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humorbest_1328557
    작성자 : 조용한시민
    추천 : 29
    조회수 : 9605
    IP : 121.191.***.80
    댓글 : 18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6/10/30 18:43:10
    원글작성시간 : 2016/10/28 23:19:05
    http://todayhumor.com/?humorbest_1328557 모바일
    2명 중 1명 '세금' 안낸다…'연봉 3000만~5000만원' 직장인 내
    <div><strong>정부, 정치권 ‘소득세 인상’ 필요성은 인정</strong></div> <div></div> <div><strong>중간 계층 면세자 비율 급증 해결 과제</strong></div> <div></div> <div></div> <div></div> <div>정치권에서 내년 세금 제도 결정을 앞두고 ‘소득세’를 인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소득세는 개인이 번 돈에 부과되는 ‘세금’이다. 직장인들은 매달 월급에서 세금을 원천 징수하고 남은 돈을 받는데, 이 때 원천 징수 되는 세금 중 하나가 소득세다.</div> <div></div> <div></div> <div></div> <div>소득세를 인상해야 한다는 주장의 근거는 두 가지다. 올해와 내년 세수 증대가 예상되지만, 장기적인 적자 재정을 메꾸기 위해서는 국내총생산(<span class="word_dic en">GDP</span>) 대비 비중이 <span class="word_dic en">OECD</span>(경제개발협력기구) 평균 보다 낮은 소득세는 인상할 수 있다는 논리다. 두 번째는 2명 중 1명은 세금을 내지 않는 ‘이상한 과세 구조’를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다.</div> <div></div> <div></div> <div></div> <div>소득세 인상에 거론되는 대상은 연 소득 3억원 이상의 고소득자와 연 소득이 3000만원~5000만원 정도 되는 중간 계층이다. 세율을 올리거나 세금을 내지 않았던 면세(免稅) 비율을 조정하는 방법을 통해서다. 하지만 소득세 인상은 전체 근로자를 상대로 하는 증세(增稅)이기 때문에 조세 저항이 만만치 않다. 지난 2015년 연말 정산 때 ‘세금 폭탄’ 논란이 일며 여론이 들끓었던 것도 소득세 인상 때문이었다. 정치권과 민간 전문가들은 소득세 개편의 필요성에 공감대를 나타내고 있으면서도 쉽사리 방향을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div> <div></div> <div></div> <div></div> <div><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 alt=""><em class="img_desc">사진=조선일보<span class="word_dic en">DB</span></em></span></div> <div><strong>◆ 인상 여력 충분, 면세자 비율도 50%</strong></div> <div></div> <div></div> <div></div> <div>소득세 인상 주장에는 현재 증세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포함돼 있다. 올해와 내년은 과거와 달리 세수 여건이 좋은 편이다. 국회 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올해 1~8월 국세수입은 전년 같은 시기에 비해 20조8000억원이나 더 걷혔다. 올해 8월 이후도 세수가 많이 걷혀 정치권에서는 내년 예산안에서 추가경정예산 편성 분을 빼고도 초과 증액할 수 있는 규모가 3조~7조원까지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div> <div></div> <div></div> <div></div> <div>하지만 일부 정치인들과 전문가들은 올해와 내년 세수 증대는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보고 있다. 자산시장 효과와 국세청의 ‘쥐어짜기 세무조사’ 등을 통해 올해와 내년 세수 증대가 발생할 예정이지만, 장기적으로는 과거 세수 부족을 막기 위해 연 평균 30조원씩 적자 재정을 낸 것을 세수로 메꿔나가며 균형 재정을 이루기 어렵다는 판단이다. 고령화 사회로 늘어날 수 밖에 없는 복지 지출 증가도 증세의 필요성을 가져오고 있다.</div> <div></div> <div></div> <div></div> <div>현재 시점에서 증세를 추진할 수 있는 항목은 법인세, 소득세, 부가가치세다. 정치인들과 전문가들은 그 중 인상 여력이 있다고 판단되는 소득세를 주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 <span class="word_dic en">GDP</span> 대비 소득세 비중은 3.7%(2013년 기준)로 <span class="word_dic en">OECD</span> 평균 8.5%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소득세를 좀 더 걷을만한 여력이 있다는 것이다.