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BoA*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04-07-13
    방문 : 4323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umorbest_691384
    작성자 : BoA*
    추천 : 22
    조회수 : 3579
    IP : 112.168.***.32
    댓글 : 1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3/06/07 14:19:41
    원글작성시간 : 2013/06/07 13:22:42
    http://todayhumor.com/?humorbest_691384 모바일
    수원삼성의 원클럽맨, 곽희주
    <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한국프로축구가 출범한 30년을 통틀어 등록된 선수는 총 2,785명으로 이들 중 한 팀에서 만 10년을 활약한 선수는 36명에 불과하다. 우리는 10년을 한결같이 하나의 클럽에 헌신한 이들을 '원 클럽맨'이라 부른다. 원클럽맨이 될 수 있는 확률은 0.12%로 1,000명 중 1명만이 얻을 수 있는 영예다.<br>곽희주는 수원삼성블루윙즈의 대표적인 '원 클럽맨'이다. 2003년 5월 21일 K리그에 수원삼성블루윙즈의 파란색 유니폼을 입고 그라운드에 첫발을 내딛은 그는 올해 5월로 데뷔한 지 10년이 된다. <br>삼성스포츠단에서는 수원 출신으로 박건하, 이운재, 이병근, 김진우, 김대환에 이어 6번째로 '원 클럽맨'에 이름을 올린 곽희주의 스타다이어리를 통해 그의 살아온 길을 살짝 엿보고자 한다.</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br><strong>곽희주 스타다이어리 : 10년 전의 일기를 꺼내어</strong></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내게 수원삼성블루윙즈는 첫사랑입니다. 10년 전 보잘 것 없던 내게 다가와 내 심장과 모든 열정을 송두리째 바치게 만든 짜릿한 연인입니다. 수원블루윙즈란 이름만 들어도 여전히 벅차오릅니다. <strong></strong></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좌충우돌, 실수투성이였던 꼬맹이는 수원의 따뜻한 울타리에서 수원 팬들의 사랑을 받으며 10년째 그라운드를 누비고 있습니다. 그리고 내 마지막 열정 또한 수원을 위해 쓰고 싶습니다. 이제 보잘 것 없던 나의 가능성을 인정해주고 나를 성장시켰던 수원에서 보낸 10년의 이야기를 시작해볼까 합니다.</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img class="tcx_image" src="http://imgnews.naver.net/image/414/2013/06/04/120836069_0604-%25BD%25BA%25C5%25B8%25B4%25D9%25C0%25CC%25BE%25EE%25B8%25AE_%25B0%25FB%25C8%25F1%25C1%25D61%25C6%25ED.jpg" style="max-width: 800px;">                        </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2003년 5월 21일 데뷔 전을 치른 곽희주</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strong> 빨간 유니폼을 거부했던 호기 '수원은 내 운명'</strong></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수줍음 많던 열살 남짓 소년은 볼을 차는 게 좋았습니다. 골목 어귀에서 전봇대를 골문 삼아 볼을 찾고 그 순간이 가장 행복했습니다. 하지만 막상 축구선수가 되기로 마음 먹고 축구와 더불어 살던 유년시절은 우울하기만 했습니다. <br>9살 때부터인가 갑자기 왼쪽 눈이 잘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축구를 전문적으로 배우고 싶었는데 사기를 당하기도 했습니다. 우여곡절 끝에 선수 생활을 시작하기는 했지만 1년에 1, 2승하는 게 고작이었던 팀에서 제대로 된 축구를 배운다는 것 불가능했습니다. 어린 마음에 언젠가는 좋아질 거라 다짐하기도 했지만 악순환의 굴레는 고등학교 때까지도 계속 됐습니다.</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패배가 일상 그 자체인 팀에서 체계적인 지도도 받지 못 했고 그러다 보니 무기력함과 나태함에 허덕여야 했습니다. 게다가 당시는 만연했던 구타까지 견뎌야 했으니 한 마디로 '루저의 삶' 그 자체였죠.</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고등학교 졸업 할 때 쯤에는 팀이 해체되는 상황까지 맞아야 했습니다. 축구를 그만둬야 하는 암울한 상황에 모두들 떠나고 6명만이 남았습니다.