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humorbest_1438138
    작성자 : 토츠카
    추천 : 40
    조회수 : 5188
    IP : 61.74.***.34
    댓글 : 9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7/05/18 16:34:02
    원글작성시간 : 2017/05/16 19:49:02
    http://todayhumor.com/?humorbest_1438138 모바일
    조명되지 않는 한국사 역사상 역대급 패전, 공험진 - 갈라수 전투
    옵션
    • 펌글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5/1494931532504e5585b9d240a89a303f49140eea54__mn575898__w627__h860__f73867__Ym201705.png" width="627" height="860" alt="1.png" style="border:none;" filesize="73867"></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고려시대 중기 무렵, 윤관의 북벌과 고려의 동북 9성 설치는 교과서에서부터 나오는 이야기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런 일이 있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라고 하는 일은 알고 있습니다. 다만, 그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관심이 떨어져 거의 알려지지 않는 편이구요.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요즈음에 인터넷에선 "척준경이 여진족과 싸웠다." 는 정도로 알려져 있는것 같구요.</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아무튼 고려군의 총지휘관 윤관이 대군을 이끌고 가 성을 지었다는 '동북 9성' 의 위치에 대해서는 말이 많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서로 다른 학설을 소개한 저 맨 위의 지도만 봐도 대충 논쟁이 어떻게 되는지는 감이 올듯....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일단 현재의 정설만 소개하자면 1학설과 3학설 모두 부정되고, 2학설로 소개되고 있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일단 여기서는 이 논쟁을 다루려는 건 아니라 이 정도만 언급하고 넘어가겠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당시 고려는 윤관의 지휘 아래 무려 17만이라는 대군을 동원해 기존의 국경을 넘어, 여진족을 쫓아내고 동북 9성을 축성했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이 북벌 계획은 숙종 때부터 준비된 사업이었는데, 숙종이 죽고 나서 예종이 즉위했지만 부친의 숙원이었던 사업이라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이를 그대로 이어받았으니 여러모로 중대한 사업이라 지원이 막대했던 겁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아무튼 대군을 이끌고 가서 성을 짓는것 까지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별로 어려울 일도 없었고, 여러모로 일이 순조로워 보였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문제는 이렇게 성을 지은 다음부터였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역사를 순전히 우리 입장에서만 보자면야, 동북 9성을 축성한건 나라의 국경을 넒힌 일이라 장하고 뿌듯한 일처럼 느껴질 수 있겠지만,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당시에 그곳에서 살던 여진족의 입장에서는 난데없는 침략을 당한 일이었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고려군은 동북 9성을 지역을 장악하는 과정에서 <b>엄청난 숫자의 여진족 마을을 불태웠고 무수한 숫자의 여진족을 양민학살 했습니다</b>.</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기록을 보면 고려군 중군이 35개의 마을을 불태우고 380명을 죽이며 230명을 포로로 잡았고,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우군이 32개 마을을 불태우고 290명을 죽이고 300명을 포로로 잡았으며, 좌군이 31개의 마을을 불태우고 950명을 죽였으며,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윤관이 이끄는 본대가 37개의 마을을 불태우고 2,120명을 죽이고 500을 포로로 잡았습니다.<b> </b></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이를 다 합치면 135개의 마을을 불태우고 3,740명을 죽이고 1,030명이 포로로 잡힌 셈입니다. </b></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그런데 위의 수치를 자세히 보면, 유독 고려 좌군만 죽인 사람이 매우 많고 포로가 아예 없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고려 좌군이 석성이라는 곳을 공격할 무렵, 고려군은 전투에 앞서 사신을 보내 항복하라는 요구를 전했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그러자 여진족 쪽에서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br></b></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우리가 한판 싸움으로 승부를 보려고 하는데, 어째서 항복하라고 하는 것인가?"</b></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그리하여 전투가 벌어졌고, 여진족은 고려군이 깜짝 놀랄 정도로 완강하게 저항했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석성 내에는 여진족 군사들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늙은 부모, 아내, 어린 아이들 등 가족들이 전부 있었던지라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이들을 지켜내기 위해 필사적으로 싸운 것입니다. 