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별빛쟁이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4-09-17
    방문 : 5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bestofbest_232112
    작성자 : 별빛쟁이
    추천 : 276
    조회수 : 33943
    IP : 220.77.***.79
    댓글 : 28개
    베오베 등록시간 : 2016/02/15 09:18:40
    원글작성시간 : 2016/02/13 21:56:40
    http://todayhumor.com/?bestofbest_232112 모바일
    한복...좋아하세요? 그럼 읽어줄수 있어요?
    옵션
    • 창작글
    <embed width="422" height="180" src="http://player.bgmstore.net/S63i0"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br><a target="_blank" href="http://bgmstore.net/view/S63i0" target="_blank">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S63i0</a> <div> </div> <div> </div> <div>안녕하세요. 눈팅만 가끔 하는 여징어입니다. </div> <div>제가 진짜 진짜 소심하고<strong> <font>쿠크다스 멘탈(중요ㅠㅠ)</font></strong>이라서...이 글을 쓰기 까지 다소 시간이 걸렸어요.</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저 정말 고민 많이 했거든요 ㅠㅠ </div> <div>이런 제가 큰 마음 먹고 게시글을 쓰기로 마음 먹은 이유는 바로 </div> <div><strong><font><font size="4">한.복.</font> </font></strong>때문입니다.</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한복. 우리옷. 너무 이쁘죠. 많은 분들이 사랑하시는 거 알아요.</div> <div>저도 한복 너무 사랑하구요. 그래서 한복글은 빠짐없이 읽어봐요.</div> <div> </div> <div> </div> <div>그런데 그런 생각이 들었어요.</div> <div> </div> <div>아무리 생활한복이니, 퓨전이니 고증을 거치지 않는다 해도 </div> <div>모르고 입는 것과 알고 입는 것은 다르지 않을까?</div> <div>잘못 알고 있는 것이 있다면 바로 잡는게 좋지 않을까?</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그래서 며칠을 고민하고 생각하고....</div> <div>몇 분만이라도 아, 그렇구나! 해 주시면 보람있을거 같아요. </div> <div> </div> <div> </div> <div>그림보다 글이 많아 다소 읽기 힘드시겠지만 시작할게요.</div> <div>(그림 못 그리니까요 ㅠㅠㅠ)</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div> <div> </div> <div><font size="4"><strong>1>  저고리</strong></font></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문헌상 처음으로 기록 된 건 세종실록 원경왕후 선전의(選奠儀)로 홍단자적고리(紅緞子 赤古里) 입니다. </div> <div>저고리 길이가 짧아지면서 고름을 달아 입는 형태가 된 건 고려 말기 이후라네요.</div> <div> </div> <div>우리의 저고리는<strong> [직령교임]</strong> 식으로 이 말은 곧은 깃에 여밈이 겹쳐지는 형식이라는 뜻입니다. </div> <div>좌임과 우임이 공존하다 고려 이후 현재와 같은 형태의 우임으로 정착했어요. </div> <div> </div> <div>저고리는 원단 한겹으로 제작한<font> 홑겹저고리(적삼</font>), 두겹으로 제작한<font> 겹저고리</font>, 솜을 넣은<font> 솜저고리</font>, 그리고 솜을 넣어 한땀 한땀 누빈 <font>누비저고리</font>,</div> <div>끝동, 고름, 깃에 다른 색상을 넣은 <font>회장저고리</font>, 곁마기(또는 곁막음)가 들어간 <font>삼회장저고리</font>, 털이 들어간<font> 갖저고리 </font>등이 있습니다.</div> <div> </div> <div> </div> <div>그 동안 많이들 보셔왔을 저고리의 구조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800" height="445" class="chimg_photo" alt="001.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5353046OiDhmXIJJ8OvKUXdT5t.jpg"></div> <div> </div> <div> </div> <div>1. 화장 :    목을 숙여보시면 살짝 튀어나오는 가운데 목 뼈가 있어요. 그걸 기준으로 소매끝까지의 길이를 말합니다.</div> <div>                양장을 할 때도 이 뒷목점을 이용합니다.</div> <div> </div> <div> </div> <div>2. 고대:     뒷고대라고 하는 분도 계시며 목 부분입니다.</div> <div> </div> <div> </div> <div>3.    길:     쉽게 얘기하면 옷의 몸판입니다. 앞길은 앞판, 뒷길은 뒷판입니다. </div> <div> </div> <div> </div> <div>4.   <font> 섶:</font>     존재의 이유가 뭘까요?  