</div> <div></div> <div></div> <div></div> <div>특히 소득세 인상이 주목 받는 것은 높은 면세자 비율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2명 중 1명은 소득세를 안내고 있다. 내 옆에 있는 친구 중 한 명은 세금을 안내고 있다는 뜻이다. 모든 국민이 세금을 내야 한다는 ‘국민개세주의(國民皆稅主義)’와 조세 형평성에 맞지 않는 현상이다. 외국과 비교해서도 우리나라의 소득세 면세자 비율은 굉장히 높다. 일본의 근로소득 총 신고자 대비 면세자 비율은 지난 2013년 기준 16.1%이며, 미국도 지난 2013년 기준 35.8%다.</div> <div></div> <div></div> <div></div> <div>그렇다면 왜 우리나라는 2명 중 1명은 소득세를 안낼까. 실제 번 소득에서 일정 금액을 세금에서 제외해주는 공제 규모가 다른 나라 보다 큰 것이 원인이다. 공제 규모가 크다보니 공제 제도를 어떻게 바꾸느냐에 따라 면세자 비율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이다.</div> <div></div> <div></div> <div></div> <div><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 alt=""><em class="img_desc">소득세 계산 구조/출처=국세청</em></span></div> <div>소득세 면세자 비율은 지난 2005년 48.9%에서 지난 2010년 39.2%, 지난 2013년 32.4%까지 점차 감소하다가 지난 2014년 48.1%로 훌쩍 증가했다. 면세자가 지난 2014년 갑자기 증가한 이유는 공제 제도가 급격히 변경됐기 때문이다.</div> <div></div> <div></div> <div></div> <div>지난 2013년 정부는 자녀 관련 소득공제 및 특별소득 공제를 세액공제로 전환하고, 근로소득공제를 축소했다. 소득세의 세금 결정은 6단계를 거친다. 내가 번 소득에서 1차로 소득 공제를 받아 일정 금액을 제외한다. 그렇게 나온 금액을 과세 표준으로 정한 후 6~38% 세율을 적용 받는다. 이후 세액공제로 개인의 환경에 따라 일정 부분 금액이 또 제외된다. 여기에 가산세와 기납부세액이 반영되면 최종 내가 내야 할 세금이 결정되는 것이다.</div> <div></div> <div></div> <div></div> <div>지난 2013년 정부의 정책은 일정 공제 항목이 소득공제에서 나중에 빼주는 세액공제로 전환되고, 일부 공제 항목이 줄어들었다고 볼 수 있다. 쉽게 말해 공제 항목이 변경되면서 일부 계층에는 세금 부담이 늘어난 것이다. 그러자 갑자기 연말정산 파동이 일어났다. 지난 2015년 1월 2014년 소득에 대해 연말 정산을 계산 하던 직장인들이 갑자기 ‘세금 폭탄’을 받았다며 아우성을 했다.</div> <div></div> <div></div> <div></div> <div>거센 여론의 항의에 놀란 정부와 정치권은 곧바로 다시 공제 항목을 조정했다. 화난 납세자들을 달래기 위해 공제액을 늘려주기 시작했다. 연 소득 5500만원 이하 근로소득자나 종합소득금액이 4000만원 이하인 사람에 대한 세액공제율을 기존 12%에서 15%로 상향 조정하고, 연 소득 4300만원 이하의 납세자의 공제한도를 최대 8만원 인상하며 연 소득 5500만~7000만원 사이의 납세자의 공제한도도 최대 3만원 인상했다. 근로소득 세액공제 적용시 55%의 공제율이 적용되는 구간도 산출세액 기준 50만원 이하에서 130만원 이하로 늘렸으며, 자녀세액공제도 확대한 후 출산·입양세액 공제도 신설했다.</div> <div></div> <div></div> <div></div> <div>그 결과는 국민 절반의 면세자 탄생으로 이어졌다. 여론에 놀란 정부와 정치권이 공제액을 급격하게 조정하면서 현재의 48.1%의 면세자 비율이 발생한 것이다. 근로자들이 공제를 너무 많이 받아 세금을 안내기 시작해다고 보면 된다.</div> <div></div> <div></div> <div></div> <div>더 큰 문제는 세금을 낼 여력이 있는 중간 계층 이상의 소득자도 ‘면세’ 혜택을 받게 됐다는 점이다. 국회예산정책처의 올해 9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4년의 전년 대비 면세자 비율은 연간 소득 8000만원 이하 모든 소득 구간에서 늘어났다.</div> <div></div> <div></div> <div></div> <div>소득이 적은 연간 소득 1000만원 이하 구간의 면세자 비율은 지난 2013년 92.4%에서 지난 2014년 100%로 관련 구간 모든 근로자들이 면세자가 됐다. 연 소득 1000만~1500만원 구간은 면세자 비율이 48.3% 증가했으며, 2000만~3000만원 구간은 22%, 3000만~4000만원 구간은 26.6%, 4000만~4500만원 구간은 18.7%, 4500만~5000만원 구간은 12.7%, 5000만~6000만원 구간은 5.6%, 6000만~8000만원 구간은 1.1%, 8000만원 초과는 0.1% 늘어났다.</div> <div></div> <div></div> <div></div> <div><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 alt=""><em class="img_desc">표=국회예산정책처</em></span></div>
    출처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366&aid=0000347159&date=20161028&type=1&rankingSeq=1&rankingSectionId=101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6/10/28 23:22:35  122.46.***.132  에메넬  560337
