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돌거인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04-09-05
    방문 : 253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umorbest_1177927
    작성자 : 스톤골렘
    추천 : 19
    조회수 : 3616
    IP : 115.21.***.194
    댓글 : 13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5/12/31 11:08:12
    원글작성시간 : 2015/12/31 01:05:37
    http://todayhumor.com/?humorbest_1177927 모바일
    4색문제를 풀어보자 - 2부下
    옵션
    • 창작글
    <div><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line-height:21.6px;"><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science_56135">http://todayhumor.com/?science_56135</a>   1부</span></div> <div><br></div> <div><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line-height:21.6px;"><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science_56261">http://todayhumor.com/?science_56261</a>   2부上</span></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시작하기 전에 : 이제부터 추가되는 많은 용어들은 영어 그대로 사용핧 것입니다. 제가 4색문제에 사용된 영어 용어들의 한글번역을 모르기 때문이기도 한데, 그보다는.. 직접 예를 들어 보지요. 뒤에 가면 이런 종류의 논의가 튀어나올 겁니다.</div> <div><br></div> <div>“....그들이 발견한 graph configuration들의 집합의 unavoidability는 discharging procedure를 통해서 증명할 수 있다. ”</div> <div><br></div> <div>이걸 한글로 바꾼다면 (번역된 용어를 모르기 때문에 직접 번역했습니다.)</div> <div><br></div> <div>“.... 그들이 발견한 그래프 형상들의 배제불가능성은 방전 절차를 통해서 증명할 수 있다.”</div> <div><br></div> <div>한글로 읽힌다는 사실 외에는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음을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왜냐면 이것들은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단어의 그 의미로써 쓰이고 있지 않거든요. 대체 ‘배제불가능성’ 이 뭘까요? 이건 누군가가 정의해놓은 뜻을 보기 전까지는, 추측만 할 수 있을 뿐 알 수 없습니다. 저는 앞으로 이런 새 용어들을 전부 설명할 겁니다. 그런데 단어 뜻을 전부 설명한다면,  그 단어가 영어이냐 한글이냐는 별 상관이 없겠지요. “~~ 한 상태를 A라고 한다.” 랑, “~~한 상태를 갑이라고 한다.” 랑의 차이를 보세요.</div> <div><br></div> <div>자. 그러면 지금의 상황을 이해해주시리라 믿고.. 계속 진행해 봅시다.</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지난화에서 최대 평면 그래프 maximal planar graph 인 4색문제의 반례는 반드시 차수 5 이하인 점을 갖는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그때 말했던 것처럼, 이것과 모순되는 사실을 찾아내려고 합니다. 이와 모순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간단하게 위의 명제의 부정을 생각해보면 됩니다. </div> <div><br></div> <div>주어진 명제는</div> <div><br></div> <div>“최대평면 그래프 maximal planar graph 인 반례에는 반드시 차수degree가 5 이하인 점이 존재한다.”</div> <div><br></div> <div>이므로, 이것의 부정은</div> <div><br></div> <div>“<b>어떤</b> maximal planra인 반례에는 차수가 5 이하인 점이 하나도 없다.” </div> <div><br></div> <div>가 되죠. 이제 그게 “<b>어떤</b>‘ 그래프인지를 찾아보면 됩니다. </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1. minimal counterexample</div> <div><br></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래프를 파는 쇼핑몰이 있다고 합시다. 4색문제의 반례를 찾으면, 앞에서 알아본 것과 같이 반드시 하나 이상이 검색되겠죠?