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Dementist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08-02
    방문 : 2492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umorbest_765267
    작성자 : Dementist
    추천 : 60
    조회수 : 7179
    IP : 115.88.***.168
    댓글 : 13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3/10/15 16:09:03
    원글작성시간 : 2013/10/15 12:14:12
    http://todayhumor.com/?humorbest_765267 모바일
    디스토피아(Dystopia) 에 대해... <BGM>
     BGM : Equilibrium OST Ending Theme
     
     

    디스토피아
    (dystopia)
     
    Dystopia.jpg
     

    카코토피아(Kakotopia/Cacotopia), 안티유토피아(Antiutopia)라고도 합니다.
     
     
    처음 디스토피아라는 말이 사용된 것은 영국정부의 아일랜드 억압정책을 비판하면서부터라서 어원상 억압적인 사회, 강제적인 정부정책등 사회비판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다시말해 유토피아처럼 보이는 세계이지만 개개인이 사회에 억눌려 인간적인 삶을 누리지 못하는 세상을 말합니다.
     
     
    유토피아가 문명의 이상으로 모든 사람들이 행복하게 살아가는 세계를 일컫는 반면, 디스토피아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불행하게 살아가는 문명 세계를 그리고 있습니다. 문명 자체가 소멸해버린 세상을 그리는 포스트 아포칼립스의 세계관과는 약간 다르지만 암울한 미래를 그린다는 점에서 혼동되기도 합니다.
     
     
     
    2151003_orig.jpg
     
     
    널리 사용되는 클리셰로 거대한 정부, 억압적인 독재자, 감시당하고 통제받는 개인, 윤리성을 상실한 거대기업, 세계를 뒤에서 지배하는 비밀조직, 인류를 지배하는 AI, 유전자 조작, 계급갈등, 언론통제, 극단적인 빈부격차 등이 있습니다.
     

    포스트 아포칼립스와의 차이점이라면 디스토피아는 '통제당하는 전체주의 시대'의 암울한 세계이고, 포스트 아포칼립스는 전쟁 또는 기타 이유로 인해 '문명이 붕괴한 이후'를 다룬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디스토피아는 처음부터 사회의 부정적인 모습을 비판하면서 나온 말이기 때문에 디스토피아 세계관은 문명이 없어지거나 망한 상태가 아니고 오히려 미래의 사회를 그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과학기술은 지금보다 더 진보한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는 그 과학기술이 개인을 억압, 통제할 목적으로 악용되기 때문에 행복한 사회라고 말할 수 없는 것입니다.
     

    토마스 모어의 '어디에도 없는 나라'인 유토피아(utopia)는 처음 어떤 방식으로 묘사되고 사용되어졌건 간에 지금에 와서는 '이상향'의 전형으로 묘사되고 있습니다. 어디에도 없다라는 말은 이상이라는 것의 성질을 간접적으로 표현한다 할 수 있는데요, 즉 이상이기 때문에 현실엔 없다 정도의 의미로 해석해 된다 할 수 있습니다.
     
    15816-dystopia.jpg
     
    유토피아는 결과적으로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아주 이상적인 국가(혹은 사회상)의 모습을 나타내게 되며 우리가 지향해야할 수렴점으로 그 상징적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유토피아가 이상향의 낙원을 묘사하고 있다면 이에 반하여 등장한 디스토피아(dystopia)는 '역(逆)이상향'을 상징합니다.
    초기엔 단순한 유토피아의 반대개념으로 사용되던 디스토피아는 유토피아가 사회적 현상이 된것과 비슷한 맥락으로 독자적인 개념의 발전을 이루게됩니다.

    현재에 와서는 비록 인지도는 낮지만 유토피아보다는 디스토피아의 개념이 더욱 자주 사용되고 있다고 봅니다. 그렇다면 디스토피아란 무엇일까요?
     
     
    디스토피아는 인류가 현재로부터 예측할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을 묘사합니다.
     
     
    유토피아가 우리들의 미래에 펼쳐질 낙원이었다면 디스토피아는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최악의 미래향을 보여줍니다.
    재미있게도 근래에 들어서 문학등을 포함한 각종 미디어에 의하여 거의 정형화된 디스토피아의 모델이 있습니다.
     
     
    utopiadystopia.JPG

     
    1. 불타버린 하늘

    디스토피아의 세계에선 해가 뜨지 않습니다.
    비록 아침이 있다곤 하지만 거의 묘사되지 않고 배경은 주로 밤, 아침이라 하여도 극심한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빛은 땅을 어루만지지 못합니다.
      