</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축구 밖에 모르고 살던 자식들이 가여웠던 학부형들은 백방으로 수소문 했고 한 줄기 희망의 빛이 보였습니다. 나와 친구 1명에게 프로팀 테스트에 참가할 기회가 주어진 겁니다. 당시 K리그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바로 프로에 입단하는 선수들이 많았을 때라 테스트가 자주 열리던 때였습니다.</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내 친구와 나는 1차 테스트를 통과했지만 2차 테스트에서는 나만 합격 소식을 들었습니다. 막상 프로팀 입단 기회가 열렸지만 이상하게도 기쁘지가 않았습니다. 친구들을 제치고 나만 프로에 간다는 게 의리를 져 버리는 것 같은 죄책감이 더 컸던 것 같습니다.</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나는 프로팀 입단 대신 광운대 입학을 결정하게 되었는데 그 결정이 곽희주의 축구 인생을 송두리째 바꿔 놓았습니다. 당시 광운대의 강기욱 감독님과 오승인 코치님 모두 수비수 출신이었는데 축구의 기본도 모르던 곽희주가 수비에 눈을 뜨게 된 겁니다. 그분들의 가르침은 제게 광명과도 같았습니다.</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이제와 돌이켜 보면 프로팀 입단을 거절하고 대학 진학을 결정했던 것은 신의 한 수였던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당시 제가 합격했던 프로팀은 다름 아닌 안양 LG였기 때문입니다. 지금도 빨간 색 유니폼을 입고 수원을 상대한다는 게 상상이 잘 안됩니다. 역시 곽희주는 수원블루윙즈에 입단할 운명이었나 봅니다.</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계속)</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br></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strong>첫사랑 수원블루윙즈를 만나다</strong></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한일월드컵 4강의 여운으로 뜨겁던 2002년 여름이었습니다. 광운대에서 수비수로 뛰며 조금씩 축구에 눈을 떠가고 있던 때, 연습경기가 있다는 얘기에 코치님이 빌려 온 마을버스에 무작정 몸을 실었습니다. 고속도로로 가면 편할 텐데 코치님은 국도를 고집하시더군요. 좁디좁은 마을버스 안에서 찜통같은 무더위를 몇 시간째 견디다 보니 경기도 하기 전에 이미 녹초가 되어버렸습니다.</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천신만고 끝에 도착한 곳은 수원월드컵경기장 보조구장이었습니다. 우리가 상대할 팀은 다름 아닌 김호 감독님이 이끌고 있던 수원블루윙즈였습니다. 경기가 시작되기 전 코치님이 "오늘 경기는 너 때문에 잡은 거야."라고 귀띔을 해주시더군요. 그때는 뭔 얘기인 지 잘 와 닿지가 않았습니다.</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그 날 내 임무는 수원의 특급 외국인 산드로를 집중 마크하는 것이었습니다. 솔직히 산드로가 얼마나 대단한 공격수인 지 잘 몰랐죠. 난 내 스타일대로 산드로를 막아 냈습니다. 악착같이 달라붙었습니다. 내 수비에 막힌 산드로는 페널티지역 바깥으로 나가서 중거리슛으로 골을 만들어 내더군요. 이 날 우리는 0:5로 대패했습니다. 하지만 산드로만큼은 나름 잘 막았던 것 같습니다.</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그 해 가을 대학대회 때 윤성효 감독님(당시 수원 스카우터)이 효창운동장을 찾아왔습니다. 경기가 끝났을 때 윤 감독님은 우리 감독님에게 고개를 끄덕이더군요. 그제야 '내가 수원에 입단할 수도 있겠구나'라고 느꼈고 몇 달 전 수원과의 연습경기에서 코치님이 한 말이 떠올랐고 이해가 됐습니다.</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그 때 즈음 수원을 대표하던 공격수 박건하 형이 수비수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수비수로 치른 첫 경기를 TV로 지켜봤고 그 때까지만 해도 수원블루윙즈는 TV 안에만 존재하던 팀이었을 뿐 내가 몸담으리라고는 꿈도 꾸지 못한 팀이었습니다. 그리고, 2002년에서 2003년으로 넘어가던 겨울 TV를 통해 지켜보던 수원블루윙즈는 내가 뼈를 묻어야 할 팀이 되었고 내 마음 깊은 곳에서 이전까지는 꾸지 못했던 꿈이 자라나고 있었습니다.</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br>수원 입단이 확정되고 숙소에 처음 들어왔을 때가 기억이 납니다. 지금도 그렇지만 워낙 내성적이고 숫기가 없어 눈치만 보고 있을 때 김호 감독님이 부르시더군요. 인사를 드리자 의무 트레이너를 부르더니 "희주는 착한 아이니까 잘 좀 해주라."고 하시더군요. 