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Dementist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08-02
    방문 : 2492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umorbest_766545
    작성자 : Dementist
    추천 : 28
    조회수 : 10505
    IP : 115.88.***.168
    댓글 : 4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3/10/17 18:51:31
    원글작성시간 : 2013/10/17 13:35:41
    http://todayhumor.com/?humorbest_766545 모바일
    불편한 진실 - 아동학대의 현실 <BGM>
    <div align="center"> <embed height="180"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width="422" src="http://player.bgmstore.net/Wr11o" allowaccess="null" allowfullscreen="null"></embed><br /><a target="_blank" href="http://bgmstore.net/view/Wr11o" target="_blank">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Wr11o</a></div> <div align="center"> </div> <div align="center"> </div> <div align="center"> </div> <div style="text-align: center" 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 medium none; border-left: medium none; border-top: medium none; border-right: medium none" alt="1.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0/1381982744EpmwzFmv18.jpg" width="501" height="310" /></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 font-size: 10pt">  </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어린이집 원장과 교사가 유아를 폭행한 사실이 밝혀지며 언론과 여론을 후끈 달궜다. 검찰은 구속을 전제로 해 강도 높은 수사를 벌였으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지난달 30일 아동을 학대한 어린이집의 상호와 학대 행위자인 원장과 보육교사 명단 공개를 골자로 한 ‘영유아보호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span></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 font-weight: bold"><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1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아동학대 ‘주무대’와 ‘주범’ 따로 있다</span></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아이를 믿고 맡긴 어린이집에서 자행되는 아동학대 행위는 지탄을 받아 마땅하다. 관련법을 보완·강화하고 사회적 감시망을 가동해 이런 유형의 학대행위가 근절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어린이집에서 자행된 아동학대 사례는 2011년 159건, 2012건 135건으로 밝혀졌다.</span></span></span></span></div><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 </div></span> <div style="text-align: center; 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div style="text-align: center"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span></div></span><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span><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span></span></span></div> <div style="text-align: center" 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 medium none; border-left: medium none; border-top: medium none; border-right: medium none" alt="2.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0/1381982769u8yjlY4YXTXN8f3m5juu5.jpg" width="462" height="251" /></div> <div style="text-align: center; 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span><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span></div><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div style="text-align: center; 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 </div></span>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에 신고 된 아동학대 건수는 2011년 6058건, 2012년 6403건에 이른다. 경찰에 신고 된 사례와 신고 단계까지 가지 않은 경우까지 합한다면 전체건수는 크게 늘어날 것이다.</span><font style="font-family: Dotum,돋움" color="#670000"> 문제가 된 어린이집 아동학대 사례는 공식적으로 신고 된 건수의 2.2%에 지나지 않는다. 아동학대의 ‘주범’과 ‘주무대’는 따로 있다는 얘기다. </font></span></span></span></div><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div style="text-align: center; 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 </div></span>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민주당 김기식 의원실이 내놓은 자료에 의하면 아동학대 행위자(가해자)의 79.7%가 친부모인 것으로 밝혀졌다. 