     
    디스토~1.JPG
      Blade runner, 1982  실로 아름다운 하늘이다. 난 푸른색이 좋더라.
     
     
    2. 무너진 치안

    디스토피아에선 돈이 곧 법이자 정의 입니다.
    더욱 강력해진 공권력이 있기는 하지만 그 힘은 시민들을 위하여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혹은 극단적으로 잔혹하거나 융통성따위는 없어보입니다.
      
     
    디스토~2.JPG
    Judge Dredd, 1995  좋은 예시 같지는 않지만 이런 경찰은 사양합니다.
     
     
    3. 하늘을 불태운 중공업과 경공업에 몰락에 따른 생활 수준 저하

    디스토피아의 하늘이 불타고 오염이 극심한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중공업이 극단적으로 발달하는 사회기 때문입니다. 기술과학의 광적이고도 집착적인 진보와 탐욕의 끝을 보여주는 자본주의의 결합은 중공업의 발달로 이루어지고 주로 대중의 삶의 질을 결정 짓는 생필품등과 연관된 경공업은 버려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디스토~3.JPG
    Innocence, 2004  분명 대낮입니다. 아마 상하이 쪽 같은데... 상하이에 땅 사둔거 있으면 지금 다 팔아버리세요.
      
    시간이 가속되어 저 먼 미래가 되었지만 디스토피아속 사람들은 하나같이 지금과 비슷한 의식주를 영위하고 있는 것은 이 때문입니다. 오히려 더욱 비참해지면 비참해졌지 개선점은 단 한군대서도 발견할 수 없습니다.
      
     
    디스토~4.jpg
    Blade runner, 1982 맛있어 보이긴 하는데... 난 미래엔 좀 더 좋은걸 먹고 싶다.
     
     
    4. 사람보단 쥐에게 더욱 적합한 대도시와 위생

    디스토피아의 세상엔 목가적 마을이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모든 땅은 거대하다 못해 그 끝을 알 수 없는 강철의 도시로 덮혀있고 이 강철의 도시는 시도때도 없이 각종 오염물질을 뿜어냅니다.
    공권력은 대중의 삶에 관심이 없고 경공업은 무너진 마당에 매일 밤 내리는 오염물질의 비는 도시를 하나의 거대한 쓰레기장으로 만들어 놓습니다.
    디스토피아 하면 떠오르는 색깔이 카키색이나 갈색, 혹은 회색인것은 이 때문입니다.
    사람보다 쥐가 더 많을 것 같은 세상속에서 사람들은 늘어나는 인구를 감당하지 못하고 꾸역꾸역 살아가고 있습니다.
      
     
    디스토~5.jpg
    Innocence 2004, 찌뜬 사람들의 찌든 도시
     
     
    5. 앞선 모든 예시들을 무시하는 좀 있는 사람들

    여태 묘사한 디스토피아적 즐거운 삶은 모두 대중의 삶입니다. 반면 뿌리깊은 가문들과 세력으로 이루어진 권력층과 경제력을 장악한 사람들은 그들만의 진정한 '유토피아'를 누리며 살아갑니다.
    계층화를 넘어선 공공연한 계급화가 이루어진 이 세상속에서 공권력은 그들의 수족입니다.
      
     
    디스토~6.jpg
    Wonderful days. 2003 이 동네 선택받은 계급은 이런 곳에 삽니다.
     
     
    6. 문명을 앞서간 과학과 기술이 개인의 삶에 지나치게 파고든 사회

     
     
    blade_runner11.jpg
     
     

    가장 처음에 언급했지만, 바로 '현재'에 기반을 둔 문제들이 모두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았을 때 만날 수 있는 세상이 디스토피아이기 때문입니다.
     
    도덕과 윤리의 사망, 근복적인 인간성의 상실, 침범되어져서는 안되는 기본들이 유린되었을때 우리의 세상은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의 갈림길에서 더욱 디스토피아의 결말로 향하게 될 것입니다.

    디스토피아적 문물은 단순한 재미를 넘어선 일종의 '경고'입니다.
    SF문학이 대부분 디스토피아를 그리고 있는 점은 SF 특유의 비판적 속성과도 무관하지 않지만 그만큼 지금 현실이 부자연스럽고 위태로움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기도합니다.
     