워낙 저항이 거세자 윤관은 척준경을 파견했고,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척준경이 석성 위로 올라가 여진족 추장 몇을 베어내자 고려군의 사기가 올라 결국 석성은 함락되고 맙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하지만 전투에 패한 여진족들은 고려군에게 항복하는 대신, 바위에 몸을 던져서 자살해버렸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그리고 여진족 장병들의 남은 가족들 모두 고려군에게 전부 학살 당했습니다.(동사강목의 기록)</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어째서 석성의 여진족들은 항복을 하지 않고 싸움을 택했을까. 그들이 무슨 전투광이라서 그런게 아닙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북벌을 시작하기 전, 고려는 이런저런 문제로 자신들이 억류하고 있던 여진족들을 풀어줄테니,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여진족 추장들이 와서 명령을 받들라는 식으로 그들을 소집했습니다. 여진족들은 좀 의아해하면서도 잡혀있던 동지들을 풀어준다고 하니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그 명령에 따랐고, 추장들의 숫자만 400명에 그들을 수행하는 인원들까지 합쳐서 수많은 사람들이 찾아왔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그런데 고려는 이들을 환대하는 척 하며 연회를 베풀더니, 이내 병사를 동원해 그들 모두를 학살해버렸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그나마 분위기가 이상해서 국경 밖에서 대기하고 있던 수십명 까지 척준경 등을 보내 일부러 추격해서 모조리 죽여버리고 맙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고려 입장에서는 북벌 정책을 시행하기에 앞서 적들의 우두머리들을 죽여 작전을 쉽게 하겠다는 심산이었을테지만,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여진족의 입장에선 피눈물이 나고 이를 갈아도 시원찮을 일이었기에 고려군에 대한 증오심이 하늘을 찔렀고,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무엇보다 항복한다고 해도 약속을 지킨다는 보장이 전혀 없었기에 항복하는 대신 차라리 죽을때까지 싸우는 편을 택한 것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div>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5/149493155805fbb169594a42949a1a4538f1884116__mn575898__w1024__h1338__f509198__Ym201705.png" width="800" height="1045" alt="2.pn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 filesize="509198"></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당시 고려가 공략해서 장악한 여진족들의 지역을 갈라전(曷懶甸)이라고 합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그 갈라전보다 북방에는 당시 대단히 강성했던 여진족 부족인 완안부(完顔部)가 있었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완안부의 족장 오아속(烏雅束)은 사냥을 하고 있다가 17만 대군의 북상과 동북 9성의 축성 이야기를 듣자 깜짝 놀라 회의를 소집했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다만 회의를 한다고 해도 뾰족한 대책은 없었습니다. 고려군의 대군과 정면으로 붙을 자신도 없는데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설사 자신들이 항전한다고 해도 다른 부족들이 협력을 해줄지도 미지수였으며,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무엇보다 이 틈을 타 요나라가 고려를 돕는답시고 뒤를 치면 그야말로 끝장난 셈이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그런데 이 회의에서 딱 한 사람, 오아속의 동생이었던 아골타(阿骨打)가 맞서 싸울 것을 주장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br></b></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지금 가만히 있는다면 어찌 갈라전만 잃겠습니까? 모든 부족이 우리의 곁을 다 떠날 겁니다!"</b></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동북 9성이 계속 유지된다면 완완부에 복속되어 있는 다른 여진 부족들이 모두 떠날 테고, 그러면 완완부도 끝장인 셈입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그런 점을 역설하자 오아속도 마음이 동해 군대를 파견해 끝까지 저항하기로 결정했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마침 고려군의 여타 만행으로 갈라전의 소규모 부족들은 고려에 협력하는 대신, 죽을 각오로 저항하려는 기세라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이후 벌어진 숱한 중간 부분의 사투에 대해서는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다만 동북 9성을 지키는 고려군은 처음부터 큰 문제가 있었는데, 고려사에서는 이 문제에 대해 이렇게 언급하고 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br></b></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br></b></div> <div style="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center;"><b><br></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처음에 조정에서는 병목<span class="bd" style="background:#fff5f5;color:#be2e2f;">[甁項]</span> 지역을 취해 그 길을 막으면 오랑캐에 대한 근심이 영원히 사라질 것이라고들 말했는데, </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막상 공격하여 빼앗고 보니 수륙으로 도로가 통하지 않는 곳이 없어 전에 들은 것과는 전혀 달랐다.