계부계모, 양부양모에 의한 경우가 4%, 친인척 6.4%, 보육원, 어린이집, 기타 사례 등이 10% 등이었다. </span><font style="font-family: Dotum,돋움" color="#000000">가정이 아동학대의 ‘주무대’이고, 학대의 ‘주범’은 친부모인 셈이다. ‘부모’라는 이름으로 자행된 아동학대 사례가 전체의 83.7%에 이른다. </font></span></span></span></div><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 </div></span> <div style="text-align: center; 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span></span></span></span></div><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div style="text-align: center" align="left"> <div style="text-align: center"><img style="border-bottom: medium none; border-left: medium none; border-top: medium none; border-right: medium none" alt="3.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0/1381982924gYZc6hRdGNd.jpg" width="577" height="384" /></div></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     </div></span></span></span>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 font-weight: bold"><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1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오물 속 생후 7개월 영아... 5년간 버려진 채 살아온 세 자매</span></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지난 3일 충격적인 얘기가 뉴스를 통해 전해졌다. 생후 7개월 된 여아가 쓰레기와 오물이 가득한 승합차에서 유기견 6마리와 함께 거반 방치된 상태에서 지내온 것으로 드러났다. 차안에는 플라스틱 병과 종이박스, 대소변으로 가득했고 심한 악취가 진동했다고 한다. 이렇게 영아를 방치한 건 50대 여인. 미혼모인 딸이 아이를 양육할 수 없다며 이 여인에게 아이를 맡긴 것이다. 경찰은 이 여인을 아동복지법 위반으로 검거하고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span></span></span></span></div><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 </div></span> <div style="text-align: center; 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div style="text-align: center" align="left"> </div></span></span></span></div> <div style="text-align: center" 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 medium none; border-left: medium none; border-top: medium none; border-right: medium none" alt="4.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0/1381982967IcTFUVq3EqbjzGhe3SFz.jpg" width="583" height="323" /></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span></span></span></span> </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지난 1월 5~6년간 반지하 방에 방치된 채 질병과 배고픔에 시달려 온 세 자매의 참혹한 사정이 알려져 충격을 주었다. 피골이 상접한 10대 소녀 3명이 난방을 전혀 하지 않은 곳에서 수년간을 지내 온 것이다. 첫째는 거동이 불편했고, 둘째는 간질 등세와 허리디스크로 일어서지도 못할 지경이었다. 셋째는 대퇴부 골절과 하반신 마디로 운신조차 어려운 상태였다. 2~3년간 친부가 단 한 번도 자녀들을 찾아오지 않았다고 한다. </span></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아이들에겐 아버지가 있었다. 이혼 뒤 지방을 전전하며 일을 해 매달 80만원을 동거녀에게 보냈지만, 동거녀는 월세 23만원과 생활비 15만원만 아이들에게 건넸다. 충분한 영양을 공급 받아야할 성장기 10대 소녀 3명이 월 15만원으로 수년간을 살아왔다는 얘기다. </span></span></span></span></div><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 </div></span> <div style="text-align: center; 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span></div><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div style="text-align: center" 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 medium none; border-left: medium none; border-top: medium none; border-right: medium none" alt="5.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0/1381982988kkr5csQfnmDjLyV4Vidivrbuc6yRp.jpg" width="477" height="244" /></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  </div></span></span></span>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 font-weight: bold"><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1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아동학대 가해자 83.7%가 부모, 가해장소는 가정</span></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아동학대의 유형은 다양하다. 폭력은 그 중 하나일 뿐이다. 