김호 감독님은 어린 선수들에게 축구 뿐 아니라 일상까지도 꼼꼼히 챙겨 주시던 할아버지같이 푸근한 분이셨습니다.</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당시 최고의 스타였던 서정원 감독님을 잊을 수가 없습니다. 대학 때 경험하지 못한 훈련 시스템에 혼란스러워 매 훈련마다 선배들에게 핀잔을 들어야했습니다. 자신감은 바닥까지 뚝뚝 떨어졌죠. 서 감독님은 나를 따로 불러 "희주야! 대학 때처럼 편안하게 해."라고 다독여 주셨습니다. 그리고, 그 말 한 마디보다 서 감독님의 따뜻한 표정을 지금도 잊을 수가 없습니다. 표정에서 느껴지는 배려는 수원의 감독에 오른 후에도 변치 않는 것 같습니다. 선수들이 서 감독님을 가슴 깊이 따르는 이유인 것 같습니다.</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2004년 주장을 맡았던 이병근 코치님은 순수한 웃음으로 솔선수범하던 선수였습니다. 말이 많은 편은 아니었지만 '진실'이라는 말을 강조하셨던 분으로 기억이 납니다.<br>고종수 코치님은 2004년 복귀할 때 만났습니다. 한 마디로 멋졌습니다. 특히 자기가 하고 싶은 얘기는 자신있게 하던 모습을 볼 때면 내성적인 나로서는 부럽다는 생각이 들더군요.</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그리고 10년이 지났습니다. 긴 세월이었네요. 그 동안 수원은 3명의 감독님이 거쳐 가셨고, 그 분들과 함께 저는 두 차례 K리그 우승과 두 차례 FA컵 우승, 두 차례 리그 컵 우승 등 10번의 우승 컵을 들어 올렸습니다.</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img class="tcx_image" src="http://imgnews.naver.net/image/414/2013/06/04/122153721_0604-%25BD%25BA%25C5%25B8%25B4%25D9%25C0%25CC%25BE%25EE%25B8%25AE_%25B0%25FB%25C8%25F1%25C1%25D62%25C6%25ED.jpg" style="max-width: 800px;"><br>2008년 K리그 우승 당시 차범근 감독과 함께</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p><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30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수원블루윙즈는 각급 대표를 거쳤던 것도 아니고, 출신 학교도 크게 내세울 게 없던 내게 처음으로 관심과 기대를 보내 준 팀이었습니다. 누군가 '곽희주에게 수원블루윙즈는 어떤 의미냐?'고 물을 때면<br>'첫 사랑'이라고 답하는 이유입니다.</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strong>등번호 29번에 숨겨진 '무단이탈' 스토리</strong></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 </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나를 기억하는 모든 분들은 등번호 29번을 떠올리시겠지만 2003년 입단할 때만 해도 내 등번호는 6번이었습니다. 2004년부터 달기 시작한 29번이라는 등번호에는 곽희주의 절망과 일탈, 그리고 되찾은 희망이 뒤엉킨 좌충우돌 이야기가 숨겨져 있습니다. 한 번 들어 보실래요?</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 </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수원에 입단한 후 6번이라는 등번호를 받았을 때 의아했습니다. 대단한 이력이 없던 신출내기 선수가 수원을 대표하던 이기형 선배가 달던 그 번호를 받을 줄이야... "6번은 베스트로 출전하는 선수들에게 주는 번호잖아. 왜 나한테 이렇게 잘해 주는 거지?"라는 생각이 들더군요.<br>그만큼 김호 감독님은 내게 많은 기대를 하셨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남해전지훈련부터 매 순간 100% 이상을 다했습니다. 부족한 것을 배우겠다는 생각만 가득했습니다.</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br>2003년 5월 21일 울산과의 원정경기 때 마침내 선발 기회를 얻었습니다. 전 경기에서 김영선 형이 부상으로 다치면서 갑자기 찾아온 기회였습니다. 부담감은 이루 말할 수 없었습니다. 무조건 잘해야 한다는 생각 밖에 없었습니다. <br>프로의 벽은 높았고, 신출내기였던 나는 역시나 둔탁했지만 큰 실수는 없었던 것 같습니다. 입단 첫 해 11경기를 뛰었습니다. 좌충우돌했지만 자신감을 갖기에 충분했죠.</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 </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2004년 등번호 29번과 함께 시련이 찾아왔습니다. 