 경제 연구 단체입니다. 이 단체는 주로 일반가계와 그에 속한 서민들의 경제 선택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 각종 연구와 보고서를 발표합니다.</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 연구소의 결과물로는 <b>보고서</b>가 있습니다. 먼저 이 보고서들은 주제별로 부동산, 가계부채, 재무관리, 세금/예산, 주식/금융, 노후/고령화, 정부정책, 산업/기업, 국제경제로 나누어져 1주에 1회에서 3회 정도 업데이트 됩니다. 신문이나 기타 인터넷의 짧은 지면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깊은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보통 보고서 내부에 용어 해설이 있기도 하고 홈페이지의 우측하단에 보시면 경제 용어 해설을 위한 페이지들이 준비되어 있습니다.</span></div> <div><br></div> <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2/1422802779qvzSZ23IOKgVtTO8hG1.jpg" width="138" height="251" alt="004.jpg"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border:none;float:right;margin-left:1em;"><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다만 이 보고서들은 경제 전문가들이 투입한 <b>노력의 결과물이기 때문에 무료는 아닙니다.</b> 이분들도 생계는 이어나가야 좋은 결과물들을 만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들 수 있겠지요. 가장 저렴하고 대중적인 리포트를 구독하기 위한 SDI리포트는 1년에 11만 9천원으로 12개월로 나눠보면 <b>만원도 되지 않습니다.</b> 잘못된 경제선택으로 곤욕을 겪기 보다는 지식도 늘리고 위험을 피해가는 기회비용으로는 저렴하다고 생각됩니다. 샘플 보고서도 있으니 읽어보시고 마음에 들면 구독하시면 됩니다.</span></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샘플 : </span><a target="_blank" href="http://www.sdinomics.com/data/sample"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target="_blank">http://www.sdinomics.com/data/sample</a><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장기 구독을 하면 할인도 되고 좀 더 값이 나가는 리포트들은 더욱 심층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으니 고려해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span></div> <div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구독신청페이지 : <a target="_blank" href="http://www.sdinomics.com/info/application" target="_blank">http://www.sdinomics.com/info/application</a></span></div></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추가로 연구소 소장인 선대인 씨의 프로필을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현재 소속은 선대인경제연구소의 소장, 세금혁명당의 대표입니다. 학력은 하버드대학교 케네디대학원 공공정책학 석사이며 이전 동아일보 기자였습니다. 가장 최근에 낸 책으로는 『선대인, 미친 부동산을 말하다 - 웅천하우스』가 있으며 세바시, 뉴스타파등에도 자주 출연해 경제를 해설하고 대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출처-네이년)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하는 선대인 연구소장 관련 영상입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_3w35vzQec8" frameborder="0"></iframe></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아파트 가격에 관련하여 선대인 소장님이 나와 이야기를 합니다. 앞으로 아파트를 사셔야하거나 아파트 가격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올립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DPapoMGWSHY" frameborder="0"></iframe></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2011년에 나온 영상이지만 지금도 크게 다르지 않은 상황이라 올립니다. 15분이니 부담없이 보실수 있습니다.></span></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 size="5"><언론 및 대중 매체></font></div> <div><font size="6">1. 뉴스타파</font> (<a target="_blank" href="http://newstapa.org/" target="_blank">http://newstapa.org/</a>)</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2/1422803532yoGszhx6Vc.jpg" width="800" height="651" alt="006.