최근 5년간 사례를 분석한 자료(민주당 김기식 의원실)에 의하면 두 가지 유형 이상 복합적 학대가 자행되는 ‘중복학대’(41.4%)가 가장 많았지만 ‘방임·유기’도 33.3%나 됐다. 고양 세 자매처럼 부모에 의해 버려지다시피 방치된 아이들이 많을 거라고 짐작할 있는 대목이다. 최근 경제적인 이유로 아동을 방치하거나 버리는 부모가 크게 늘고 있는 추세다. </span></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font color="#670000"><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부모라는 미명아래 자행되는 아동학대는 그 실태조차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span></fon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설령 신고가 된다 해도 현행 법적 장치는 ‘부모이자 친권자’라는 관습적 명분 앞에 제대로 힘을 쓰지 못한다. 미국의 경우 학대아동 보호율이 8.8%에 이르지만 한국의 경우 0.63%에 불과하다. </span></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span></div> <div style="text-align: center; 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span></div><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div style="text-align: center" 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 medium none; border-left: medium none; border-top: medium none; border-right: medium none" alt="6.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0/1381983126DN9QDECE4Jh.jpg" width="509" height="345" /></div> <div style="text-align: center; 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 </div></span>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학대 부모에 대한 처벌은커녕 재학대방지를 위한 심리치료와 상담조차 이뤄지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고 한다. 현행법으로는 아동을 부모와 격리시켜야 할 심각한 상황이 벌어진다 해도 3일간만 격리가 가능하도록 돼있다. 하지만 부모의 귀가 요구가 있으면 이마저 불가능하다. 관련 법 개정과 보완이 시급한 상황이다. </span></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 font-weight: bold"><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1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아동학대 방치해 온 이명박 정부</span></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font color="#670000"><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아동학대 대부분(83.7%)의 가해자가 부모이고 가해 장소는 가정이다. </span></font><font style="font-family: Dotum,돋움" color="#670000">가정이 아동인권의 사각지대가 돼 가고있다는 얘기다.</fon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그런데도 정부 차원의 조치나 예방노력은 허술하기 짝이 없다. 2004년 노무현 정부는 아동복지법을 개정해 국무총리 산하에 ‘아동정책조정위원회’를 설치하고, 아동학대 방지를 포함한 아동정책의 추진상황을 종합점검하는 ‘콘트롤타워’ 역할을 부여했다. </span></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하지만 이명박 정부 들어 ‘아동정책조정위원회’는 단 한 차례도 열리지 않았다. 정부가 법조항을 사문화시킨 셈이다. 이 때문일 것이다. 아동학대 신고건수가 크게 증가했다. 이명박 정부 초기인 2008년에 비해 건수가 20%(2012년)나 늘었다. </span></span></span></span></div><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 </div></span> <div style="text-align: center; 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span></div><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div style="text-align: center" 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 medium none; border-left: medium none; border-top: medium none; border-right: medium none" alt="7.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0/1381983154NTxtPhmirxaSKCr7rdrjNAYNODGG8x.jpg" width="557" height="414" /></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   </div></span></span></span>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이와 관련해 민주당 김기식 의원은 “총리실 산하 콘트롤타워를 정상화하고, 의료인·교사 등 아동학대 신고의무자에 대한 홍보·교육 및 신고의무불이행시 처벌 등 제도적 장치 마련을 촉구하겠다”고 밝혔다. </span></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weight: bold; mso-fareast-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1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어린이집’는 빙산의 일각, 가정이 아동인권 사각지대라니...</span></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어린이집 등 보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아동학대는 부모에 의해 자행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2012년 한 해 동안 신고 된 아동학대 건수는 모두 6403건. 