    [2] 2016/10/28 23:26:32  110.70.***.244  둥근언덕  643217
    [3] 2016/10/28 23:29:27  39.7.***.175  뿌릉릉  665597
    [4] 2016/10/29 00:07:42  119.197.***.59  lxlx  74554
    [5] 2016/10/29 00:15:07  220.117.***.21  6974  724224
    [6] 2016/10/29 00:58:56  123.108.***.5  스윙클  9282
    [7] 2016/10/29 20:17:49  124.197.***.83  WHBKATH  680942
    [8] 2016/10/30 03:11:31  124.59.***.81  심심해서왔다  725331
    [9] 2016/10/30 03:47:59  183.96.***.155  네티지아  715866
    [10] 2016/10/30 18:43:10  182.211.***.111  cobain  273427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현재 게시판의 베스트게시물입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33841
    아직도 구인난이 청년눈높이 탓으로 돌리는 사장들 많네 [67] mayro 16/11/11 07:56 9149 103
    1333686
    52조 이란 대박’, 알고보니 '쪽박'…朴대통령 세일즈 외교 수주 사실상 [3] 조용한시민 16/11/10 21:14 4616 41
    1333448
    시급을 올린다고 직원수를 줄일거라는건 최고의 헛소리 [44] 슈퍼포자 16/11/10 11:07 8012 120
    1333351
    병에 걸리면 파산하고 마는 미국 의료의 현실 [45] apelsin 16/11/10 00:19 10493 62
    1330947
    닭이 증발시킨 돈이 [21] 소소미소 16/11/04 18:39 9331 82
    1330856
    곧 골든크로스 발생 예정 [7] 힉토르 16/11/04 15:07 8440 65
    1330362
    전국 광역버스 노선을 지도에서 한번에 - 호갱노노 업데이트 [46] 미뉘 16/11/03 13:40 4564 84
    1330360
    양말을 짝짝이로 파는 회사 [33] 펌글 아라촤촤 16/11/03 13:27 11214 52
    1329079
    [단독]현정부 가계빚 증가액, MB-盧정부 합친 수준 [4] 라이온맨킹 16/10/31 21:24 3304 34
    1329073
    가스·난방비 2차 인상 검토..누진제 대란 2라운드 [15] 라이온맨킹 16/10/31 21:16 4421 61
    1328986
    4차 산업 혁명에는 복지가 필수 [54] 통성명은.무슨 16/10/31 17:35 5132 50
    1328985
    살림 어려워 보험 깨서 쓴다…해지환급금 역대 최대 [44] 펌글 계룡산곰돌이 16/10/31 17:35 6181 54
    1328974
    한국의 일자리는 오래일하고 적게받고 불안정하다 [16] 6974 16/10/31 17:07 4927 54
    1328865
    이번엔 송성각 녹취록 파문..."지분 안 넘기면 묻어버릴 수도" [13] 조용한시민 16/10/31 12:53 5076 75
    1328794
    부담되는 생리대 가격.jpg [114] 펌글 부르마 16/10/31 08:59 9342 123
    2명 중 1명 '세금' 안낸다…'연봉 3000만~5000만원' 직장인 내 [18] 조용한시민 16/10/30 18:43 9605 29
    1328149
    LH공사 10만원대 청년 월세집 등장 (대학생, 취준생, 초년생) [32] 창작글펌글 쿨쿨zz쿨쿨 16/10/29 20:48 9807 80
    1327879
    [뉴스타파] IMF와 신용평가사를 입다물게 한 아이슬란드 국민들 [18] 펌글 samii 16/10/29 03:06 8467 63
    1327421
    대기업이 월세시장 뛰어들면 월세 가격 줄어들거라 생각들하시는거 같은데.. [69] PeaceofMind 16/10/28 03:45 9825 83
    1327200
    월급쟁이 46% '월 200만원'도 못번다 [42] 펌글본인삭제금지 리명박근혜 16/10/27 18:18 8868 65
    1327141
    10대의 꿈 공무원을 넘어 이민 [29] 6974 16/10/27 16:13 6916 56
    1327013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곧 다가올 신세계 화폐질서 [29] 게이바당주 16/10/27 10:43 7535 53
    1326726
    현대차 노조는 나쁜 귀족노조인가?? [147] 6974 16/10/26 19:29 6051 64
    1326654
    결국 대기업의 마르지 않는 샘물은 월세가 될겁니다. [57] 마크로스F 16/10/26 16:25 8995 51
    1326557
    구의역 김군은 최소 100만원은 더 받았어야했다 [22] 6974 16/10/26 12:40 4761 71
    [◀이전10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