</span></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245fQFlseYhy4waeo7coQ.png" width="511" height="472" alt="1.png" style="border:none;"></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검색결과를 점갯수 오름차순 정렬을 합니다. </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252PxyIjbIUZBu5ywRTt.png" width="511" height="472" alt="2.png" style="border:none;"></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256dFYZ2nuLJoLG9wFjNuZxxbf4idqbYve6.png" width="511" height="376" alt="3.png" style="border:none;"></div><br></div> <div><br></div> <div>그러면 점갯수가 제일 작은 것부터 검색결과에 나올 겁니다.</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이렇게 <b>점갯수가 제일 작은</b> 걸 이제부터 최소반례 minimal counterexample 라고 합시다. minimal counterexample의 특징은 그 정의에서 볼 수 있듯이 .. 그것들이 제일 작다는 사실입니다. 제일 작다는게 무슨 말이냐면, 이것들에서 점을 하나만 빼 본다면, 더이상 반례가 아니라는 말입니다. 그건 당연하죠. 방금 우리가 최저가 최저 점갯수인 것을 선택했으니까, 그것보다 작은 반례는 없을 테니까요. </div> <div><br></div> <div>이렇게 점갯수가 최소인 것들 중에 maximal planar 인 반례는 반드시 있습니다. 이건 당연하죠. 점갯수가 최소인 반례에서 선을 있는대로 집어넣으면 그게 maximal planar graph니까요. 그리고 이게 우리가 앞으로 관심갖게 될 녀석입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269jmhU1hd5jjyfvPoqQp3mD.png" width="325" height="335" alt="4.png" style="border:none;"></div><br></div> <div>maximal planar graph인 minimal counterexample.(아까 그 검색에 나온 첫번째 그래프.)</div> <div><br></div> <div>자. 이제, <b>“ 차수가 1,2,3,4 인 점이 하나도 없”는 녀석</b>을 찾아냈습니다. </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1.a 이녀석이 차수3인 점을 안 가지는 이유</div> <div><br></div> <div>귀류법으로 알아낼 수 있습니다. 차수 3인 점이 있다고 칩시다. </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288q2B3GljGdx15.png" width="244" height="234" alt="5a.png" style="border:none;"></div><br></div> <div><br></div> <div>당연히 선의 끝에는 서로 다른 점들이 있겠죠.</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292RmlYJH3VIihB4TPDfBGkZ2ny1i.png" width="244" height="234" alt="5b.png" style="border:none;"></div><br></div> <div><br></div> <div>그리고 이 점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겠지요. (우리가 현재 다루고 있는 반레는 maximal planar입니다. 만약 이 점들이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선을 더 그을수가 있어요.즉 maximal planar가 아니게 돼요.)</div> <div><br></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298e56wx7Eorcfm4AjRD3s81.png" width="244" height="234" alt="5c.png" style="border:none;"></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가운데 점을 하나 뺍니다. minimal counterexample이었으므로, 이렇게 빼면 더이상 반례까 아닙니다. 즉, 네 가지 색으로 칠할 수 있습니다. </div> <div><br></div> <div>물론 우리가 지금 이 바깥의 모양을 알고 있는건 아닙니다. 그러나 너무 당연한 이유로 지금 그림에 있는 세 점은 칠할 수 있습니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304Njez9eORXctHmXV.png" width="244" height="234" alt="5e.png" style="border:none;"></div><br></div> <div>삼각형의 꼭지점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니까요.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해질 수밖에 없습니다.</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런데, 이건 말이 안됩니다. 아까 뺀 점을 다시 추가해보세요. 그러면 그래프는 아까의 반례가 되지만</span></div> <div><br></div> <div><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316hnPhmvvW1yo4so58ZujiYWXkCNLfV.png" width="244" height="234" alt="5f.png" style="border:none;"></div> <div><br></div> <div>삼각형 꼭지점 위에서 쓰이지 않은 네 번째 색을 여기에 칠하면..