</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br></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근거지를 잃게 된 여진은 보복을 다짐하는 한편, 땅을 돌려달라고 떼를 쓰면서 추장들이 해마다 와서 분쟁을 벌였다. </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온갖 속임수를 쓰고 갖은 무기를 동원해 공격해 왔는데, 성이 험하고 견고해 좀처럼 함락되지는 않았지만 </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수비하는 전투에서 아군이 많이 희생되었다.</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br></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게다가 개척한 땅이 너무 넓고 9성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며 계곡과 골짜기가 험하고 깊어서, </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적들이 자주 복병을 두어 왕래하는 사람들을 노략질하였다.<br></b></div></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br></b></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 고려사 윤관 열전.</b></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즉 당초 본래의 계획대로라면, 고려는 중요한 길목 한 두 곳을 막아 성을 축조하면 여진족이 얼마나 몰려오건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타워 디펜스 게임을 하듯 막을 수 있을줄 알았습니다. <b>그런데 사전에 파악한 지리 정보가 모조리 엉터리였고</b>,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막상 성을 짓고 보니 <b>사방 팔방으로 뚫리지 않은 곳이 없어</b> 삼국지 게임으로 치면 수춘 블러드를 하는 상황이 된 셈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더구나 <b>당시 고려군이 커버할 수 있는 능력에 비해 무턱태고 개척한 땅이 너무나 넒고, 자연히 동북 9성들 역시 거리가 너무 멀어져</b>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근처의 성들이 <b>상호간에 보완을 해주기는 커녕 각지에서 나홀로 수춘 블러드를 찍는 셈이 된겁니다</b>.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어쩌다가 이 성에서 다른 성으로 사람을 보내려고 하면 길이 너무 멀어 여진족 복병이 중간에서 전부 차단해버렸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더구나 하루 아침에 집을 잃고 살던 땅을 잃게 된 여진족들의 저항 의지는 상상을 초월했으니... 그 전투는 그야말로 끝이 없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이 과정에서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척준경의 활약이라던지 그런것도 있었지만,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단기전으로 끝날 줄 알았던 전투는 무려 1년이 넘어가고 있었습니다. 이렇게 시간이 가면 불리한건 대군을 동원한 원정군 입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당시 고려에서는 물자 공출에 지친 수공업자들이 도주하는가 하면, 서경에서는 식량 부족 현상이 일어나고 있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고려군이 힘든 만큼 여진족도 힘들었습니다. 당시 여진족은 모든 부족을 총동원해서 10군으로 나누고,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각 군을 끊임없이 축차 투입하는 방식으로 전투를 치루고 있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br></b></div> <div style="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center;"><b>금사 알새 열전中</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斡賽將內外兵,劾古活你茁、蒲察狄古乃佐之。</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高麗兵數萬來拒,斡賽分兵為十隊,更出迭人,遂大破之。</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알새가 내외의 병력을 이끄는 장수가 되었고, 핵고활니줄과 포찰적고내로 보좌케 하였다.</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고려의 병력 수만이 방어하여 오니, </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알새가 병력을 10대(隊)로 나누어 번갈아 가며 출병하게 하였고 마침내 고려군을 대파하였다.</b></div></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전부족이 전투를 치루거나 준전시상태로 대기하는 판이었고, 농사를 제대로 짓지 못하자 자연히 흉년이 찾아오게 됩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사람들이 굶주리고 도적들이 발생하는 등 여진족도 몹시 힘겨웠으나, 어쨌거나 살기 위해 싸우는 것이니만큼 필사적이었습니다.