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메인 화면></div> <div><br></div> 2012년 해직언론인들을 중심으로 하는 탐사보도 중심의 언론입니다. 인터넷과 유투브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언론매체이며 기본적으로는 무료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3,4일 간격으로 기사가 올라오며 보통 하나의 기사 내에 4,5개 정도의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30분 내외의 동영상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도 제공되고 있어 편하고 부담스럽지 않게 보실 수 있습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2/1422803619ZFw54qXUKjxoOQqe3R3uz3d.jpg" alt="007.jpg" style="border:none;float:right;margin-left:1em;width:480px;height:398px;"></div> 홈페이지에 게재된 정보로는 36명의 제작진이 현재 활동중이며 뉴스타파의 재밌는 점은 바로 <b>시민들의 정기후원으로 제작</b>된다는 것입니다. 현재 3만 5천 명 정도가 후원을 하고 있습니다. 작성도 본인도 매달 5천 원씩 후원을 하고 있습니다.</div> <div><br></div> <div> 언론이 시민들의 후원으로 제작된다는 것은 큰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조중동과 기타 기존의 언론들은 현재 구독료보다는 기업의 광고료로 운영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러니 스폰서에게 거슬리는 보도는 하지 않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그리고 그 스폰서와 결탁하고 있는 새누리당 및 극우단체에게 거슬리는 보도도 할 수 없습니다.<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딱히 조중동에 있는 기자들이 죽일 놈들이 아니라, (물론 편집장 이상이나 경영진은 죽일 놈 맞습니다) 그런 시스템하에선 사람은 시스템이 원하는대로 움직일 수 밖에 없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하지만 뉴스타파는 <b>월급을 주는 사람이 시민</b>이니 시민들이 원하는 진실한 보도를 하고, 정직한 보도를 위해서라면 두려움 없이 부패의 현장으로 뛰어들 수 있는 것입니다.</span></div> <div><br></div> <div> 그래서 저는 개인적으로 가장 추천드리고 싶은 단체가 뉴스타파입니다. 시민을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개개인의 이력도 저항의 세월이 묻어나기에 시민들의 힘을 조금만 모은다면 분명 제대로 된 언론을 만들 수 있습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2/1424336912SJRQ6a5NcndA85z.jpg" width="269" height="41" alt="뉴스타파04.jpg" style="border:none;"></div>뉴스타파의 정기 후원자수는 2월 19일 현재 35,463명입니다.</div> <div>후원페이지 : <a target="_blank" href="https://mrmweb.hsit.co.kr/Member/MemberJoin.aspx" target="_blank">https://mrmweb.hsit.co.kr/Member/MemberJoin.aspx</a></div> <div><br></div> <div>경주 리조트 사고 이후의 정부와 기업의 기만성을 추적, 취재한 기사를 링크합니다. 30분 정도면 보실 수 있습니다.</div> <div><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M02mhQ04Z08" frameborder="0"></iframe></div> <div><br></div> <div><br></div> <div><font size="6"><br></font></div> <div><font size="6"><br></font></div> <div><font size="6">2. 시사인</font> (<a target="_blank" href="www.sisainlive.com/" target="_blank">www.sisainlive.com/</a>)</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2/14232127396a76DHuh23MCn7CgJEsatELIFl3X8bwo.jpg" width="800" height="441" alt="시사인-1.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메인 화면></div> <div><br></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시사인은 저항에서부터 시작했습니다. 2006년 <시서저널>에서 삼성 부회장에 대한 의혹기사가 시사저널 사장에 의해 삭제됨을 계기로 노조결성, 무기한 파업 이후 <시사IN>이 창간되며 시작했습니다.</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6.3636360168457px;"> 집요한 탐사보도로 유명한 주진우 기자가 소속된 언론이며 현재 주간지 중에선 가장 판매 부수가 많다고 합니다.