</div> <div><br></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348SIP9xp87oAqLBMkmyeVa2VrWOULTln1.png" width="244" height="234" alt="5g.png" style="border:none;"></div><br></div> <div><br></div> <div>자. 이제 4가지 색만으로 반례를 칠했습니다. 이건 불가능하죠. 반례의 정의가 4가지 색으로 못 칠하는 그래프니까요. 귀류법에 의하여, 여기에 차수 3인 점은 없습니다. ///</div> <div><br></div> <div>완전히 같은 방법으로 차수 1.2 인 점도 없음을 보일 수 있습니다.</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1.b. 이녀석이 차수 4인 점을 안 가지는 이유</div> <div><br></div> <div>차수 4일 때는 더이상 위의 테크닉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왜냐면 각 꼭지점에 모두 다른 색이 칠해지면, 4가지 색을 다 써버리잖아요.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356cjIzrtlo3pcZvVDU8.png" width="244" height="234" alt="6a.png" style="border:none;"></div><br></div> <div><br></div> <div>가운데 점을 빼서 나머지 부분을 4색으로 다 칠하고. 점을 다시 추가했을 때, 다섯번째 색이 필요할 수도 있죠. 물론, 사각형의 꼭지점을 두가지 색이나 세가지 색만으로 색칠된다면 또 모를까. 음..좀 헷갈리네요. 차근차근 써 보도록 합시다.</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차수 4인 점이 있다고 하자. 앞의 과정과 똑같이 가운데 점을 빼면, 4색으로 그래프를 색칠할 수 있다.</div> <div><br></div> <div>case 1. 만약, 가운데 점을 뺀 그래프를 4가지 색으로 색칠했을 때, 사각형의 꼭지점 네 개가 오직 두 가지 색만으로 칠해진다면</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365E8hZ3YY61Xthxj.png" width="244" height="234" alt="6b.png" style="border:none;"></div><br></div> <div><br></div> <div>즉 이런 경우, 다시 점을 추가해도 색의 추가 없이 가운데 점을 색칠할 수 있으므로,(파란색이나 초록색을 칠하면 되죠.) 앞의 삼각형일 때와 같은 이유로 모순이다. 따라서 이 케이스가 일어나는건 불가능하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case 2. 사각형의 꼭지점이 세 가지 색으로 칠해진다면</div> <div><br></div> <div><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373pDeGTHIlV4eI3CVFm8RWBkfPC.png" width="244" height="234" alt="6c.png" style="border:none;"></div> <div><br></div> <div>이때도 역시 다시 점을 추가해도 색이 추가되지 않으므로, 이 케이스도 불가능하다.</div> <div><br></div> <div>마지막 case 3. 사각형의 꼭지점이 모두 다른 색으로 칠해진다면</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388zsulrmETnQJY7Ff9VCQwDmuhPHoo4pA.png" width="244" height="234" alt="6d.png" style="border:none;"></div><br></div> <div><br></div> <div>자. 이 부분이 재미있는 부분인데, 이것의 해결방법은 (우리가 지금 하고 있는 이 과정을 처음 발견한 Alfred Kempe의 이름을 딴) <b>Kempe chain</b> 을 이용합니다.</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 Kempe chain이란 색칠된 그래프 위에서 특정한 두 색이 번갈아가며 반복되는 고리를 말합니다. 이 역시 그냥 예를 보는게 이해가 빠른데..</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395D8LjIz4QzDfF7gYRjPORhDy1ezS8.png" width="244" height="234" alt="7.png" style="border:none;"></div><br></div> <div><br></div> <div>이 그래프를 살펴보면, 파랑-노랑 Kempe chain은</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400ZKxLPLp2KR37.png" width="244" height="234" alt="7b.png" style="border:none;"></div><br></div> <div><br></div> <div>이렇게 한개가 있고, 빨강-노랑 Kempe chain은</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404qkWEPCsaMgicGY7oF.png" width="244" height="234" alt="7c.png" style="border:none;"></div><br></div> <div>이렇게 2개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원래 문제로 돌아와서... 사각형의 꼭지점마다 다른 색이 칠해져 있을 때.. 