</div> <div><br></div></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5/1494931560ab1e761a172f4788924d12ee558f7288__mn575898__w874__h659__f29703__Ym201705.png" width="800" height="603" alt="3.pn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 filesize="29703"></div> <div style="text-align:center;">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최후의 전장, 길주</b></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그렇게 계속해서 이어지던 전쟁은 전쟁 말기에 이르러 동북 9성 중 길주성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흐름이 됩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여진족은 길주 방면에 수만이나 되는 여진족을 개미때처럼 집결시켰고, 어떻게든 동북 9성을 유지하려는 고려군도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필사적으로 여기서 적을 막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수만의 여진군은 길주성에 쉬지 않고 공격을 퍼부었고 풍전등화의 길주성은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단지 성을 지키던 이관진(李冠珍)의 결사항전 속에서 간신히 몇달을 버티던 형국이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이때 동북 9성 개척 정책의 핵심 인물 중 한 사람인 오연총은 개경에 있었는데,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이 소식을 듣자 분기탱천해서 자신이 나서 구원하겠다고 하여 왕명을 받고 병력을 소집해서 북방으로 나섰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오연총이 이끌던 대군은 곧 공험진(公嶮鎭)이라는 곳에 도달했습니다. 이 공험진이 어디인지는 확실치가 않은데,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이 장소가 정확히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동북 9성의 위치를 비정할 수 있는 중요한 곳이기도 합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이 공험진이 길주 너머에 있다고 치면 여진군이 잠시 후퇴(하는척) 하며 물러나는걸 오연총이 추격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하여간, 고려사에서는 공험진이라고 불리우는 장소, 여진족의 금사에서는 목리문전(木里門甸)이라고 불리우는 장소에서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고려군과 여진군의 대군은 일대 회전을 벌이게 됩니다. 고려사의 기록에 따르면 이 전투는 여진군의 기습이었다고 합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앞서 말한 가설대로 물러나던 여진족을 오연총이 추격한 것이라면, 갑자기 적이 반격하자 예상치 못했다고 볼 수도 있겠네요.</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한국사에 보기 드문, 수만 대군의 일대 회전은 꽤 오랜 시간 동안 이어졌습니다. 그런데 곧 그런 교착 상태도 끝나고 맙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바로 여진족의 비밀병기가 전장에 투입된 것입니다.</div></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5/149493156100682bd2298f4bf9b209669d9f375d17__mn575898__w237__h200__f15859__Ym201705.png" width="237" height="200" alt="4.png" style="border:none;" filesize="15859"></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당시 여진군에는 사묘아리(斜卯阿里)라는 장수가 있었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사묘아리는 대 고려전은 물론이고 이후에 요나라와의 송나라와의 전쟁에서도 모두 맹활약한 금나라 초기 최고의 맹장이기도 한 장수였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그 사묘아리가 창을 들고 혼란한 전투 중에 적 장군 중에 한 사람을 발견하여 달려들어 찔러 죽이자 전세가 갑자기 확 바뀌게 되었고,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고려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으며 퇴각하게 됩니다. 그렇게 고려군이 물러난 틈을 타, 사묘아리는 자신의 아버지 혼탄(渾坦)과 더불어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멀리 떨어져 있던 석적환(石適歡)과 함께 군사를 합세시켜 굉장한 전력을 갖추게 되었고,<b> </b></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제차 공격을 해서 결국 동북 9성 중 2개의 성을 함락시켰습니다. </b>마침내 9성 방위 시스템이 무너지기 시작한 것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여기서부터는 고려사엔 두리뭉술하게 되어있고 금사에 자세히 나와있는 내용)</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한번 대패한 고려군의 오연총은 이렇게 물러가기엔 억울하다고 생각했는지,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병력을 재집결시켜 빼앗긴 2성을 되찾기 위한 전투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이미 사묘아리의 군대가 좋은 위치를 장악해서 수비하고 있자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별다른 공략 방법도 찾지 못해 결국 어쩔 수 없이 퇴각했고, 적이 등 뒤 를 보인 순간을 사묘아리는 놓치지 않았습니다.