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6.3636360168457px;">(출처 : ABC 유가 부수 <시사IN> 1위 - </span><a target="_blank" href="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693" style="font-size:9pt;line-height:16.3636360168457px;" target="_blank">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693</a><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6.3636360168457px;">)</span></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2/1423214784FnpxByDC6k41aKMz1AToSK.jpg" alt="시사인-2.jpg" style="border:none;float:right;margin-left:1em;width:320px;height:211px;"></div> 정치 비판과 오덕코드를 잘 조화시킨 것으로 유명한 <b>굽시니스트</b>도 시사인에서 연재중입니다. (링크 : <a target="_blank" href="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List.html?sc_serial_code=SRN60" target="_blank">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List.html?sc_serial_code=SRN60</a>)</div> <div><br></div> <div> 개인적으로는 <b>지면으로 구독</b>했을 때 가장 좋은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넷 홈페이지에는 기존 언론처럼 많은 광고들이 노출 되어있어서 보기에 편하시진 않습니다. 구독료 지면으로 월 만 오천 원이며 주간지이기 때문에 1달에 4번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혹은 가까운 편의점이나 가판대에서 판매하기도 하기 때문에 관심 있으신 분들을 한 두번 사서 보신 후에 결정하셔도 좋을 듯합니다.</div> <div><br></div> <div>구독신청 페이지 : <a target="_blank" href="https://www.sisainlive.com/com/kdInfo.html" target="_blank">https://www.sisainlive.com/com/kdInfo.html</a></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font size="6">3. 팩트TV</font> (<a target="_blank" href="http://facttv.kr/" target="_blank">http://facttv.kr/</a>)</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3/1425731051wfSBQr45J22evYUO7M56akaYfiZuDL2.jpg" width="800" height="441" alt="팩트01.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메인화면></div> <div> 팩트TV는 인터넷 기반 종합편성방송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3/1425732214biLKqjMA5MBUOQsdAe5letWh.jpg" width="131" height="83" alt="팩트02.jpg" style="border:none;float:left;margin-right:1em;"></div> <div><왼쪽의 ON AIR 이미지가 팩트 TV의 정체성을 드러냅니다.></div> <div><br></div>1. 편집 없는 실제 영상, 현장에서 일어나는 실제 영상들을 다룹니다.</div> <div>팩트 TV는 <b><font color="#ff0000">각종 집회 현장이나 국회의정활동</font></b> 등을 아프리카TV나 유투브로 <b><font color="#ff0000">실시간 방송</font></b>합니다. (차후 유투브에 다시보기가 업데이트 됩니다.) 개인적으로 예전에 한진중공업 시위에 참여한 적이 있는데, 시간이 많이 늦어져서 먼저 집에 간 뒤에도 아프리카TV로 진행상황을 지켜본 적이 있습니다. 이는 사회 이슈에 대한 간접적인 경험이 됩니다. 또 간접적으로나마 지켜보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효과도 있습니다. 언제나 <span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font-size:9pt;">전태일열사, 5.18광주 민주화 운동, 6월 민주화 항쟁등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격렬한 사회운동에는 생생한 영상기록이 방아쇠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생중계가 비록 촬영하는 사람도 보는 사람도 힘든 일입니다만, 그래도 분명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span></div> <div> </div> <div>2. 인터넷 기반임에도 ON Air를 띄울 정도로 <b>프로그램 편성</b>을 통해 컨텐츠 생산을 중요시하고 있습니다.</div> <div> 월 : 팩트TV스페셜</div> <div> 화 : 곽노현의 나비 프로젝트</div> <div> 수 : 남태우의 뉴스디스크</div> <div> 목 : 인태연의 을짱시대</div> <div> 금 : 썸타는 티브이</div> <div>이러한 프로그램들을 저녁 7시에 진행하고 다시보기는 유투브를 통해 제공됩니다.