마주 보는 두 꼭지점이 가지고 있는 두 색을 선택합시다.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429zg5u8gbFzBTlyOUtthKo1H6Z.png" width="244" height="234" alt="6d.png" style="border:none;"></div><br></div> <div><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즉 여기서 빨강-노랑을 선택하거나, 파랑-초록을 선택합니다. 우리는 빨강-노랑을 선택해 봅시다. 빨강과 노랑에서부터 시작하여, 빨강-노랑 Kempe chain을 <b>최대한으로</b> 연장해 봅시다.</span></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subcase 3-1. </div> <div><br></div> <div>만약 chain이 연결되지 않는다면, 이런 식으로 그려지겠지요.</div> <div><br></div> <div><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4142rlbiJ4W.png" width="498" height="260" alt="8.png" style="border:none;"></div> <div><br></div> <div><b>이들 주변의 모든 점은 파랑과 초록으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빨강과 노랑의 색을 서로 맞바꾸어도, 마주하는 나라가 같은 색을 가지게 될 일은 없습니다.</b></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443xXjMFr1wQKoqTk5J6yjf.png" width="498" height="668" alt="8b.png" style="border:none;"></div><br></div> <div><br></div> <div>이렇게 한 쪽의 chain의 색을 뒤바꾸면, 어떤가요? <b>사각형 위에는 단 3개의 색만이 놓이게 됩니다</b>. 이 상태로 다시 가운데에 점을 추가하고, 사용하지 않은 색 (이 경우에는 빨간색) 을 추가하면, 4가지 색으로 반례를 칠해버린 게 되죠. 이건 모순이니 이 케이스도 불가능합니다.</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마지막 subcase 3-2. </div> <div><br></div> <div>chain이 연결된다면, 앞에서와 같이 빨강-노랑의 색을 뒤바꿔도 사각형 위에는 여전히 4가지 색이 놓이게 됩니다. </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4518SzPCNdco7oGV55X.png" width="498" height="266" alt="8c.png" style="border:none;"></div><br></div> <div><br></div> <div>그런데 이런 상황이라면, <b>파랑-초록 Kempe chain은 연결될수가 없</b>죠. 빨강-노랑 Kempe chain이 둘 사이를 갈라놓고 있으니까요.</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458oKU1STShMApK583HXq5ucrHNu45.png" width="498" height="300" alt="8d.png" style="border:none;"></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br></div> <div><br></div> <div>따라서 이번에는 파랑-초록 Kempe chain의 관점에서, 한쪽 chain의 색을 뒤바꿀 수 있습니다.</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4666f25UyKE.png" width="498" height="300" alt="8e.png" style="border:none;"></div><br></div> <div><br></div> <div>그러면 이번에도 사각형 위에 단 3개의 색만이 놓이게 되고, 위와 같은 원리로 모순이 발생합니다.</div> <div><br></div> <div>자. 이상에서 모든 케이스가 불가능함을 보였으므로, 귀류법에 의하여 maxinal planar graph인 minimal counterexample에는 차수 4인 점을 가지지 않습니다.////////</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지금까지 우리가 해온걸 정리해봅시다.</div> <div><br></div> <div>먼저, 우리가 2부上에서 발견한 사실</div> <div><br></div> <div>“maximal planar graph 인 반례에는 반드시 차수 5 이하인 점이 존재한다.”</div> <div><br></div> <div>이 성립함과 동시에,</div> <div><br></div> <div>“maximal planar graph 인 반례 중 어떤 것(minimal counterexample) 에는 절대로 차수 1,2,3,4 인 점이 존재할 수 없다.”</div> <div><br></div> <div>도 성립함을 알았습니다.</div> <div><br></div> <div>이제, 다음을 보일 수 있다면..</div> <div><br></div> <div><b><font color="#ff0000">“maximal planar 이면서 minimal counterexample인 어떤 그래프는 차수 1.2.3.4점은 커녕 차수 5인 것도 없다.”</font></b></div> <div><br></div> <div>그렇다면, 이건 우리가 2부上에서 발견한 것과 모순이죠. 그러면 증명은 끝납니다. 