     
     
    blade-runner-cityscape.jpg
     
     

    SF도 얼마든지 아름다운 세상을 그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논리적 개연성이라는 기본 원리를 두고 쓰여지는 SF장르에서 유독 디스토피아가 압도적으로 많다는 점은 지금 세상의 모습을 다시 한번 재고하고 반성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더불어 디스토피아의 또하나의 특징은, '현재'에 내재된 모든 문재점들은 외계인의 침략도 아니오 갑작스런 지구의 대격변도 아니오, 다름아닌 모두 '인간'스스로에게서 오는 문제점들이란 것입니다.
     
    현대사회는 분명 수많은 문제점들과 모순들을 안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아직 그 모든 문제점들을 바로잡을 기회를 가지고 있습니다.
    디스토피아는 단순 흥미유발에서 나아가 우리의 경각심을 일깨우고 반면교사로 삼아 우리에게 유토피아를 제시해줄 것 입니다.
     
    결코 지금의 기회를 놓쳐서는 안될 것입니다.
     
     
     
    출처 및 내용추가 : 티스토리 - 밑줄긋는 여행 - by WN1 And 엔하위키 미러
    http://wno1.tistory.com/175
    http://mirror.enha.kr/wiki/%EB%94%94%EC%8A%A4%ED%86%A0%ED%94%BC%EC%95%84
    이미지 출처 : 구글이미지
     
     
     
    디스토피아 세계관을 가진 작품들까지 포스팅을 하려했는데 그럼 게시물이 엄청엄청나게 스압이 될것 같아서 작품 리뷰포스팅은
    다음 게시물에서 계속하겠습니다. :)
    뭐 제가 그동안 오유에 올린 게시물중에 스압인게 꽤 많긴 하지만...;;
    끝으로 구글 및 해외싸이트에서 찾은  디스토피아적 이미지들 방출로 포스팅 마무리 하겠습니다..
      
     
     
     
    cityscapes_futuristic_dystopia_digital_art_science_fiction_artwork_1920x1080_22480.jpg
     
    Dystopia_02.jpg
     
    dystopia_by_alex35ex-d5w5zwf.jpg
     
    Waiting_in_Steampunk_Dystopia_by_TomBanwell.jpg
     
    dystopia_by_daadaa.jpg
     
    dystopia_by_gee_kid-d603zot.jpg
     
    dystopia-cyberpunk_00353178.jpg
     
    dystopian_area___the_wall_by_markusvogt-d69mrz4.jpg
     
    eiffel%20tower%20paris%20cityscapes%20futuristic%20dystopia%20science%20fiction%20artwork%20iktat%201920x1080%20wallpap_www_wallpaperhi_com_18.jpg
     
    fallout3_destroyed_city_bus.png
     
    jg_mega_07.jpg
     
    war-of-the-worlds-by-robert.jpg
     
    women-guns-dystopia-statue-of-liberty-3rd-birthday-HD-Wallpapers.jpg
    Dementist의 꼬릿말입니다
    ★공포 게시판 정화 켐페인★


    ★일베스샷 및 일베언급게시물 올리지말기★

    ★게시판에 어울리지않는 글이나 사진 올리지말기★
    ex:~~가 공포,이런사람이 공포 등등


    ★이유없는 분란조성용 어그로글은 상대할 가치없이 신고하기 ★

    ★고어사진,극혐오자료 올리지말기★

    ★제노포비즘 적인 게시물 지양하기★

    ★논쟁이 벌어지더라도 함부로 인신공격하지 않기★



    귀신짤방 출처 : Daum블로그 -땡초의 캐릭터 일러스트-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3/10/15 12:22:04  218.238.***.99  쏭해병  94082
    [2] 2013/10/15 13:08:28  210.103.***.39  까부남  118967
    [3] 2013/10/15 13:12:00  210.218.***.4  꾸루룩꾸루룩  211552
    [4] 2013/10/15 13:20:49  39.7.***.184  서슬푸른달  194167
    [5] 2013/10/15 13:43:56  221.155.***.99  니니니  153143
    [6] 2013/10/15 13:48:23  50.98.***.14  A모씨  196285
    [7] 2013/10/15 14:05:51  222.99.***.175  인사이드  410621
    [8] 2013/10/15 14:51:29  180.64.***.188  튜터  77693
    [9] 2013/10/15 14:52:01  117.111.***.126  스밋수  480798
    [10] 2013/10/15 16:09:03  203.226.***.104  하지불안증  270738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이전10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