</div> <div><br></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팩트TV는 크게 2가지 후원 방식이 있습니다.</span></div> <div>1. <b>팩트TV 희망펀드</b> :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펀드는 후원의 성격도 있지만, 투자의 성격도 띠고 있습니다. 2년 만기에 3% 이자를 받을 수 있고 최고 금액이 30만원 이상입니다.</span></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3/1425733916cCeJyjLxFmvI6IQ9yNDg.jpg" alt="팩트03.jpg" style="border:none;width:320px;height:105px;"></div></div> <div>(후원 페이지 : <a target="_blank" href="https://form.office.naver.com/form/responseView.cmd?formkey=MzM0ZTkzOGYtMWNiZi00MmI5LThjZGItODBiODA2ZTc5OWQ4&sourceId=urlshare" target="_blank">https://form.office.naver.com/form/responseView.cmd?formkey=MzM0ZTkzOGYtMWNiZi00MmI5LThjZGItODBiODA2ZTc5OWQ4&sourceId=urlshare</a>)</div> <div><br></div> <div>2. <b>정기 및 일시후원</b> : 일반적인 후원방식입니다.</div> <div>(후원 페이지 : <a target="_blank" href="http://facttv.kr/facttvnews/section.php?thread=23r01&flashMenu=5" target="_blank">http://facttv.kr/facttvnews/section.php?thread=23r01&flashMenu=5</a>)</div> <div><span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br></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br></span></div> <div><span style="line-height:16.3636360168457px;"> 현재 팩트TV는 <b>심각한 재정난</b>에 처해있다고 합니다. 다시 말해 도산의 위기에 처해있습니다. 이러한 사정을 오유나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려서 후원을 부탁하는 글들에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대안언론이 너무 많다. 인기가 없으면 사라지는 게 맞지 않나'는 냉소적인 반응에 조금은 놀랐습니다. 이러한 의견들을 이해는 합니다만, 결국 자본과 권력의 폭압에서 벗어나기 위해 시작해도 수요와 공급이라고 하는 시장경제 원리에 잘 적응해 많은 사람들의 후원을 얻어내야 살아남을 수 있다는 아이러니한 상황에 씁쓸한 기분이 듭니다. 애초에 시민들의 참여규모가 크지 않기 때문에 시민단체나 대안언론이 더 이상 성장하지 못하고, 이런 성장과 활동지체는 다시 시민들의 실망과 냉소를 불러일으키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는 게 제 느낌입니다. 최소한 어딘가에 후원이나 참여를 하고 시민단체나 대안언론에 대한 평가를 내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span></div> <div><br></div> <div><br></div> <div><font size="6">4. 미디어협동조합 (뉴스K)</font> (<a target="_blank" href="http://news.kukmin.tv/" target="_blank">http://news.kukmin.tv/</a>)</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 size="5"><br></font></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 size="5"><br></font></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 size="5"><환경단체></font></div> <div><font size="6">1. 그린피스</font>(<a target="_blank" href="www.greenpeace.org/korea/" target="_blank">www.greenpeace.org/korea/</a>)</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3/14254800752kQVbmRvkVWwnttOW.jpg" width="800" height="367" alt="그린피스01.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br></div> <div>제일 먼저 누구나 아실 만한 <b>그린피스</b>부터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1971년부터 40여 개국, 3백만명 이상이 활동을 하고 있는 <b>전세계적인 환경단체</b>입니다. 환경단체의 의미는 기업이나 정부가 감추고 싶어하는 환경파괴를 쫒아가 <b>기록하고 폭로</b>하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폭로를 통해 여론을 형성, 직간접적 행동을 통해 정치권과 기업에 압력을 가합니다.