</div> <div><br></div></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5/1494931567cbcb2f66984f458c844e9246d741f315__mn575898__w765__h512__f134590__Ym201705.png" width="765" height="512" alt="5.png" style="border:none;" filesize="134590"></div>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5/14949315673ecfc771ed4643adb80603650e0a1f86__mn575898__w379__h406__f25545__Ym201705.png" width="379" height="406" alt="6.png" style="border:none;" filesize="25545"></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고려군이 문자 그대로 때죽음을 당한 성천강</b></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물러나던 고려군은 얼어붙은 갈라수(曷懶水), 즉 지금의 성천강을 건너가고 있었는데,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고려군의 뒤를 쫒던 사묘아리는 바로 여기서 적을 급습하게 됩니다. 고려군은 놀라서 정신없이 도주했고,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이미 전열이 붕괴던 적을 여진군은 마음껏 유린하며 대파했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너무나 막대한 타격을 입은 오연총은 조정에 스스로의 실책을 고백하는 장계를 올린 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윤관과 함께 다시 북상하려 했으나 마침 화친 분위기가 조성되는 한편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조정에서 패전의 책임을 묻기 시작하자 다시 돌아와서 전투가 끝이 나게 됩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div> <div style="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center;">고려(高麗)가 갈라전(曷懶甸)에 9성(城)을 축성(築城)하자, 혼탄(渾坦)이 공격(攻擊)하였는데,</div> <div style="text-align:center;">목리문전(木里門甸)에서 적(敵)과 만나, 오랫동안 역전(力戰/힘껏 싸움)하였고,</div> <div style="text-align:center;">사묘아리(斜卯阿里)가 정창(挺槍/창을 겨누어 듦)하여 (고려의) 진중(陣中)에서 그 장수를 치자(馳刺/질주하여 찌름)하자, </div> <div style="text-align:center;">적(敵)이 드디어 궤멸(潰滅)하였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혼탄(渾坦)과 더불어 석적환(石適歡)이 도문수(徒門水)에서 합병(合兵/병을 합침)하였는데, </div> <div style="text-align:center;">사묘아리(斜卯阿里)가 주장(主將)이 되어 적병(敵兵)을 깨트리고, (고려의) 그 2성을 취(取)하였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고려(高麗)가 입구(入寇/적이 쳐들어옴)하자, </div> <div style="text-align:center;">아병(我兵/아군)으로써 요해(要害/요새, 방어가 쉽고 공격은 어려운 곳)에 둔수(屯守/주둔하여 수비함)하니, </div> <div style="text-align:center;">(고려가 더 이상) 나아갈 수 없었고, 곧 돌아갔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사묘아리(斜卯阿里)가 갈라수(曷懶水)까지 추급(追及/뒤쫓아 따라붙음)하였는데,</div> <div style="text-align:center;">고려인(高麗人)이 빙상(冰上/얼음 위)을 쟁주((爭走/다투어 도주함)하였고,</div> <div style="text-align:center;">사묘아리(斜卯阿里)가 승지(乘之/기세를 탐)하여, (고려군을) 살략(殺略/죽이고 약탈함)하여 기진(幾盡/거의 없어짐)케 하고는,</div> <div style="text-align:center;">드디어 석적환(石適歡)과 합병(合兵)하였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b>길에서 적병(敵兵) 5만(萬)과 조우(遭遇)하여, (사묘아리가) 격주(擊走/공격하여 나아감)하였다.</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또 석적환(石適歡)과 함께 적(敵) 7만(萬)을 조우(遭遇)하자, 사묘아리(斜卯阿里)가 선등(先登/선봉으로 공격함)하여, </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분격(奮擊/분발하여 공격함)하여 (고려군을) 크게 깨트렸다.</b></div> <div style="text-align:center;">석적환(石適歡)이 말하길</div> <div style="text-align:center;">「네가 하루 동안에 중적(重敵/강한 적)을 세 번 격파(擊破)하였으니, 공(功)을 어찌 가(可)히 잊겠는가.」</div> <div style="text-align:center;">이에 후사(厚賜/후하게 하사함)하였다.</div></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금사 사묘아리 전</b></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금사 사묘아리 전의 기록에 따르면 당시 고려군의 병력은<b> 무려 5만 ~ 7만</b>. 엄청난 숫자의 병력이 일대 회전에서 대패하고,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도주하는 과정에 추격전을 겪으며 궤멸당한 것입니다. 이 정도의 패배는 한국사 전체를 통틀어도 찾기 힘들 정도로 큰 패배인데,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임진왜란이나 병자호란 시기에도 이 정도 규모의 패배는 거의 없었고,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피해가 심각했던 몽골의 침입이나 왜구의 침입 당시에도 하나하나의 교전은 규모가 크진 않았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고려사 전체를 통틀어서도 이에 견줄만한 패배는 2차 여요전쟁에서 강조가 주력군 30만을 모조리 잃어버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고려가 거란군에 쑥대밭이 되고 현종이 도주한 사례 정도고, 그보다 앞선 시기를 찾는다면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후삼국 시기를 제외하면 거의 고구려 말기 주필산 전투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할 정도입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center;">여진이 다시 원근의 부족들을 모아 길주(吉州 : 지금의 함경북도 길주군)를 여러 달째 포위하고서 </div> <div style="text-align:center;">성에서 10리 떨어진 곳에 작은 성을 쌓아 여섯 개의 목책을 세우고 맹렬히 공격해오는 바람에 성이 거의 함락되려 하였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병마부사(兵馬副使) 이관진(李冠珍) 등이 군사를 독려하여 하룻밤 사이에 다시 여러 겹의 성을 쌓고 수비와 전투에 임했으나 </div> <div style="text-align:center;">싸움이 오래 계속되고 형세가 궁해져 많은 사상자가 났다. 