이중 어린이집에서 발생한 경우는 139건이다. 어린이집의 아동학대를 근절하고 재발을 막는 장치도 시급하지만, 가정과 부모라는 미명아래 자행되는 아동학대에도 관심을 갖고 돌아봐야 할 때다.</span></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가정이 아동인권의 사각지대가 돼서는 안 된다. 정부가 나서 부모에 의해 자행되는 아동학대를 예방하고 단속할 수 있는 적극적인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span></span></span></span><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span style="font-family: null"><span style="font-size: 10pt"><font color="#662500"><strong>부모의 폭력에 시달리거나, 음침한 곳에 방치된 채 배고픔와 고통에 신음하는 아이들이 지금도 우리 주변에 있다. 오늘은 어린이날이다. 아동인권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strong> </font></span></span></span></div><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 </div></span>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상단 첫 사진 출처: 한국여성의 전화 블로그></span></span></font></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span></span></font></span></span></span> </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span></span></font></span></span></span> </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출처 : Daum블로그 - 사람과 세상사이 - by 오주르디</span></span></font></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a target="_blank" href="http://blog.daum.net/espoir/8126994" target="_blank">http://blog.daum.net/espoir/8126994</a></span></span></font></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span></span></font></span></span></span> </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span></span></font></span></span></span> </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strong><font color="#ff0000" size="4">아동학대 예방법 및 피해신고방법</font></strong></span></span></span></span></span></div> <div style="line-height: 2" class="바탕글" align="left"><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span></span></font></span></span></span> </div><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span style="font-size: 10pt"><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size: 9pt"><span style="font-family: Dotum,돋움"> <h2 align="left"><font color="#0070c0" size="3">아동학대 예방</font></h2> <h3 align="left"><font size="2">1. 필요성 </font></h3> <div align="left">아동학대 예방의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이러한 아동학대 예방의 필요성을 몇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div> <div align="left"> <ul> <li>아동학대는 어린이를 죽일 수도 있습니다.<br />학대를 당한 아동은 자신에 대해 무가치하게 느끼고, 타인과의 신뢰 형성에 어려움을 느끼거나 성장 후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li> <li>학대 행동은 다른 세대로 전수될 수 있으며, 학대가 그대로 되풀이 될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li> <li>학대받은 아동에 대한 심리, 사회적 치료는 그 과정이 길며, 치료의 효과를 기대하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됩니다. 따라서 아동학대의 예방이 치료보다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li> <li>아동학대의 예방은 우리 사회의 다른 문제들을 감소시킬 것입니다. 아동학대와 성장 후의 범죄, 약물남용, 사회부적응, 그리고 결혼부적응과 성 문제 등은 상관 관계가 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동의 건전한 성장을 도우며, 이를 통한 학대를 예방하는 것은 아동의 성장 후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우리사회의 다른 문제들도 줄어드는 효과를 보일 것입니다. </li></ul></div> <h3><font color="#0070c0" size="3">가정 내에서의 아동학대를 예방하는 방법 </font></h3> <h4><font size="2">1) 어른의 경우 </font></h4> <ul> <li>학대 또는 폭력의 충동을 느끼는 경우 마음을 가라앉힌다. </li> <li>자녀에 대한 지나친 기대보다는 기대수준을 현실적으로 맞추도록 노력한다. </li> <li>항상 화목한 가정을 위해서 가족구성원이 노력한다. </li> <li>아동양육이 힘들 때는 친척이나 주위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li> <li>알코올중독이나 약물중독에 빠지지 않도록 대화를 자주하고, 고민에 대해서도 의논할 수 있는 가정분위기로 가꾼다. </li> <li>심한 스트레스를 받거나 욕구충족이 되지 않고 고민스러울 때는 전문가에게 상담을 요청한다. </li></ul> <h4><font size="2">2) 아동의 경우</font> </h4> <ul> <li>크게 울거나 싫다고 소리를 지르는 등 학대 거부의사를 확실하게 밝히도록 한다. </li> <li>학대의 현장에서 피한다. </li> <li>잘 모르는 사람은 따라가지 않도록 교육한다. </li> <li>학대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려준다. </li> <li>부당하게 취급 받았을 때, 즉시 믿을만한 어른에게 이야기하고 숨기지 말라고 가르친다. </li> <li>아이가 싫다고 느끼는 부분에 대해서는 언제든지 분명하게 이야기하는 자신감을 갖도록 가정에서 가르친다.