바로 <u><strong><font>체형 조절입니다</font></strong></u>. </div> <div>               지금이야 섶을 체형과 상관없이 더 넓게 내기도 하고 없애기도 하지만요. </div> <div>               </div> <div>               겉섶이라고 굳이 적은 이유는 예상하신 대로 안섶이 있기 때문입니다. </div> <div>               저고리 오른쪽길의 섶은 겉섶과 모양이 다르고 폭도 좁습니다.</div> <div> </div> <div>5.  진동:  길과 소매가 맞닿는 부분을 말하며 보통 깃과 소매의 위치를 이 진동선을 기준으로 맞추게 됩니다.</div> <div> </div> <div> </div> <div>6. 배래는 소매의 둥근 부분, 도련은 옷 아랫단을 말하며 수구는 손이 나오는 구멍입니다.  </div> <div> </div> <div>    </div> <div>7. 깃, 동정, 고름은 아실 거라 생각하고 생략했고 끝동에 대해서는 나중에 소매 부분 할때 잠깐 한번 더 설명 하겠습니다.</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우리옷의 특징이 뭔지 아세요?</div> <div> </div> <div>바로<font><strong> 대칭속의 비대칭 </strong></font>이라는<font size="5"><font size="2"> </font></font>겁니다. </div> <div> </div> <div>한복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div> <div>저고리는 저렇게 포개져 있는 모습을 보면 대칭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div> <div>하지만 앞길과 뒷길의 섶과 깃의 모양을 다르게 주어 한편으로는 비대칭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div> <div> </div> <div>그건 남자 사폭바지나 아이들 풍차바지도 매한가지 모습이 나옵니다. </div> <div>이건 단순한 디자인적 요소 뿐만 아니라 그 시대 천을 조금 더 아껴쓰고자 하는 조상님들의 지혜도 담겨 있어요.</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div> <div>1-1> 저고리의 깃 </div> <div> </div> <div> </div> <div>제가 진짜 글을 쓰게 된 이유가 첫번째 이유가 사실 이<font size="5"> <strong>깃! </strong></font>때문입니다.</div> <div> </div> <div><font>돌림깃. </font></div> <div> </div> <div>도대체 돌림깃이 뭐죠? (니콜라스 케이지 짤이 필요해!!)</div> <div> </div> <div>문헌에도 논문에도 유물에도 어디에서도 돌림깃이란 말은 존재하지 않습니다.</div> <div>혹시 제가 몰랐던 것은 아닐까 하고 선생님들께 여쭤 봤지만 그 분들도 저와 마찬가지로 읭? 그게 뭐야? 라는 반응이셨어요.</div> <div> </div> <div>많은 분들이 생각하고 계시는<font size="3"> <font><u>그 돌림깃은 목판깃입니다.</u> </font></font></div> <div> </div> <div>아마 한복업에 종사하시는 분들이 이 목판깃을 앞길에 달 때 살짝 둥글게 돌려 달았다고 그렇게 부르는 것이 아닌가 싶어요.</div> <div>현장에서 쓰이는 용어 정도? (디자인작업의 누끼라는 표현 같은?) </div> <div> </div> <div>제가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저고리는 직령교임입니다. 직령이라 함은 곧은 깃이라는 말이죠.</div> <div>사실 우리 한복을 만들때는 깃이 곧다 해서 직선으로 달지는 않습니다. 우리는 곡선의 미를 중시하는 나라잖아요? :)</div> <div>그러니 목판깃을 둥글게 돌려 달아도 목판깃입니다.</div> <div> </div> <div>전통에 정답은 없다고 저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틀린 것은 아니겠지요. 시대에 따라 많이 바뀌기도 하니까요 </div> <div>하지만 버젓이 용어가 있는데 왜 굳이? 라는 생각이 들어요. </div> <div>또 돌림깃이라 쓴다 해도 최소 이 깃이 목판깃이라는 건 알고 써야 하지 않을까요?</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우리 저고리 깃 종류는 </div> <div> </div> <div><font>직령, 단령, 방령, 곡령</font> 등이 있습니다. (깃 령)</div> <div>현재 많이 볼 수 있는 것이 바로 이 직령과 단령이며 이 깃의 형태에 따라 포(두루마기 같은 겉옷)를 칭하는 단어가 되기도 해요.</div> <div> </div> <div>이 깃을 뜯어서 펼쳐보면 직선의 형태를 하고 있어요.</div> <div> </div> <div>깃 모양에 따라 당코깃, 동그레깃, 칼깃, 맞깃, 목판깃, 쌍깃 등 다양하게 불리고 있는데</div> <div>동정이 서로 맞닿아 있냐 아니냐로 깃을 분류하는 글도 봤지만 그건 아닙니다. </div> <div>대표적인 깃 4 가지만 소개할게요.</div> <div> </div> <div> </div> <div><strong>1. 직령</strong></div> <div><font size="2"><font><strong>1) 동그레깃</strong></font> </font>- 섶과 깃이 닿는 부분의 모양이 동글동글 해서 동그레깃인데 이게 만들때 꽤 귀찮습니다. </div> <div>                   그래서 그런지 요즘 한복에서는 전부 저 부분을 사각형으로 만들어 동그레 깃 보기가 힘들더라구요.</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474" height="343" alt="003.