</div> <div><br></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span>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3/14254803149uNResKGGAcpWhSBnB.jpg" alt="그린피스02.jpg" style="border:none;float:right;margin-left:1em;width:240px;height:251px;"></div>분야는 크게 4가지입니다.</div> <div><b>1.기후와 에너지</b></div> <div> 1) 북극 보호</div> <div> 2) <font color="#ff0000">탈핵</font></div> <div> 3) 석탄 사용 줄이기</div> <div> 4) 후쿠시마를 잊지 마세요</div> <div><b>2. 해양 보호</b></div> <div> 1) 착한 참치 요구</div> <div> 2) 고래 보호</div> <div> 3) 남극해 보존</div> <div><b>3. 삼림 보호</b></div> <div><b>4. 독성물질 제거</b></div> <div><br></div> <div>이 중 가장 관심이 많은 탈핵은 전세계적인 주제로서 현재 유럽 선진국들은 탈핵중이며 이는 한국에서의 탈핵으로 이어질지도 모르겠습니다.</div> <div><br></div> <div><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3/1425480333XonXGDQJGffDHqXufAGpqgO8AuN3oR.jpg" alt="그린피스04.jpg"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order:none;float:left;margin-right:1em;width:240px;height:393px;"></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span>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린피스에 참여하는 방법은 크게 4가지입니다.(왼쪽 사진)</span></div></div> <div> 첫번째는 <b>후원</b>으로서 가장 간편하면서 직접적인 지원입니다. 그린피스라는 초거대 환경단체도 결국에는 후원에 의지할 수 밖에 없습니다. 후원이 일단 기본입니다.  시간이 없으시더라도 월 만원 혹은 5천원 이상은 내실 수 있을 겁니다.</div> <div> 두번째는 뉴스레터 구독입니다.</div> <div> 세번째는 <b>자원봉사</b> 신청입니다. 대략 6가지 정도이며 자신의 능력이나 재능을 기부할 수 있습니다. 전 이게 재밌게 느껴지는 부분인데 환경운동을 피부로 느끼고 싶으신 분들이나 자신의 재능을 기부하고 싶은 분들이 지원하시면 좋다고 생각합니다.</div> <div> 마지막은 <b>서명</b>을 모은 페이지입니다. 원전 가동 정지 서명도 있으니 많은 참여부탁드립니다. (링크 : <a target="_blank" href="http://grnpc.org/IgepA" target="_blank">http://grnpc.org/IgepA</a>)</div></div> <div><br></div> <div>후원 페이지 : <a target="_blank" href="http://www.greenpeace.org/korea/get-involved/donate/" target="_blank">http://www.greenpeace.org/korea/get-involved/donate/</a></div> <div><font size="6"><br></font></div> <div><font size="6"><br></font></div> <div><font size="6"><br></font></div> <div><font size="6"><br></font></div> <div><font size="6"><br></font></div> <div><font size="6">2. 녹색연합</font>(<a target="_blank" href="www.greenkorea.org/" target="_blank">www.greenkorea.org/</a>)</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3/14254806252LsGKkUB4axgnMOQjXU.jpg" width="800" height="400" alt="녹색연합01.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div> <div><br></div>녹색연합은 1991년부터 활동해온 국내환경단체입니다. 환경단체의 의미는 기업이나 정부가 감추고 싶어하는 환경파괴를 쫒아가 <b>기록하고 폭로</b>하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폭로를 통해 여론을 형성, 직간접적 행동을 통해 정치권과 기업에 압력을 가합니다.</div> <div><br></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3/1425480691m4XMYEcNCOzSCna2gMyB9JDJXWwvkD.jpg" alt="녹색연합02.jpg" style="border:none;float:left;margin-right:1em;width:131px;height:269px;"></div> <div>활동 영역입니다.</div> 1. <b>DMZ.접경지역</b>과 <b>백두대간</b>입니다. DMZ는 Korean Demilitarized Zone의 약자로 한반도 비무장 지대입니다. 국토의 대부분이 개발된 한국으로선 다양한 멸종위기종들도 다수 서식하는 아주 귀중한 장소입니다. 지금은 군사적 이유때문에 개발이 억제되고 있지만 이후 개발 가능해지거나 통일이 되더라도 반드시 지켜야할 곳입니다.