(자기주장 훈련 등) </li></ul> <div> </div> <h2><font color="#0070c0" size="4">아동학대 신고와 처리과정</font></h2> <h3><font color="#7030a0" size="3">1. 신고 </font></h3> <div>아동학대 예방 및 상담기관이나 경찰에 신고된 학대 아동은 표에 게재된 흐름에 따라 필요한 도움을 받게 됩니다. 심각한 아동학대 사례로서 경찰의 조사가 진행될 때에는 신고자가 관찰한 내용으로 진술서를 작성하게 되는데, 이것은 아동학대를 입증하기 위한 참고자료로서 대단히 중요합니다. 조사결과 학대가 아니라는 판정이 나더라도 신고자에게는 불이익이 돌아가지 않습니다.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 center"><img style="border-bottom: medium none; border-left: medium none; border-top: medium none; border-right: medium none" alt="s03_115_i01.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0/13819834339oPKX22oU1wFzg8mqri4VKI.jpg" width="550" height="940" /></div> <h3><font color="#7030a0" size="3">2. 누가 신고할 수 있나? </font></h3> <div>누구든지 아동학대를 알게 된 자는 아동보호전문기관 또는 수사기관에 즉시 신고할 수 있습니다. 신고의무자에 속하는 사람은 아래와 같습니다. </div> <ul> <li>초중등교육법 제19조의 규정에 의한 교원 </li> <li>의료법 제34조 규정에 의한 의료기관에서 의료업을 행하는 의료인 </li> <li>아동복지시설의 종사자 및 그 장 </li> <li>장애인복지법 제37조 규정에 의한 장애인 복지시설에서 장애아동에 대한 상담-치료-훈련 또는 요양을 행하는 자 </li> <li>영유아보육법 제7종의 규정에 의한 보육시설의 종사자 </li> <li>윤락행위 등 방지법 제11조 및 제 14조의 규정에 의한 복지시설의 종사자 및 여성복지상담소의 상담원 </li> <li>모자복지법 제7조 및 제20조의 규정에 의한 모자복지상담소의 상담원 및 모자복지시설 종사자 </li> <li>가정폭력방지법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 5조 및 제7조의 규정에 의한 가정폭력 관련 상담소의 상담원 및 가정폭력 피해자보호시설의 종사자 </li> <li>아동복지지도원 및 사회복지사업법 제14조 규정에 의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 </li></ul> <h3><font color="#7030a0" size="3">3. 신고방법 </font></h3> <ul> <li>전화를 통해서 - 전국 아동학대예방센터 : 국번없이 1391<br />아동학대 신고, 상담은 아동학대 긴급신고전화(1391)로 연락주시면 가장 가까운 지역의 아동학대예방센터로 연결되며, 상담 및 신고접수가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li></ul> <h5> </h5> <h5><전국 아동학대예방센터(거점센터) 현황> </h5> <ul> <li>서울특별시아동학대예방센터 (02) 1391 </li> <li>서울특별시동부아동학대예방센터 (02) 1391 </li> <li>부산광역시아동학대예방센터 (051) 1391 </li> <li>대구광역시아동학대예방센터 (053) 1391 </li> <li>인천광역시아동학대예방센터 (032) 1391 </li> <li>광주광역시아동학대예방센터 (062) 1391 </li> <li>대전광역시아동학대예방센터 (042) 1391 </li> <li>울산광역시아동학대예방센터 (052) 1391 </li> <li>경기도아동학대예방센터 (031) 1391 </li> <li>경기북부아동학대예방센터 (031) 1391 </li> <li>강원도아동학대예방센터 (033) 1391 </li> <li>강원동부아동학대예방센터 (033) 1391 </li> <li>충청북도아동학대예방센터 (043) 1391 </li> <li>충청남도아동학대예방센터 (041) 1391 </li> <li>전라북도아동학대예방센터 (063) 1391 </li> <li>전라남도아동학대예방센터 (061) 1391 </li> <li>경상북도아동학대예방센터 (054) 1391 </li> <li>경상남도아동학대예방센터 (055) 1391 </li> <li>제주도아동학대예방센터 (064) 1391 </li></ul> <h3> </h3> <h3><font color="#7030a0" size="3">4. 조사 및 처리</font> </h3> <div>일선 공무원중에서 아동복지지도원은 아동복지법상 학대가 일어나는 현장에 나가서 조사할 권한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학대행위자가 아동의 보호자로서 아동을 장기 격리시킬 필요가 있다면, 일선 공무원은 아동복지법 제11조와 제12조에 의하여 가정위탁보호를 의뢰하거나 사회복지시설에 입소시킬 수 있습니다. 학대행위자에게 알콜남용, 정신질환 등 병리적 특성이 있으나, 가정의 상황이 그 치료를 감당할 수 없다든지, 가정의 경제적인 빈곤이 학대의 주된 원인이며 전문기관의 상담을 통해 학대를 유발하는 행위를 교정할 가능성이 있다면, 일선 공무원은 그 가정을 생활보호대상자 세대로 책정할 수 있습니다. </div> <div>아동학대는 학대행위자의 개인적인 특성과 더불어 사회, 환경적인 영향에 의해 유발되므로 분야별 전문가 팀이 함께 개입할 때에 아동이 속한 가족 또는 집단시설의 문제가 더욱 쉽게 해결될 수 있습니다. </div> <h3><font color="#7030a0" size="3"></font> </h3> <h3><font color="#7030a0" size="3">5. 위급상황에 대한 판단 </font></h3> <div>신고된 사례가 학대로 판단되면 ‘아동에게 해를 입히게 될 가능성이 있는가?’ ‘해를 입힐 심각성 정도는 어떠한가?’ ‘아동학대가 계속 일어날 것인가?’ 등에 대한 위급성을 우선적으로 판단하게 됩니다. 위급상황에 대한 판단에 따라 24시간 이내의 조속한 개입이 필요한 사례도 결정됩니다. 위급한 사례에 대하여는 4-6주 이내의 집중적인 개입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합니다. 위급상황에 대한 판별을 위해서는 조사 중 아동에게 의료적 검사가 필요합니다. </div> <div>이 때 아동학대를 다루어본 의사의 검진이 중요합니다. 