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5359600jzNndDAJTqOz.jpg"></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0" height="0" alt="002.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5358260jrThcdfqEU78rJ3TJy48JB3fDeaqs.jpg"></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0" height="0" alt="002.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5358273uMBSKrpQm.jpg"></div> <div> </div> <div><font size="2"><strong>2) 당코깃</strong></font> - 보통 당코깃은 당의에 많이 달았습니다. 전통 당의는 섶에 주름을 넣어 윗섶을 보다 좁게 만들었고 </div> <div>                 그걸 보완(?)하기 위해  버선발처럼 튀어나온 깃을 달게 되었대요. 지금은 예뻐서 많이 답니다. ㅎㅎ</div> <div>                 당코깃도 섶과 마주하는 부분을 둥글게 굴려줄 수 있습니다.</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282" height="229" alt="004.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5360523yVWUaB5fPkpfmXHAMmRt6W.jpg"></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strong><font size="2">3) 맞깃</font></strong> - 마주하고 있는 깃이라 맞깃이라 하는데 이 깃은 여밈이 없는(겹쳐지지않음) 옷에 다는 깃이에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배자나 전통 원삼, 사규삼 등에 맞깃을 답니다.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4" height="460" alt="005.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53609279wJLxHtGQh5cUSkApoScv73QfNMo.jpg"></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font size="2"><strong>4) 목판깃</strong></font> - 목판깃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면 [ 격식에 맞지 않게 넓게 단 깃] 이라고 나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네, 많은 분들이 잘못 쓰고 있는 돌림깃의 원래 이름이죠. </div> <div style="text-align:left;">                보통 깃이 섶의 4/5 정도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이 목판깃은 섶 끝에 바로 달립니다. </div> <div style="text-align:left;">                그래서 제작하기 제일 수월해요. 한복집에서도 많이 애용하고 있구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현재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있어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345" height="541" alt="006.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53613623ICmJIqP3w7LEiiDp8dv.jpg"></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하아...이 언니 한복짤은 정말...ㅠㅠㅠ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strong>2. 단령</strong></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우리 사극에서 많이 보던 그 깃이기도 하고 또 옷의 명칭이기도 합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둥근 깃이란 뜻으로 보시는 순간 아하! 하실 거에요. </div> <div style="text-align:left;">이 부분에 대해서는 크게 설명하지 않고 넘어갈게요. (사실 설명할만한 종류가...)</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460" height="521" alt="C202319552.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5363455iRTyxhhUYL2jWiirbEYS3tYnb8oA9.jpg"></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div> <div style="text-align:left;">여기서 포인트! 왕이 입던 단령은 곤룡포라 불렀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left;">관리들은 흉배를 붙이고 왕은 용보를 붙였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색상에 따라 황룡포, 흑룡포, 적룡포, 청룡포가 있는데 황룡포는 중국의 황제색이라 하여 못쓰다가 </div> <div style="text-align:left;">대한제국이란 명칭을 쓰게 되면서 다시 입게 됐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그럼 깃에 대해서는 여기까지만 하고 </div> <div style="text-align:left;">다음은 소매에 대해 넘어갈게요. 