오연총이 그 소식을 듣고 분연히 출정하려고 하자 왕은 다시 지휘권을 부여해 파견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b>도중 공험진(公嶮鎭)에 당도했을 때 적이 길을 막고 기습하는 통에 아군이 대패해 </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장졸들이 무기를 버리고 여러 성으로 흩어져 들어가니, 성이 함락될 때 수없이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오연총이 자책하는 장계를 올린 뒤, 윤관과 함께 군사를 거느리고 다시 길주로 진군하려 하는 차에 </div> <div style="text-align:center;">마침 적이 사자를 보내어 화친을 요청해 왔기 때문에 결국 귀환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b>재상들이 패전에 대해 문책해야 한다고 건의하자 왕은 사자를 보내 부월을 거두어들였고 오연총은 복명하지 못한 채 집으로 돌아갔다. </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재상과 대간들이 문책할 것을 끊임없이 요구하자 왕은 그의 관직을 박탈하고 공신의 칭호를 삭제하였다가 </b></div> <div style="text-align:center;">얼마 뒤에 수사공(守司空)·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로 다시 임명하였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b><br></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고려사 오연총 열전</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b>여진이 길주(吉州)를 포위했는데 오연총이 그들과 싸우다가 크게 패배하자....</b>(중략)</div> <div style="text-align:center;">평장사(平章事) 최홍사(崔弘嗣)·김경용(金景庸)과 참지정사(叅知政事) 임의(任懿) 및 추밀원사(樞密院使) 이위(李瑋)가 </div> <div style="text-align:center;">선정전(宣政殿)에서 왕과 면대하고<b> 윤관과 오연총이 패전한 죄를 물어야 한다고 강경히 주장하자</b>, </div> <div style="text-align:center;">왕은 승선(承宣) 심후(沈侯)를 보내 <b>두 사람이 귀환하는 도중에 지휘권을 박탈했으므로, 윤관 등은 복명하지도 못하고 집으로 돌아갔다. </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재상과 대간이 그들을 치죄하라고 건의</b>했으며, 간관인 김연(金緣)·이재(李載) 등은 대궐문 밖에 엎드려,</div> <div style="text-align:center;"><b><br></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윤관 등이 제멋대로 명분 없는 전쟁을 일으켜 패전하고 나라에 피해를 입혔으니 그 죄는 용서할 수 없습니다. </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그들을 하옥시키소서.”라고 강경하게 간쟁했다.</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왕이 심후를 시켜, “두 원수는 명을 받들어 출정한 것 뿐이며, 예로부터 전투에는 승패가 있게 마련이니 어찌 죄가 되겠는가?”라고 </div> <div style="text-align:center;">설득하게 했다. 그러나 김연 등이 계속 간쟁하는 바람에,<b> 왕이 어쩔 수 없이 그를 관직에서 물러나게 하고</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br></b></div> <div style="text-align:center;"><b>- 고려사 윤관 열전</b></div></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동북 9성을 다룬 전투는 고려와 여진족 모두 자기들이 이긴건 엄청나게 전공을 과장하고 패배한건 축소하는 경향이 있어서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서로간의 전투 기록이 잘 교차되지 않는데, 이 공험진-갈라수 전투의 패배만큼은 금사에서도 확인되고 고려사에서도 확인이 됩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고려사에서는 금사만큼 전투를 자세히 묘사하지 않고, 전투에 나선 병력 숫자도 언급되지 않으며,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금사에 나와 있는 2차 전투(공험진에서의 패배 이후 다시 재공격을 하려 했다던가)가 생략되어 있긴 하지만<b> </b></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뭔가 엄청난 패배를 당했다."</b> 는 건 분명하게 언급하고 있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되려 경우에 따라서는 금사의 기록보다 더 적나라한 기록도 있는데,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대패한 병사들이 가지고 있는 무기와 갑옷까지 모조리 벌이고 달아났다는 언급도 있습니다.</b>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아무튼 이 패배 이후 조정에서는 윤관과 오연총을 탓하는 여론이 가득하게 됩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사람들이 종종 오해하기도 하는데, 당시 고려 조정의 이른바 '배알없는 사대주의자' 들이 윤관과 오연총의 하늘같은 공적을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일부러 비방하여 동북 9성을 반환하게 하고 전쟁을 멈추게 한 것이 아닙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오히려 조정에서는 당초에만 해도 동북 9성을 다룬 전투에 대해 우호적인 여론이 많았고(다른것도 아닌 선왕인 숙종의 의지였으니),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전쟁이 길어지며 피폐함이 극심해지는 와중에서도 적어도 "일단 힘들긴 해도 얻은 땅은 지켜야 하지 않겠느냐." 