아동에게 학대받은 상처가 있고 학대를 받은 기간과 동일하다면 그 검사 결과는 형법 또는 아동복지법에 의한 형사사건이나 ‘가정폭력범죄의 처벌등에 관한 특례법’에 의한 가정보호사건으로 고소를 제기하는데 중요한 증거가 됩니다. 그러므로 소아청소년과, 소아정신과, 정형외과, 산부인과 의사의 소견서나 진단서는 매우 중요합니다. 더불어서 학대상처에 대한 근접 사진촬영도 좋은 증거자료가 됩니다. </div> <h4> </h4> <h4><font color="#7030a0">1) 위기상황 판별기준 </font></h4> <h5>(1) 상황의 위급성</h5> <ul> <li>생명에 위협이 되는 상황일 때 </li> <li>잔인한 처벌로 신체상해가 입원할 정도로 심각할 때 </li> <li>학대가 계획적이라고 판단될 때 </li> <li>아동에 대한 신체학대가 현재 진행중일 때 </li> <li>학대에 대한 전례가 있을 때 </li> <li>복합적인 상해가 보고 되었을 때 </li> <li>이전의 학대 결과로 의심되는 상흔이 보고 되었을 때 </li> <li>머리, 목, 성기의 상처나 내장의 출혈이 보고 되었을 때 </li> <li>도구를 사용하여 학대할 때 </li></ul> <h5>(2) 아동상황</h5> <ul> <li>아동이 어려서 스스로를 보호할 수 없을 때 </li> <li>아동이 부모/보호자를 두려워하거나 집에 가기를 두려워할 때 </li> <li>아동이 부모/보호자 또는 지역사회로부터 완전히 유기된 상태일 때 </li> <li>아동이 학대행위자에게 즉각적으로 노출될 때 </li> <li>아동이 자살, 자해의 위험이 있을 때 </li></ul> <h5>(3) 부모/보호자 상황</h5> <ul> <li>부모/보호자가 처방된 치료를 거부하고 잔인한 행동을 보일 때 </li> <li>방임 또는 학대가 알콜이나 약물중독과 관련되어 있을 때 </li> <li>부모/보호자가 적의적이거나 위험하다고 판단될 때 </li> <li>아동에 대한 부모/보호자의 견해가 비정상적일 때 </li></ul> <h5>(4) 가족상황 </h5> <ul> <li>부모/보호자가 아동을 숨기는 경우 </li> <li>가족이 지역사회로부터 고립되어 있는 경우 </li> <li>가족구성원들이 위협적이고 통제력이 없을 때 </li> <li>가정폭력의 징후가 있을 때 </li></ul> <h4><font color="#7030a0">2) 위급상황 개입방법 </font></h4> <h5>(1) 의료기관 의뢰 </h5> <div>학대로 인해 아동에게 신체적으로 심각한 상처가 있거나 정신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상태 등을 보일 때는 신속히 입원조치를 하여야 합니다. 아동학대 예방 및 상담기관에서는 자기 지역사회에 의뢰 가능한 협력병원을 지정해 두고, 위급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즉시 의료적인 지원을 받게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아동이 가족과 격리된 상태에서 입원치료가 장기화 될 경우에는 아동을 돌볼 수 있는 자원봉사팀을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원봉사팀은 아동을 가까이에서 세심히 관찰하고 아동이 보이는 행동과 징후에 대해 모두 기록하게 됩니다. </div> <h5>(2) 격리보호 </h5> <div>아동이 가족과 함께 있어 학대를 계속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아동복지법’과 ‘가족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에 의해 격리 보호할 수 있습니다. </div> <h5>(3) 법원개입 </h5> <h6><font size="2">① 수사의뢰 </font></h6> <div>심각한 신체학대, 성학대, 아동의 사망이 학대로 인한 것으로 의심되는 경우는 필히 경찰에 신고하고 경찰에 수사를 의뢰합니다. </div> <h6><font size="2">② 사건수사 </font></h6> <div>경찰은 신고를 받은 즉시 현장에 나가 다음의 조치를 취하게 됩니다. </div> <ul> <li>폭력행위의 제지 및 범죄수사 </li> <li>피해자의 상담소 또는 보호시설에의 인도(피해자 동의시) </li> <li>긴급치료가 필요한 피해자의 의료기관 인도 </li> <li>폭력행위 재발시 임시조치의 신청 통보 </li></ul> <div>사건을 수사한 경찰은 형사사건보다는 가정보호사건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될 때, 사건을 검사에게 송치하면서 의견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형사사건으로 처리할 것인지 또는 가정보호사건으로 처리하여야 하는지는 검사가 판단하여 법원에 송치합니다. </div> <h6><font size="2">③ 고소제기 </font></h6> <div>‘가정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 제 6조‘고소에 관한 특례’ 조항에서 가정폭력 발생시 피해자 또는 법정대리인은 행위자를 고소할 수 있고, 피해자의 법정대리인이 행위자인 경우 피해자의 친족도 고소할 수 있습니다. 형법에서는 자기 부모, 배우자 또는 배우자의 부모를 고소할 수 없으나 이 특례법에서는 고소가 가능합니다. <br />그러나 아동학대의 경우 피해자인 아동이 자기 부모를 고소하는 경우는 드물며, 피해자의 친족이나 검사의 지정을 받은 고소인이 고소를 제기하게 됩니다. </div> <h3><font color="#7030a0">6. 아동학대 예방 및 상담기관의 지원내용 </font></h3> <div>아동학대 예방 및 상담기관에 신고된 사례가 아동학대로 판별되고 경찰수사보다는 기관에서 개입하기로 결정하면 전문상담가와 사회복지사는 분야별 전문가 팀과 함께 학대가 일어나는 가정 및 집단에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게 됩니다. 이 서비스에는 가정방문, 재정적 도움을 포함하는 가정지원 서비스, 상담치료, 지역자원 연계프로그램 등이 있습니다. </div> <h4><font size="2">1) 상담치료 </font></h4> <div>학대 행위자는 알콜 남용, 정신질환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학대 행위자에 대해서는 아동학대를 유발하는 원인의 발견 또는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아동은 학대로 인한 상처와 후유증을 치유하기 위하여 그리고 학대 행위자가 아닌 부모에 대한 교육과 지원을 위해 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div> <div>어린 나이에 결혼하였거나 아동을 늦게 출산한 부모들은 아동의 발달상의 특징들을 이해하지 못하므로 학대하기 쉽습니다. 이러한 부모들에 대해서는 아동 양육의 기술 및 아동기의 특성 그리고 아동 심리를 가르쳐 아동을 이해하고 학대하는 습관을 교정할 수 있도록 부모교육을 실시합니다. 