이것이 Kempe가 보이려고 했던 것이고.. 실제로 그는 보였습니다.</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font color="#ff0000"><b>(라고 그는 생각했습니다.)</b></font></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얼마 지나 그의 증명에서 결함이 발견되었죠. 그는 <b>차수5인 점을 제거하는데 실패</b>했던 것입니다. </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2. 이제 어떡하죠</div> <div><br></div> <div>우리가 아는 사실을 좀 다른 식으로 표현해 봅시다. 앞으로 반례라고 말하면, 편의상 maximal planar 이면서 minimal 인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합시다.</div> <div><br></div> <div>“반례에는 반드시 있어야 하는 점이 있다. (차수 1,2,3,4 또는 5인 점)”</div> <div><br></div> <div>“반례에는 반드시 없어야 하는 점도 있다. (차수 1,2,3그리고 4인 점)”</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혹은 이렇게 표현해 봅시다.</div> <div><br></div> <div>“반례를 어떻게 만들어도 피할 수 없는 형태가 있다. 어떤 반례에도 아래의 형태 중 하나는 있어야 한다..”</div> <div><br></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486OaK9fQ9whULaNjQE3IZCU3V.png" width="449" height="105" alt="9.png" style="border:none;"></div><br></div> <div><br></div> <div>우리가 앞에서 보았듯이 차수 3인 점의 주변 모양은 하나로 결정됩니다. 그래서 “점”에 대해 말하지 않고 이렇게 더 큰 “형태”에 대해서 말해도 돼요.</div> <div><br></div> <div>“반례에는 절대로 존재할 수 없는 형태도 있다. 어떤 반례에도 아래의 형태가 있다면, (우리가 앞에서 한 과정과 비슷한 방법으로) 4가지색만으로 그 그래프를 칠할 수 있게 된다. 아래와 같은 리스트를 가지면 그런 일이 일어난다..”</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491mFD6DKWhgIkZBH4vuaDx8XnpKQJbE.png" width="362" height="105" alt="10.png" style="border:none;"></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Appel과 Haken의 4색문제 풀이는 위의 명제에서 그림 부분만 바꾼 것과 다를바가 없습니다. 그들의 4색문제 첫 증명은 이런 식입니다.</div> <div><br></div> <div><br></div> <div><b><font color="#ff0000">4색문제가 거짓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반례가 존재한다.</font></b></div> <div><b><font color="#ff0000"><br></font></b></div> <div><b><font color="#ff0000">반례를 어떻게 만들어도 피할 수 없는 형태가 있다.그것은 아래와 같다.</font></b></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506KHuJso66.png" width="362" height="494" alt="11.png" style="border:none;"></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12/1451491509Asr7haWZ3AXwFcY.png" width="362" height="494" alt="12.png" style="border:none;"></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div> <div style="text-align:left;">.</div> <div style="text-align:left;">.....</div> <div style="text-align:left;">.</div> <div style="text-align:left;">.</div> <div style="text-align:left;">...</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이렇게 1936개)</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br></div> <div><br></div> <div><font color="#ff0000"><b>반례에는 절대로 존재할 수 없는 형태도 있다. 그건 위에 그려진 것과 같다.</b></font></div> <div><font color="#ff0000"><b><br></b></font></div> <div><font color="#ff0000"><b>이건 모순이다. 따라서 4색 정리는 참이다.Q.E.D.</b></font></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자. .. 이제 여러분은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를 유한한 케이스로 나누어 컴퓨터에 집어넣었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말이죠. 