김호 감독님이 물러나시고, 차범근 감독님이 부임하면서 내게 주어진 등번호는 29번이었습니다. </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 </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 <img src="http://imgnews.naver.net/image/414/2013/06/07/121738026_2004-1212-k%25B8%25AE%25B1%25D7_%25BF%25EC%25BD%25C21_%25283%2529.jpg" alt="썸네일" style="border: none; width: 550px;">    </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나는 조금씩 잊혀지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2군도 아닌 3군까지 내려가야 했습니다. 절망했고, 축구가 싫었습니다. 무작정 도망쳤습니다. 유럽전지훈련을 앞두고 있던 시점이었습니다.<br>바람을 쐬고 싶어 충남 대천 바닷가에 머물렀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이창엽 트레이너가 저를 찾아왔습니다. 한 식당에서 마주쳤는데 정말 깜짝 놀랐습니다. 훗날 알고 보니 내 핸드폰을 위치 추적했다고 하더군요. <br>이 선생님은 나를 다그치지 않았습니다. 나지막이 "네가 눈이 잘 보이지 않는 사람들에게 희망을 줬으면 좋겠다."고 하시더군요. 이 한 마디에 두 말 않고 수원으로 복귀했습니다. </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 </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무단이탈이라는 큰 사고를 친 나는 임의 탈퇴가 된다고 해도 달게 받을 각오가 돼있었습니다. 하지만 차 감독님은 내게 다시 기회를 주셨습니다.<br>솔직히 프로의 벽은 대단히 높았습니다. 감독님의 기대에 부응하려다 보니 실수가 잦았고, 의욕을 앞세우다 실점을 자초하는 경우도 늘었습니다.</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 </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대표적인 경기가 2004년 4월 10일 전북과 홈경기였습니다. 언론에서는 10년 만에 K리그로 돌아온 차범근 감독님의 복귀전이라고 관심이 집중되던 이날 나는 자책골을 넣고, 패배의 멍에를 뒤집어쓰고 말았습니다.<br>차 감독님은 나를 나무라지 않았습니다. 나는 꾸준히 경기에 나섰지만 실수는 반복됐습니다. 개막전 자책골을 마음에서 떨쳐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수원 팬들로부터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거칠기만 하고, 결정적인 실수를 하는 저런 선수를 왜 쓰느냐?"는 것이었죠. 차 감독님도 크게 부담이 됐을 겁니다. 하지만 감독님은 묵묵히 제가 다시 일어나기를 기다려 주셨습니다.</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 </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더는 한 눈을 팔 수 없었습니다. 나는 스스로를 위해, 수원을 위해, 감독님을 위해 머뭇거려서는 안됐습니다. 한 팬이 얘기해주시더군요. 끔찍할 만큼 덥던 2004년 8월 21일 전북과 컵대회 홈경기를 마쳤을 때 양 팀 선수들 모두 주저앉았지만 나 혼자 더 뛸 수 있을 것 같은 표정으로 서 있더라구요. 당시 내 마음가짐이 정말 그랬던 것 같습니다.</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br>결과적으로 그해 K리그 37경기를 모두 교체 없이 뛰었습니다. 그리고 감격적인 K리그 우승컵을 두 손에 안았습니다.</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 </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img src="http://imgnews.naver.net/image/414/2013/06/07/121824511_2004-1212-%25BF%25EC%25BD%25C2%25C3%25E0%25C7%25CF%25BF%25AC_%25281%2529.jpg" alt="썸네일" style="border: none; width: 550px;"></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 </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연말 시상식 때는 그야말로 수원 풍년이었습니다. 베스트 11에는 무려 6명의 수원 선수들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운재, 나드손, 김두현, 김대의, 무사 등 기라성 같은 선수들의 이름 옆에 '곽희주'라는 이름도 함께 쓰여 있었습니다.