또한 충동적인 부모에 대해서는 분노조절 능력을 키워주고, 폭력에 대한 태도를 교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합니다. </div> <div>학대 아동이 어릴수록 일반적인 면접 상담보다는 모래상자 또는 인형을 통한 놀이치료, 미술치료 등의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상담치료 과정에는 심리검사도 포함이 됩니다. 상담이 진행되면서 상담자는 아동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알아가며, 아동 자신은 그 일에 전혀 잘못이 없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돕습니다. 아동은 학대 행위자에 대한 마음의 분노를 표출함으로써 심리적 상처를 치유받게 됩니다. </div> <div>부모나 양육자로부터 학대를 받은 아동은 가장 소중하고 가까운 사람을 불신하게 되므로 사회성과 대인관계의 왜곡을 가져올 수 있어 신뢰감을 회복시켜 주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br />특히 성 학대를 경험한 아동은 성 의식과 가치관이 왜곡되기 쉽습니다. 자신의 몸이 이미 더렵혀졌다고 생각하여 함부로 행동할 수 있으므로 그들이 가진 죄의식을 상담프로그램을 통해 치유받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학대 상황이 초기에 발견되면 짧은 횟수의 상담으로도 치료가 가능합니다. </div> <h4><font size="2">2) 지원서비스 </font></h4> <div>실직으로 인한 빈곤, 약물 또는 알콜중독 및 정신질환을 가진 부모의 경우는 취업의 알선이나 치료받을 수 있는 기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필요한 지역자원을 연계해 줍니다. 편부모 가정 또는 부모가 늦은 시간까지 맞벌이하는 가정의 아동은 지역사회 복지관의 방과후 교실 프로그램에 연계하거나 자원봉사자를 파견하여 가사서비스를 도와줄 수 있습니다. </div> <h4><font size="2">3) 평가, 종결 및 사후관리 </font></h4> <div>상담 및 지원 프로그램의 종결을 위해 아동의 안전성, 사례 개입의 목표달성, 학대 위험성의 감소, 아동과 그 가족의 욕구충족여부 등을 평가하게 됩니다. 아동이 일시 격리된 상태에서 또는 가정에 머물면서 아동 및 부모에 대한 상담과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다가, 학대 상황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는다는 평가를 하게 되면 사례를 종결하고 격리된 아동은 가정으로 복귀하게 됩니다. </div> <div>아동 및 부모상담이 진행되는 과정에도 학대가 지속되고 부모가 아동을 양육할 능력이나 의지가 없다고 판단이 되면, 아동을 장기 격리할 수 있는 절차를 밟기도 합니다. 이때 아동복지 담당 공무원의 도움을 받아 필요한 행정절차를 밟게 됩니다. <br />종결된 사례는 필요에 따라 1-2개월에1회 정도 전화접촉을 통한 사후관리를 합니다. </div> <h3><font color="#ff0000"></font> </h3> <h3><font color="#ff0000">7.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강화</font></h3> <div>아동학대 문제에 대한 개입 및 예방은 아동보호전문기관인 아동학대예방센터에서 주도적이며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지만 각, 관련 기관과의 유기적인 협조가 있어야만 효율적인 사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아동학대 문제부모나 보호자의 개인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 뿐만 아니라 빈곤 실직 등으로 인한 생활상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이나 약물 남용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아동학대와 방임에 대한 개입에는 발견자부터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의 보육교사, 소아청소년과의사, 응급실의 의료진, 학교 교사, 사회복지사 등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들에게 개입의 책임이 있습니다.</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출처 : 국가건강정보포털 </div> <div><a target="_blank" href="http://health.mw.go.kr/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3680&subIdx=8" target="_blank">http://health.mw.go.kr/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3680&subIdx=8</a></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strong><font color="#ff0000" size="4">...아이들이 신체적으로, 정서적으로 미숙하여 표현을 잘 하지 못하더라도 아이들이 고통을 모르는것은 절대 아닙니다.</font></strong></div> <div><strong><font color="#ff0000" size="4"></font></strong> </div> <div><strong><font color="#ff0000" size="4">학대받고 자라는 아이들은  심각한 마음의상처를 안고 살아갈수 밖에 없습니다. 당연히 성장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font></strong></div> <div><strong><font color="#ff0000" size="4"></font></strong> </div> <div><strong><font color="#ff0000" size="4">고통받는 아이들이 더이상 생기지</font></strong><strong><font color="#ff0000" size="4">않도록 모두 관심을 갖고 개선할수 있는 방향을 찾아가주었으면 좋겠습니다.</font></strong></div></span></span></font></span></span></span>
    Dementist의 꼬릿말입니다
    <table><div style="text-align: center"><strong><font color="#e31600">★공포 게시판 정화 켐페인★</font></strong>
    <div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cfile240.uf.daum.net/image/201404444E00BA19131655"><br>