정도로,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비판 여론이 대세가 되지는 않았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그런데 여기까지 이르러 상황이 이렇게 되자, 완전히 여론이 윤관과 오연총을 탄핵하는 의견으로 가득 차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이 두 사람은 장수의 부월을 뺏기고, 돌아온 뒤에 왕을 만나 복명도 하지 못하고 바로 집으로 가야 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도 탄핵을 당합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왠만큼의 패전이 아닌 이상 이렇게까지 탄핵 될 수는 없으니, 이것도 고려군이 전투에서 매우 큰 패배를 당했다는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어찌되었건 전투가 끝나고 윤관과 오연총이 죽일 놈이 된 후, 조정에서는 완전히 계륵이 되어버린 동북 9성을 놓고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었습니다. 기껏 얻은 땅을 그냥 버리기도 그렇고,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그렇다고 유지하려고 해도 유지할 능력이 없다는게 판명된 셈이니 말입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그런데 때마침 여진족 쪽에서 적당히 숙여주고 공경한 태도로 고려를 섬기겠다는 의사 표시를 보였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여진족에서 그렇지 않더라도 손을 댈 수 없는 상황이었으니, 고려는 마침 잘됬다는 심산으로 "그들의 태도에 몹시 갸륵하여 상을 주겠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는 식으로 동북 9성을 모두 여진족에게 반환 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이렇게 모든 상황이 정리되었습니다. 고려의 입장에서 보면, 비록 잠시 고개를 숙인 완안부에게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그들이 금나라로 성장하기전까지) 조공을 받고 상국 취급을 받았으니 명분은 취했지만,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실리적으로 보자면 17만이나 되는 대군을 북방에 투입하고, 또 그 병력을 유지하기 위해 엄청난 물자를 소모하고도 얻어낸 것이 없었던데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농사도 망치고 민심도 흉흉해졌으니 그야말로 완벽한 실패 그 자체였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굳이 위안을 삼자면, 훗날 엄청난 대국으로 성장한 금나라에게 빠르게 군사력 투시도 하고 최후엔 외교적으로 일을 마무리 지으면서,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혹시나 있었을지도 모를 금나라와의 분쟁요소에 있어 미리 한번 힘을 보여주어 그런걸 막게한 예방전쟁이었다... 식으로 생각할 수 있을지는 모릅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이 공험진 - 갈라수 전투는 무력으로 동북 9성을 유지하는 정책의 완벽한 실패를 의미하는 큰 역사적 의의를 부여할 수 있는 전투일텐데,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자세한 전황은 금사에 나와 있고 고려사에서는 "뭔가 지긴 졌는데." 식으로 애매하게 서술되어 있는 탓에 거의 조명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 때문에 동북 9성을 다루는 매체의 대부분의 서술도 한번의 큰 전투 이후 완전히 유지 능력이 무너졌다기 보다는,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동북 9성을 설치했으나 여진족들의 저항이 거세서 분쟁을 겪게 되자 고려는 이를 돌려주게 된다." 로 좀 두리뭉술하게 언급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잘 모르고 보면 정말 사력을 다해 유지하려 했으면 힘들긴 해도 충분히 지킬 수 있었는데 뭣 모르는 놈들이 반대해서 유지를 못했다는 식으로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보일 공산도 있어서... 실제로는 수만 대군이 대패한 상황이니 의지를 떠나 유지할 방법이 더 없었던 상황이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여진족의 입장에서보자면, 뒷날의 우리 입장에서는 입을 쩝쩝 다시면서 "아쉬운 일이었다!" 라고 할 수 있을진 모르겠지만,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당장 거기서 살고 있던 여진족 입장에서는 "어느날 갑자기 나타나 내 집과 내 터전을 빼앗아간 침략자" 를 상대로, 포기하지 않고 맞서 싸워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불굴의 의지로 항전한 끝에 마침내 승리를 거둔 일이었다, 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관점을 바꿔서 본다 치면....</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이 전쟁은 여진족들에게 있어서 또다른 의미가 있었는데, 그전까지 흩어져 있던 여진족들이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이때 한번 서로 뭉치게 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는 점입니다. 이후 요나라와의 전쟁이 벌어지자 당초에 완안부를 제외한 여진족들은 </div> <div style="text-align:center;font-family:verdana, '굴림', gulim, '돋움', dotum, sans-serif;">"설마 거란을 이길 수 있을까." 하고 관망하고 있었지만 아골타가 한번 승리를 거두자 이후에는 구름처럼 몰려들어 여진족의 규합이 이루어집니다.</div></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div> <div style="text-align:center;"><br></div> <div style="text-align:center;">출처: Pgr21 신불해님의 글.</div> <div style="text-align:center;"><a target="_blank" href="http://pgr21.com/pb/pb.php?id=freedom&no=70303#2839462" target="_blank">http://pgr21.com/pb/pb.php?id=freedom&no=70303#2839462</a></div>