</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 </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img src="http://imgnews.naver.net/image/414/2013/06/07/121843083_2004-1229-k%25B8%25AE%25B1%25D7_%25B4%25EB%25BB%25F3_%25B4%25DC%25C3%25BC.jpg" alt="썸네일" style="border: none; width: 550px;"></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 </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돌이켜보면 철모르고 저질렀던 실수였습니다. 철부지 같은 실수를 탓하지 않고 끝까지 믿어주진 차범근 감독님과 코치선생님들께 이 자리를 빌려 감사드립니다. 등번호 29번을 어떻게 생각하냐구요? 이제는 어떤 번호와도 바꾸지 않을 만큼 사랑합니다.</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br></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strong>'골 넣는 수비수' 곽희주가 꼽는 최고의 골 TOP 3</strong></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strong></strong> </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내게 주어진 임무는 수비수지만 때로는 골 욕심이 나곤 합니다. 솔직히 숭덕공고 1학년까지만 해도 공격수로 활약하곤 했습니다. 스피드도 꽤 괜찮았고, 제공권도 남부럽지 않아 종종 머리로 득점을 올렸습니다.</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 </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기록을 찾아보니 10년간 수원에서 뛰면서 19골(K리그 17골·FA컵 1골·ACL 1골)을 넣었네요. 신인 때는 코너킥이나 프리킥 상황에서 나도 모르게 슬금슬금 최전방까지 나갔다가 감독님께 꾸지람을 듣기도 했었죠. <br>고참이 된 지금은 세트피스 때면 종종 공격에 가담하곤 합니다. 가끔은 킥을 올리는 후배에게 내 머리로 보내 달라고 부탁하기도 하죠.<br>많은 골을 넣은 건 아니지만 특별했던 골들을 추억해볼까 합니다.</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br>우선 3위는 수원 데뷔 골을 꼽고 싶네요. 2005년 5월 15일 대전 원정이었습니다. 당시 우리는 대전 원정에서 지독하게 이기지 못하고 있던 때였습니다. 이 날도 후반 1분 대전의 레안드롱에게 먼저 실점했습니다. 레안드롱에게 어시스트해 준 선수는 이듬해 수원 유니폼을 입은 이관우 형이었던 걸로 기억이 나네요.</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 </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0:1로 끌려가던 후반 22분. 동점골을 위해 매섭게 공격을 몰아칠 때 나는 어느새 상대 골문 근처로 달려가고 있었습니다. 날카로운 크로스를 상대 골키퍼가 잡지 못하고 쳐내던 순간을 놓치지 않았습니다. 달려들면서 시저스 킥으로 대전 골문에 적중시켰습니다. <br>프로 데뷔 후 기록한 첫 골이면서 대전 원정 패배를 벗어날 수 있었던 동점골이라 지금도 가끔씩 기억나곤 합니다.</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br>2위는 올해 전북 원정 골을 꼽겠습니다.</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img src="http://imgnews.naver.net/image/414/2013/06/07/122324405_2013-0330-%25C0%25FC%25BA%25CF%25C0%25FC_%25B0%25F1.jpg" alt="썸네일" style="border: none; width: 550px;"></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 </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5년간 5무 7패. 언젠가부터 지독한 전북 징크스에 자존심이 상했습니다. 솔직히 내가 입단할 때만해도 전북은 우리의 상대가 되지 못했죠. 2000년 7월8 일 전북 원정(2:0 승)부터 2006년 5월 10일 홈경기(2:2 무)까지 7년간 22경기 연속 무패(14승 8무)를 기록했습니다. 7년간 한 번도 지지 않았던 우리가 5년간 한 번도 이기지 못하는 팀이 된다는 건 견딜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br>그 사슬을 내가 깨고 싶었습니다. 전반 31분 홍철이 왼쪽 코너킥을 올릴 때 어김없이 골문 근처에서 기회를 엿봤습니다. 킥하는 순간 '내 볼이다!'라는 생각이 스치더군요. 달려들면서 헤딩으로 꽂아 넣었습니다. 그리고 준비했던 두 손을 엇갈려 가위를 표현하는 골 뒤풀이를 펼쳤습니다. 