    <div style="text-align: center"><strong><font color="#e31600">★일베스샷 및 일베언급게시물 올리지말기★</font></strong><br>
    <div style="text-align: center"><strong><font color="#e31600">★게시판에 어울리지않는 글이나 사진 올리지말기★<br>ex:~~가 공포,이런사람이 공포 등등</font></strong><br>
    <div style="text-align: center"><strong><font color="#e31600">★이유없는 분란조성용 어그로글은 상대할 가치없이 신고하기 ★</font></strong><br>
    <div style="text-align: center"><strong><font color="#e31600">★고어사진,극혐오자료 올리지말기★</font></strong><br>
    <div style="text-align: center"><strong><font color="#e31600">★제노포비즘 적인 게시물 지양하기★</font></strong><br>
    <div style="text-align: center"><strong><font color="#e31600">★논쟁이 벌어지더라도 함부로 인신공격하지 않기★</font></strong><br>
    <div style="text-align: center"><img_ src="http://cfile221.uf.daum.net/image/130553364E0358C62440E7"style="border: none" /></div>
    <br><div>귀신짤방 출처 : Daum블로그 -땡초의 캐릭터 일러스트-</br></div></table>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3/10/17 13:39:48  223.62.***.14  산유생  711
    [2] 2013/10/17 13:45:32  175.253.***.101  샐러드맨  117984
    [3] 2013/10/17 13:53:38  210.103.***.39  까부남  118967
    [4] 2013/10/17 15:05:09  1.245.***.162  영춘팡  329626
    [5] 2013/10/17 15:55:38  61.75.***.210  gerrard  93994
    [6] 2013/10/17 16:32:12  211.206.***.43  황혼의검  187413
    [7] 2013/10/17 17:33:05  218.38.***.167  끝은시작이다  212415
    [8] 2013/10/17 17:51:22  223.62.***.62  토토로쪼아  443803
    [9] 2013/10/17 18:26:56  175.223.***.93  문득고양이다  212684
    [10] 2013/10/17 18:51:31  175.223.***.149  민고정법  329309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딱딱한 꽃잎 [8] Dementist 13/10/30 22:51 8778 71
    [일본괴담] 아이돌A [10] Dementist 13/10/30 22:29 8726 69
    블랙아트의 정점-Juha Arvid Helminen- <BGM> [16] Dementist 13/10/30 17:05 14099 67
    후배를 부르던 여자 [7] Dementist 13/10/29 21:36 9426 53
    사람의 마음을 가지고 장난치지 마십시오 [17] Dementist 13/10/29 19:06 9524 91
    <스압> 아름다운 호러일러스트 - 나탈리 샤우 - <BGM> [29] Dementist 13/10/29 16:12 8223 101
    인간은 가장 무서운 동물이다 [16] Dementist 13/10/29 11:54 10747 84
    2013 IPA 수상작들 <BGM> [4] Dementist 13/10/28 21:51 1967 27
    지금 생각하니 무서웠던 친구 [26] Dementist 13/10/28 20:46 10429 107
    현대인의 원초적욕망,광기를 표현하다-스테판 아일먼-<BGM> [13] Dementist 13/10/25 16:58 7685 43
    카르마의 인연과 시련의 의미 <BGM> [16] Dementist 13/10/23 21:28 15673 53
    역사속 지옥도라 부를만한 추악하고 끔찍한 기록들 <BGM> [19] Dementist 13/10/23 19:08 15700 66
    만약 해외 유명인사들이 흡혈귀라면? <BGM> [36] Dementist 13/10/23 17:31 9318 35
    제주도 5.16도로 [12] Dementist 13/10/23 02:39 9674 36
    재미있는 일상생활속 물리학의 법칙들 <BGM> [21] Dementist 13/10/23 02:16 6890 81
    [초스압] 환상의 일러스트레이터 - 스탠리 라우 - <BGM> [59] Dementist 13/10/22 16:55 11823 116
    현실 풍자 일러스트의 대가 - 파웰 쿠친스키 - <BGM> [41] Dementist 13/10/22 15:05 9230 104
    존베넷 램지 살해사건 <BGM> [5] Dementist 13/10/22 14:55 7543 37
    고장난 이어폰 활용하기 <BGM> [19] Dementist 13/10/22 07:42 11429 67
    죽음의 산 - 칼카자가 - [13] Dementist 13/10/21 23:12 6053 26
    세계의 기담(奇談) 4편 - 악마의 섬 - <BGM> [6] Dementist 13/10/21 21:54 6362 31
    평범한 남자의 어떤 인생이야기.toon <BGM> [6] Dementist 13/10/19 04:24 4328 38
    세계의 기담(奇談)3편-태양신을 모시던 100인의 처녀<BGM> [9] Dementist 13/10/18 13:44 9323 49
    포장이사 [11] Dementist 13/10/18 12:43 16221 64
    1시간을 버티기 힘든방 <BGM> [88] Dementist 13/10/18 12:38 17948 106
    곰인형에 몰카를 달아서 그녀에게.Present [13] Dementist 13/10/18 09:41 17291 89
    15) 지금 뭐보는지 내가 다알아ㅋ [18] Dementist 13/10/17 19:34 21035 58
    불편한 진실 - 아동학대의 현실 <BGM> [4] Dementist 13/10/17 18:51 10505 28
    그것이알고싶다 - 허원근 일병 사망사건의 진실은? <BGM> [7] Dementist 13/10/17 17:50 5836 48
    5살에 아이를 임신한 여인 <BGM> [30] Dementist 13/10/17 17:15 21655 100
    [◀이전10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