여기까지 쓰는데 3시간이나 걸리다니....ㅠ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font size="4"><strong>2. 소매</strong></font></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다행히 소매는 깃에 비해 설명할 게 적....지 않네요. 비슷해!! (울음).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우리 저고리의 구조를 다시 한번 살펴 보아요!</div> <div style="text-align:left;">보시면 소매의 둥근 부분이 배래고 몸과 소매가 만나는 부분을 진동이라고 하는걸 아실 수 있을 거에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이 진동선을 기준으로 소매의 형태를 나눈다고 볼수 있어요.</div> <div style="text-align:left;"><font>통수형, 착수형, 직선형, 콩깍지형, 광수형(활수 또는 대수, 두리소매) 등등.</font></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간단명료하게 말하자면!!</div> <div style="text-align:left;">소매통이 좁은건 착수형, 넓은 건 활수(또는 대수 광수) 형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우리가 흔히 입는 저고리의 소매가 바로 착수형이며 </div> <div style="text-align:left;">이는 배래선이 진동선을 넘지 않는 형을 말합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통수형이라고 하기도 해요. 통수형은 배래선이 진동과 동일한 형을 말하거든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00" height="312" alt="10.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5367438lYMvBKNY4N3z4K3IlJ5bo77dHmfQ.jpg"></div></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도포나 단령 등에서 자주보이는 활수형(대수, 광고) 소매는 말그대로 넓은 소매를 말하는데 </div> <div style="text-align:left;">두리소매도 여기에 들어갑니다. </div> <div style="text-align:left;">여기서 두리소매 뭐냐면 바로<strong><font size="3"> "</font><font size="4">두리"</font></strong> 가 들어간 소매를 뜻합니다.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00" height="520" alt="009.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5367509tvMCNBm2RG8KSyftMp.jpg"></div></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착수형 소매로 된 단령이 유물에서 출토된 적은 있습니다만</div> <div style="text-align:left;">넓은 소매중 진동선에 붙어 있는 옷은 아직 출토 된적 없다고 합니다.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아, 한가지 말씀드리자면 둥글어서<u> 붕어배래는 개화기 때</u> 이후입니다. </div> <div style="text-align:left;">그 전에는 거의 직배래였어요. 요즘 한복도 직배래가 많은거 같습니다. ^_^</div></div> <div> </div> <div>마지막으로 끝동에 대한 이야기를 하나 하고 갈게요!</div> <div>소매끝에 달린 예쁜 장식 천, 끝동.</div> <div> </div> <div>그런데 거들지와 끝동을 혼용해서 쓰시는 분도 있는데 얘들은 서로 완전 다른 존재에요. </div> <div> </div> <div><font><u>거들지는 사실 원래 천이 아니라 기름을 잔뜩 먹인 한지로 </u></font>만들어서 덧붙인거에요. 거들지의 "지" 가 종이 지 입니다. 동정에 종이를 넣은것처럼요.</div> <div>왜냐하면 옛날에는 세탁을 자주 할 수 없었기 때문에 금세 더러워지는 목과 소매끝을 깨끗이 하기 위해서였어요.</div> <div>이와 비슷한 걸로 "쪽받침" 이라고 여자 쪽머리가 닿는 부위에 천을 덧대는 것도 있었어요. </div> <div> </div> <div>그렇기 때문에 거들지와 끝동은 함께 공존할 수 있었습니다. </div> <div>거들지를 떼어내면 짜잔! 하고 끝동이 나올 수 있어요. (거들지를 다는 방법도 다양했습니다.)</div> <div>그런데 끝동 = 거들지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간혹 계셔서 이건 꼭 말씀 드리고 싶었어요.</div> <div> </div> <div>끝동이 아무리 흰색이고 넓어도 거들지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거들지는 한겹 더 덧대어져 있다고 봐야 합니다.</div> <div>요즘이야 장식으로 많이 달지만요. 거들지는 당의에 주로 많이 달았습니다.<br></div> <div> </div> <div>3. 치마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00" height="488" alt="007.