징크스는 이제 끝났다는 의미였습니다. 이 날 우리는 기분 좋게 2:1로 승리했습니다. 그리고 라커룸에 붙어 있던 '수원의 자존심'이 적힌 플래카드를 들고 나와 팬들과 함께 모처럼 거둔 승리의 환희를 함께 나눴습니다.</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br>1위는 뭐니 뭐니 해도 2008년 챔피언결정 1차전 동점골을 꼽아야겠죠. <br>정규리그 1위를 차지했던 우리는 24일간 경기를 치르지 못하고 상대를 기다렸습니다. 연습경기를 한다고 해도 실전 감각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FC 서울 홈에서 치르는 원정이라 부담은 더 컸습니다.<br>플레이오프를 승리하고 올라온 서울 선수들은 컨디션이 무척 좋아 보였습니다. 경기 시작하자마자 몸이 풀리지 않아 우왕좌왕하는 우리와 달리 서울은 매섭게 우리를 위협해왔습니다. 데얀이 결정적인 기회만 놓치지 않았다면 아마도 우리가 대량 실점할 수도 있었을 겁니다.<br>결국 아디가 헤딩으로 선제골을 뽑아내더군요. 반전이 필요했지만 우리의 컨디션은 좀처럼 좋아질 기미가 없었습니다.</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원정에서는 비기기만 해도 괜찮다. 어차피 홈에서 승부를 보면 된다.'는 생각으로 과감하게 공격에 가담했습니다. 후반 34분 마토가 힘차게 헤딩슛을 시도했는데 서울 골키퍼 김호준이 막아내더군요. 그런데 그 볼이 내 앞으로 흐르고 있었습니다. 망설일 게 없었죠. 있는 힘을 다해 오른발로 차 넣었습니다.</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img src="http://imgnews.naver.net/image/414/2013/06/07/122351314_2008-1203-%25C3%25A8%25C7%25C7%25BE%25F0_%25B0%25E1%25C1%25A4%25C0%25FC_1%25C2%25F7%25C0%25FC_%25B0%25F1_%25282%2529.jpg" alt="썸네일" style="border: none; width: 550px;"></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포효를 하며 달려 나오면서 우승을 확신했습니다. 빅버드에서는 우리가 분명 이길 수 있을 테니까요. 이전까지 이렇게 큰 경기에서 골을 넣어보진 못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인지 더 짜릿했습니다. 결국 우리가 2차전에서 승리하며 네 번째 별을 품었습니다. 골 맛은 정말 달콤하면서도 중독성이 지독할 만큼 진합니다.</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 </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순위로 꼽지는 않았지만 2010년 차범근 감독님 생신 때 터트린 골도 기억에 남습니다. 당시 감독님은  7년여 간 지휘하던 수원 감독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5월 22일 광양에서 열린 전남 원정... 감독님을 떠나보내야 하는 선수들의 마음은 무거웠습니다. 꼭 승리를 선물하고 싶었지만 이 날도 우리는 전반 4분 만에 실점을 하고 말았습니다. <br>그대로 무너질 수는 없었습니다. 전반 25분 송종국 형이 올린 코너킥 때 나는 어김없이 내달려서 헤딩으로 동점골을 뽑았습니다. 그리고는 동료들과 함께 차 감독님께 달려가 큰 절을 올렸습니다. 감사함과 아쉬움, 죄송한 마음이 담긴 인사였습니다. 차 감독님도 뭉클하셨다고 하더군요. <br>다시 한 번 말하지만 무명선수였던 내가 수원에 뿌리를 내릴 수 있었던 데는 차 감독님의 신뢰 덕분이었습니다. 이 날 우리는 3:2로 역전승을 거뒀습니다.</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br>골 이야기를 펼쳐 놨지만 내 본분은 역시 수비입니다. 골보다는 기복이 없는 선수. 꾸준히 그래프를 유지하며 동료선수들에게 신뢰를 주는 선수로 기억되고 싶습니다.</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 </p><p style="margin-bottom: 19px;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color: rgb(45, 44, 45); font-size: 16px;">참 이번 기회에 풀고 싶은 오해가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곽희주하면 거칠고 파울이 많다는 고정관념이 있는 것 같습니다. 내가 상대 공격수를 악착같이 달라붙어 몸싸움을 즐기다보니 그런 인상을 줄 수는 있지만 동료들을 해하기 위해 일부러 파울을 하지는 않습니다. K리그 268경기를 뛰면서 경고는 50번밖에 없었고, 퇴장도 1번 밖에 받지 않았습니다. 퇴장도 파울 때문에 받은 것도 아니고 항의하다가 경고 누적이 됐던 겁니다. 곽희주도 부드러운 남자입니다.</p>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3/06/07 13:33:25  122.203.***.2  해야  401748