    출처 http://pgr21.com/pb/pb.php?id=freedom&no=70303#2839462
    토츠카의 꼬릿말입니다
    <img src="http://i.imgur.com/ZkA89D9.png" alt="ZkA89D9.png">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7/05/16 20:03:58  141.101.***.205  미삐  544081
    [2] 2017/05/16 22:43:20  124.56.***.120  brianjung  694018
    [3] 2017/05/17 00:55:58  210.3.***.114  박영선OUT!  710024
    [4] 2017/05/17 00:56:46  119.70.***.40  모모링♡  178956
    [5] 2017/05/17 12:19:47  222.236.***.117  첫번째불꽃  188369
    [6] 2017/05/17 17:32:36  211.54.***.152  이스투아르  493912
    [7] 2017/05/18 02:26:11  211.246.***.27  주네브  525008
    [8] 2017/05/18 08:39:08  210.183.***.227  세정이  184900
    [9] 2017/05/18 12:57:21  59.27.***.26  전래동화  712230
    [10] 2017/05/18 16:34:02  220.90.***.55  떡밥  575457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현재 게시판의 베스트게시물입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51815
    ‘식민사학자’ 공격받는 김현구 교수 “임나일본부 인정한 적 없어” [8] Peuple 17/06/11 14:39 1939 35
    1451231
    도종환 후보자가 유사역사학 의혹에 대해 해명했습니다. [7] 카요 17/06/10 08:25 2905 36
    1450678
    한국식 여성 미화 [44] RedPain 17/06/09 08:18 7096 83
    1450580
    크으.. 과연 오늘 재야사학의 놀라움을 직접 목도하였습니다. [19] 창작글 오늘의유령 17/06/09 00:48 2944 49
    1450205
    매국노 미화하다 욕만 먹은 영화 [46] RedPain 17/06/08 13:20 7390 100
    1450107
    북한산 사기막 야영장 예정지 인근서 고구려 시대 추정 유물 발견 [12] 문열고본국정원 17/06/08 09:00 3999 57
    1449726
    오유하다 충격 먹은 댓글. 역사를 학문으로 봐야 하는 이유. [62] 푸쉬킨 17/06/07 13:44 3729 57
    1449696
    재야사학은 503호 탄핵을 반대했습니다. [3] brianjung 17/06/07 12:48 4010 38
    1449582
    도종환 후보자님 ‘위대한 상고사’는 안됩니다 [10] 카요 17/06/07 09:05 2911 33
    1448961
    역사논쟁 간단 상식 "뉴라이트는 식민사학이 아닙니다." [32] 푸쉬킨 17/06/06 01:05 3039 51
    1448817
    일본이 생각하는 한국이 일본을 싫어하는 이유 [94] RedPain 17/06/05 19:27 7388 106
    1448547
    이집트에 대해 잘 모르는 사실들 [71] RedPain 17/06/05 09:07 9026 90
    1448483
    젊은 사학자들 뿔났다 "낙랑군 평양설을 식민사학 매도" [25] 카요 17/06/05 02:06 3944 51
    1448352
    "부러진 뼈는 신경쓰지 않고 성병검진만 했다" [10] 라이온맨킹 17/06/04 22:01 7855 60
    1448155
    "도종환 후보자 '유사 역사론자' 논란···검증해야"  [32] 카요 17/06/04 13:40 4825 28
    1447968
    문대통령 "가야사 연구하라..영호남 벽 허물자" [33] 좋은연인 17/06/04 00:48 3929 54
    1447863
    수만~수십만 대군, 황해 횡단 가능했나? 가능한것 같은데요?? [5] 고려 17/06/03 20:34 5282 33
    1447859
    “4번째 고구려 금동불입상 발견” [8] 좋은연인 17/06/03 20:29 4995 51
    1446843
    하버드의 한국 고대사 교수가 중국 고대사로 전공을 바꾼 사연 [31] 카요 17/06/01 22:16 6222 74
    1446787
    조선의 귀신 폭탄 [25] RedPain 17/06/01 20:23 4714 81
    1446393
    중국군이 단 한명도 살아돌아가지 못한 전투 [23] VistaPro 17/06/01 09:26 7462 53
    1445001
    이순신 장군 7대손 초상화.jpg [19] 좋은연인 17/05/29 21:26 11264 53
    1444132
    1953년 대한민국의 모습 [38] 좋은연인 17/05/28 11:52 5556 51
    1443144
    존경하시는 대통령 각하 옥체 안녕하시옵니까? [14] RedPain 17/05/26 14:36 4031 56
    1439056
    동이(東夷)에 관하여 [11] 펌글 토츠카 17/05/19 20:47 3150 22
    조명되지 않는 한국사 역사상 역대급 패전, 공험진 - 갈라수 전투 [9] 펌글 토츠카 17/05/18 16:34 5188 40
    1437185
    기원전 200년에 만들어진 나스카 도자기.jpg [32] 좋은연인 17/05/17 11:51 6611 50
    1437048
    전주대 한국고전학연구소, ‘쇄미록’ 번역사업 선정 [4] 좋은연인 17/05/17 07:08 2174 31
    1436418
    한반도 역사상 최고의 군주 [52] 펌글 동물의피 17/05/16 11:23 8672 93
    [1] [2] [3] [4] [5] [6] [7] [8] [9] [1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