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부터 뻗어 내려오는 한반도의 등뼈로서 역시 환경보호 차원에서 지켜야 할 곳입니다. 안타까운 것은 이런 곳마저 현재 효용에 대한 여러가지 의혹과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는 평창올림픽등으로 무자비하게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에 관련해 청원활동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링크 : <a target="_blank" href="http://www.nolympic2018.org/" target="_blank">http://www.nolympic2018.org/</a>)</div> <div> 2. <b>강,하천과 야생동물</b>은 제목 그대로의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3. <b>기후 및 에너지</b>입니다. 지금의 최대 이슈인 <font color="#ff0000">탈핵</font>을 비롯한 이슈들을 다루고 있습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 4. 정책현안, 환경일반, 녹색아카데미입니다. 각자 맞게 보시면 됩니다.</span></div></div> <div><br></div> <div> 이어서 녹색연합에서는 몇개의 캠페인을 진행중입니다. 그 중 하나, <b>녹색생활백서</b>가 재밌어보여서 소개하겠습니다. 여기엔 실생활에서 활용가능한 환경보호생활을 위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피부로 와닿는 내용으로 이뤄져있어 생활 속 실천에 관심 있으신분들에게 유용할 것 같습니다. (링크 : <a target="_blank" href="http://www.greenkorea.org/?cat=57" target="_blank">http://www.greenkorea.org/?cat=57</a>)</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03/07 22:59:56  112.173.***.7  잠좀잡시다  529566
    [2] 2015/03/07 23:43:39  211.104.***.34  필스너우르켈  562557
    [3] 2015/03/07 23:47:46  123.99.***.182  게르만족  346574
    [4] 2015/03/08 00:01:50  125.178.***.154  자유철학  397099
    [5] 2015/03/08 00:03:29  220.120.***.214  BlackDragoon  563574
    [6] 2015/03/08 00:11:28  115.160.***.75  증도가자  610945
    [7] 2015/03/08 00:13:16  125.178.***.47  도토리사랑  496366
    [8] 2015/03/08 00:19:07  121.129.***.222  확실해?  495387
    [9] 2015/03/08 00:20:12  211.229.***.180  막시버무스  545743
    [10] 2015/03/08 00:37:38  1.250.***.252  라이엇코리아  407807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부산 200k 브레베 다녀왔습니다 [2] 삐딱ㅇㅇ 17/10/24 00:25 716 10
    [본삭금] 낙차 경험 공유해보고 싶습니다. [28] 본인삭제금지 삐딱ㅇㅇ 17/09/20 00:51 748 15
    낙차했습니다. [12] 삐딱ㅇㅇ 17/09/09 18:10 1679 18
    토요일에 간절곶 다녀왔습니다 [5] 삐딱ㅇㅇ 17/08/01 00:33 591 12
    인증은 지름이죠. 로드 입문!! [8] 삐딱ㅇㅇ 17/06/21 14:34 1166 18
    (냉무) 황령산 업힐 실패했습니다. [3] 삐딱ㅇㅇ 17/06/14 13:03 1155 16
    조금 늦었지만 므틉 인증할게요 [2] 삐딱ㅇㅇ 17/06/07 15:19 1133 13
    지금 딱 병자호란 꼴 날 듯. [44] 빨래통 16/02/12 16:53 7675 84
    [bgm]가장 빠른 수술로 유명했던 '날아다니는 칼' 로버트 리스턴 [16] 빨래통 15/06/15 06:08 20808 92
    [약후방주의] '용이산다' 커플링 선호도 조사 [41] 본인삭제금지 빨래통 15/05/14 12:50 6951 37
    [대안언론 소개] 뉴스K - 미디어언론조합 [1] 빨래통 15/03/17 09:38 1979 65
    [정치참여] 함께하면 공포는 반이 되고 용기는 배가 됩니다. -시민단체- [3] 빨래통 15/03/15 16:32 2069 44
    [정치참여]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이 필요합니다. [10] 빨래통 15/03/08 00:37 2642 83
    [정치참여] 시민단체를 후원해주세요 [7] 빨래통 15/03/03 00:07 1873 45
    오덕 컨텐츠가 차별 받는 이유에 대한 고찰. [26] 빨래통 15/02/19 21:02 5647 40
    기성 세대들은 대부분 이런 생각을 하는 것 같습니다 [42] 빨래통 15/02/10 23:11 5741 113
    의원내각제 개헌은 '귀족화'라고 해야겠군요. [11] 빨래통 15/02/05 22:05 3209 56
    [ㅂㅅㄱ] 야동 차단에 관해 진지하게 말씀드립니다. [44] 본인삭제금지 빨래통 15/01/14 14:07 6784 123
    [1]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