    [2] 2013/06/07 13:37:05  128.134.***.85  단창  282432
    [3] 2013/06/07 13:46:26  211.201.***.198  브러브다  322466
    [4] 2013/06/07 13:50:23  96.250.***.27  안경제비  343710
    [5] 2013/06/07 13:58:32  118.41.***.8  고간디  319793
    [6] 2013/06/07 14:02:45  74.70.***.14  있어  187439
    [7] 2013/06/07 14:03:14  221.153.***.41  sayho!  286072
    [8] 2013/06/07 14:07:32  123.123.***.216  뜨거운동경  178137
    [9] 2013/06/07 14:08:53  112.161.***.60  기린이조아  212430
    [10] 2013/06/07 14:19:41  114.205.***.187  GwangGaeTo  124470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노홍철ㅋ욣욣욣욣욣욣욣욣욣욣욣욣욣욣욣욣욣욣욣욣욣욣욣욣욣욣욣욣욣욣욣 [3] BoA* 13/06/09 00:18 10450 31
    수원삼성의 원클럽맨, 곽희주 [1] BoA* 13/06/07 14:19 3579 22
    프로축구 유스시스템 현황… 14개 구단 육성반 1755명 [4] BoA* 13/05/31 12:58 3442 23
    ‘뱃살 노출’ 라데 경고! 반가운 포항 레전드들 [1] BoA* 13/05/29 19:51 3901 18
    ‘40주년’ 맞이한 포항,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시하다 [3] BoA* 13/05/29 19:51 1150 18
    초등학생에게 느껴지는 주장의 품격, 경양초 이동현 [2] BoA* 13/05/29 00:08 5566 39
    진짜 LTE급 법 개정. [1] BoA* 13/05/27 21:31 8295 107
    물벼락 후폭풍, KBS N 입장 "앞으로 LG와 인터뷰 안한다" [6] BoA* 13/05/27 19:20 6135 39
    볼프스부르크 챔피언스리그 우승!!! [5] BoA* 13/05/25 13:33 4676 22
    [ACL] 아챔의 한국인들 8강 ver. [4] BoA* 13/05/24 02:04 2592 22
    투자에서 비롯된 동아시아 축구의 성장 [2] BoA* 13/05/23 19:14 3096 23
    혐)청소하다가 개구리 피라미드 발견!! [30] BoA* 13/05/22 17:27 13507 118
    진격의 이근호.AP [9] BoA* 13/05/21 16:29 4800 19
    [K리그 클래식] 현재 리그 순위. [3] BoA* 13/05/18 23:46 2463 21
    아놔 노홍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 BoA* 13/05/18 19:29 8587 41
    [내셔널리그] 강릉시청, 전 구단 상대 무패...1위 질주 [1] BoA* 13/05/16 19:38 1407 17
    월드컵 엔트리 최종 명단.jpg [17] BoA* 13/05/16 18:59 4287 14
    브라질 리그, 김연경에 '러브콜' BoA* 13/05/14 01:24 4610 30
    K리그 클래식vs챌린지, 올스타전에서 화끈하게 맞붙는다 [4] BoA* 13/05/13 20:02 1781 19
    오늘 SNL데이로 편성해야 할판... [4] BoA* 13/05/11 18:02 5284 35
    엠ㅄ진짜.ㅅㅂ짜증나니까 축구 중계권 사지마라. [2] BoA* 13/05/11 14:18 5378 30
    [FA컵]되살아난 역사-새로운 가능성이 공존했던 ‘지지대 더비’ [5] BoA* 13/05/10 01:31 2315 19
    [FA컵] 지지대 더비의 부활, 1만1724명 대관중 운집 [6] BoA* 13/05/09 01:31 2769 21
    수원 보스나 대포알 중거리 어시스트.gif [5] BoA* 13/05/08 12:28 4236 27
    수원 팬인데..진짜 프렌테 트리콜로는..... [4] BoA* 13/05/07 23:03 2297 20
    역대 우리나라 월드컵 득점자 현황 [6] BoA* 13/05/06 16:01 5840 23
    서유리 [1] BoA* 13/05/06 14:14 15790 34
    가장 슬픈 앨범 소개... [5] BoA* 13/05/04 13:13 13575 49
    티**는 사건만 주기적으로 상기시키되 사소한 일 언급자제요,. BoA* 13/05/03 19:06 6435 59
    [AFC 챔피언스리그] 동아시아지역 조별리그 결산 [1] BoA* 13/05/03 10:58 2082 24
    [1] [2] [3] [4] [5] [6] [7] [8] [9] [1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