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5365671e2b6r5Ndnl56i5AI1Xz.jpg"></div> <div> </div> <div>치마는 [상] 이라는 한자를 가지고 있고 흔히 녹의홍상이라는 상이 바로 치마를 말합니다. </div> <div>아시다시피 누비치마, 솜치마, 4겹치마, 깨끼치마, 스란치마(위 사진) 등등이 있습니다.</div> <div> </div> <div>제가 오늘 말씀드리고 하는 치마에 대한 것은 바로 <font size="3"><strong>" 트임 " </strong></font>입니다.</div> <div>진짜 이 부분에 대해서는 댓글 달고 싶어 죽을 뻔.....</div> <div>하지만 저는 소심소심 쿠크다스 유리 멘탈이니까요. ☞☜</div> <div> </div> <div>많은 분들이 치마의 트임을 "당연하게" </div> <div>왼쪽트임은 사대부, 오른쪽 트임은 기생이었기 때문에 </div> <div>올바른 치마 입는 방법에 오른쪽 트임은 안된다고 말씀하십니다.</div> <div> </div> <div><font size="3">하지만 아닙니다!!!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font></div> <div> </div> <div>치마의 트임은 사실 오른쪽이든 왼쪽이든 상관 없습니다!!!</div> <div>조선시대에 신분을 구분 하는 풍습은 있었습니다. 하지만 법도는 아니었어요.</div> <div>지역에 따라 트임 방향은 다 달랐고 심지어 이걸로 정당을 나누기 까지 했었습니다!</div> <div> </div> <div>경북 안동을 중심으로 하는 양반가의 여성은 치마를 오른쪽으로 여몄고</div> <div>충남의 양반가는 왼쪽으로 여며 입었다 합니다.</div> <div> </div> <div>또 남인은 오른쪽으로 치마를 여몄고 </div> <div>서인인 경우 노론은 왼쪽으로 소론은 오른족으로 여며 입었습니다.</div> <div>신라시대에는 옷 색깔로 진골이니 성골이니 신분을 나뉘더니 조선시대에는 무려 치마 트임으로 나눴던 겁니다!!</div> <div> </div> <div>그럼 왜 왼쪽트임이 자연스럽게 자리를 잡게 되었을까요?</div> <div>그건 아마 오른손은 일을 해야 하고 왼손으로 치마를 잡아야 했기 때문이란 말이 있습니다.</div> <div> </div> <div>치마주름도 이 트임의 방향에 따라 왔다리 갔다리 했습니다만 </div> <div>요즘은 전부 하나로만 제작하기 때문에 주름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누워 있습니다. </div> <div> </div> <div>그런 고로 기생은 오른쪽, 사대부 양반 들은 왼쪽이라고 </div> <div>꼭 찝어 말할 필요는 없습니다. </div> <div>다만 모두들 왼쪽 트임을 하니 그냥 어느날 부터 정론처럼 자리를 잡게 된 것이지요.</div> <div>그런 고로 저도 왼쪽 트임으로...헤헷...</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div> <div>우리 나라에 반팔 저고리가 있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바로 반비 라는 거에요. </div> <div>중치막, 적초의 등등 또 쾌자 전복 답호의 차이점, 왜 한복은 비싼지 등등 한복에 대한 걸 이야기 하고 하면 끝이 없지요. </div> <div> </div> <div>하지만 여기까지만 하고 마무리 할게요...;ㅅ;</div> <div> </div> <div>그림이라도 그릴 줄 알면 좀더 설명하기 수월 했을텐데...</div> <div>긴 글 읽으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 -)(_ _)</div> <div> </div> <div>그럼 저는 떨어진 당분 보충하러 가겠습니다</div> <div>안.....녕......</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br><br><br><br>
    출처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6/02/13 22:01:41  59.187.***.118  카르마11  423656
    [2] 2016/02/13 23:27:07  125.182.***.25  zookeeper  599686
    [3] 2016/02/14 00:04:42  110.70.***.248  아싸라딩딩딩  570928
    [4] 2016/02/14 00:08:49  218.232.***.183  ballerina  577958
    [5] 2016/02/14 00:11:02  222.108.***.215  아그네스  181933
    [6] 2016/02/14 00:26:22  116.122.***.148  면암  697882
    [7] 2016/02/14 02:00:00  116.120.***.147  소보로깨찰빵  289392
    [8] 2016/02/14 13:41:31  39.115.***.234  이토깽  637603
    [9] 2016/02/14 15:03:40  121.170.***.78  꿈꿀까  125052
    [10] 2016/02/15 06:31:15  219.249.***.44  뽀룹뽀룹  546772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도깨비 영문 타이틀이 넘나 아쉬운것 [42] 별빛쟁이 17/01/02 17:51 25724 166
    도깨비) 혼돈의 덕화정체 그리고+ [30] 별빛쟁이 16/12/31 11:11 25269 173
    생활한복인데 왜 일본 느낌 난다요? 에 대한 이야기 [82] 창작글 별빛쟁이 16/04/29 10:26 26529 409
    한복...좋아하세요? 그럼 읽어줄수 있어요? [28] 창작글 별빛쟁이 16/02/15 09:18 33943 276
    [1]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