그리고 그와 동시에 더 많은 질문이 생기실 겁니다. </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그 질문들에 대한 대답은 다음 시간에.</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참고 : 1.a끝부분에서 차수 1,2인 점을 제외하는데 사실 이 점들은 어려운 과정 없이 지도에서 만들어지는 그래프의 특징에 의해 즉시 케이스에서 제외됩니다. 서술의 복잡함을 피하기 위해서 그냥 차수 3인 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풀었습니다.  </div> <div><br></div> <div>subcase 3-2에서 암묵적으로 사용된 정리가 있는데, Jordan curve theorem입니다. Jordan curve theorem의 내용은 말하기에 어이가 없는데.. “평면에서 고리의 안과 밖은 분리되어 있다.” 거든요. 직관적으로 당연하지만 증명하기는 끔찍합니다. 우린 그냥 사용합시다.</div>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12/31 01:06:39  112.146.***.214  초보자둘기  287651
    [2] 2015/12/31 01:13:51  220.116.***.161  miri  30844
    [3] 2015/12/31 01:28:30  210.205.***.105  쿼덕2  650028
    [4] 2015/12/31 01:56:39  110.76.***.9  EVN  655684
    [5] 2015/12/31 03:04:53  210.106.***.203  Young.K  25347
    [6] 2015/12/31 07:14:20  223.62.***.73  Limeade  545908
    [7] 2015/12/31 09:14:01  121.133.***.114  S.Guri  5374
    [8] 2015/12/31 09:53:34  125.135.***.220  럭키쓰리  525931
    [9] 2015/12/31 10:57:16  121.175.***.30  뭐든초짜  545664
    [10] 2015/12/31 11:08:12  219.249.***.44  뽀룹뽀룹  546772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더민주 당명정할때.. 아마 [3] 스톤골렘 16/01/23 19:49 4547 23
    4색문제를 풀어보자 - 2부下 [13] 창작글 스톤골렘 15/12/31 11:08 3616 19
    4색문제를 풀어보자 - 2부上 [19] 창작글 스톤골렘 15/12/27 13:05 4632 22
    4색문제를 풀어보자 - 1부 [28] 창작글 스톤골렘 15/12/22 04:50 6555 49
    [크롬필수]스타워즈 보기 전에 광선검 정도는 흔들어야지 않겠습니까? [25] 스톤골렘 15/12/16 23:01 3409 20
    [19][스압][스포][리뷰] 팬스가와 페미니즘 [17] 스톤골렘 15/12/01 23:28 7562 49
    [스압]버라이어티한 덕생활을 즐겨보자 [8] 창작글 스톤골렘 15/11/10 17:36 2243 20
    팬티스타킹 [14] 창작글 스톤골렘 15/11/06 23:25 5443 16
    할로윈 팬티 스타킹 [11] 창작글 스톤골렘 15/10/31 17:12 5901 27
    스압]그림을 그려보자.jpgs [6] 스톤골렘 15/10/26 20:55 2045 24
    팬티 [8] 스톤골렘 15/10/25 12:25 3142 21
    할리 [13] 창작글 스톤골렘 15/10/16 13:28 1335 19
    JTBC토론에 붓다가 보이네요 [7] 스톤골렘 15/10/14 23:35 6859 53
    베스파 [9] 창작글 스톤골렘 15/10/14 16:19 1876 19
    [1.9MB]마코 [14] 스톤골렘 15/10/03 10:51 2025 22
    스타킹 [3] 창작글 스톤골렘 15/09/28 02:50 4692 15
    팬티2 [9] 창작글 스톤골렘 15/09/26 23:30 3570 13
    팬티 [9] 창작글 스톤골렘 15/09/26 12:33 4555 16
    신규 유저 유입 기념으로 오늘의 유머 레전드를 한번 모아 봅시다.help [34] 스톤골렘 15/05/16 20:13 10266 73
    언니, 저 별로 맘에 안들죠? [35] 스톤골렘 15/03/28 14:26 12058 108
    미박노가다를 막 시작하는 쿠키러너를 위한 안내서 [9] 스톤골렘 15/02/02 01:41 4020 44
    아래 글을 보고 문득 떠오른 어린날의 추억 + 돈벌기 팁(?) [11] 스톤골렘 14/10/13 10:53 1296 16
    오유 희대의 사건 중 하나 스톤골렘 사건 [68] 스톤골렘 14/06/29 01:05 10880 174
    아반떼HD 급발진 의심 동영상 [5] 스톤골렘 14/03/30 16:47 4932 15
    Pica pic-휴대용 고전 게임기 [8] 스톤골렘 14/03/24 00:15 5000 15
    명랑수학만화 [78] 스톤골렘 14/02/13 04:19 8132 133
    아무도 안 만들길래 제가 만들었습니다. gif [27] 스톤골렘 14/01/05 21:08 11131 131
    2014년 1월 4일 광주 금남로.photo [32] 스톤골렘 14/01/04 20:20 3860 125
    논의와는 별개로 무도 연출이 예전하고 많이 다름을 느끼네요 [27] 스톤골렘 13/08/17 20:21 7148 122
    당신도 할 수 있다. - 팝핀상자 [4] 스톤골렘 13/07/11 14:04 2294 45
    [1] [2] [3] [4] [5]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