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humorbest_1322438
    작성자 : apelsin
    추천 : 36
    조회수 : 6890
    IP : 188.226.***.27
    댓글 : 5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6/10/17 17:44:33
    원글작성시간 : 2016/10/15 10:14:03
    http://todayhumor.com/?humorbest_1322438 모바일
    美 CEO=노동자 연봉 1000배, 日은 13배, 한국은?
    [헬조선 경제학] 헬조선 불평등, 천조국 따라 하기

     [정승일 사무금융서비스노조 정책연구소 소장]

     천조국의 불평등 따라 하기

    한국의 근로 소득 불평등은 미국의 근로 소득 불평등을 그대로 모방하고 있다. 아래 [그림 1]에 나타나듯이, 1960년대까지만 해도 대기업 CEO 등 임원급 경영자들에 해당하는 최상위 0.1% 근로 소득자들의 연봉은 평균적인 근로자 연봉의 10배 정도였고 이러한 격차는 미국과 일본, 한국의 세 나라 모두 비슷했다.

    그런데 미국에서 먼저 변화가 시작된다. 그 격차는 1970년대부터 벌어지다가 1980년 말과 1990년대 말에 급격히 벌어져, 2000년대에는 그것이 40배로 증가했다. 최상위 0.1%와 평균 노동자의 연봉 격차가 10배에서 40배로 400% 증가한 것이며 그만큼 빈부 격차가 증가하였다.

    미국에서의 변화는 상위 0.1% 중에서도 연봉이 가장 높은 100대 기업 CEO들, 즉 최상위 0.0001%의 연봉을 보면 더욱 실감나게 알 수 있다. 미국 100대 기업 CEO들의 연봉은 1970년대까지만 해도 100만 달러에 못 미쳤지만 2000년대에는 4000만 달러로 증가했다. 30년 동안 4000%가 폭증한 것이다.

    그런데 그 30년 동안 미국 근로 소득자들의 평균 연봉은 3~4만 달러(1999년 불변 가격) 수준에서 정체되어 있었다. 달리 말해서, 1970년대까지만 해도 미국의 100대 대기업 CEO들의 연봉은 평균적인 종업원 연봉의 50배였는데 하지만 오늘날에는 그 1000배에 달한다.

    미국에서 이렇듯 임금 격차가 크게 벌어진 원인은 레이건-부시-클린턴 정부가 추진한 금융 탈규제(financial deregulation)와 주주 자본주의(shareholders capitalism)의 전면화, 그리고 그 일환으로 도입된 상장 대기업 임원들에게 고액의 스톡옵션 및 고액의 단기수익 연동 성과급 지급이었다.

    일본의 경우 그 30년 동안 최상위 0.1%와 평균적인 근로 소득자 간의 연봉 격차가 10배에서 13배로, 30% 증가하는데 그쳤다. 즉 일본 대기업 CEO 등 경영자들의 보수는 미국에서처럼 급격히 늘어나지 않았으며 CEO 연봉과 종업원 연봉간의 격차도 낮은 수준에서 안정화되어 있었다.

    http://imgnews.naver.net/image/002/2016/10/14/art_1476408599_99_20161014105504.jpg

    ▲ [그림 1] 상위 0.1% 근로 소득자로의 소득 집중 : 한국, 일본, 미국. ⓒ김낙년

    한국의 경우, [그림 1]이 보여주듯이 1960년대부터 1990년대 중반에 이르는 고도성장기에는 미국보다 일본 자본주의 유형에 가까웠다. 그런데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미국식 시장 개혁이 진행되면서 급격히 소득 분배의 불평등 패턴 역시 미국과 비슷한 쪽으로 변화한다. 즉, 최상위 0.1%와 평균적인 노동자 간의 연봉격차가 10배에서 20배로 200% 증가했다.

    1990년대 중후반부터 우리나라에서 가장 연봉이 높은 근로 소득 최상위 0.1~1%의 연봉이 급증한 것은 기업 지배 구조와 금융 시장 그리고 노동 시장의 구조와 제도를 미국식으로 바꾸었기 때문이다. 기업 지배 구조에서 펀드와 개미 등 소액 주주 투자자들의 발언권과 영향력이 강화되었으며 또한 기업의 외부 자금 조달에서 은행 대출보다 회사채, CD 등 유가 증권 시장의 역할이 극적으로 강화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 비해 주주 가치(shareholder values) 즉 자본 시장이 평가하는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기업의 행태와 사업 구조, 재무 구조가 새로 구축되었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상장사 주식을 대거 매입함에 따라 더욱 강해졌다.

    주주 중시 경영(주주 가치 경영)은 일반 대기업과 재벌계 대기업들에서CEO 및 임원들에게 미국처럼 스톡옵션이 부여되고, 연공제 월급이 아니라 성과 연봉제를 도입하면서 더욱 구체화되었다. 기업 구조 조정 시장에서 론스타와 보고펀드 같은 사모펀드(PEF)가 새로 출현하여 '기업 가치(주주 가치) 제고'를 지상 목표로 하는 구조 조정에 나선 것도 회사 경영진과 일반 종업원 사이의 연봉 격차를 크게 만들었다.

    불평등 심화와 피케티의 21세기 자본주의

    그런데 연봉 격차, 즉 근로 소득 격차만 심해진 게 아니다. 재산 소득 등 비근로 소득을 포함하는 종합 소득의 격차 역시 극심해지고 있다. 1930년대까지만 해도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 등 선진국에서 가장 부유한 최상위 0.1%로의 개인 소득 집중도는 1930년대까지만 해도 6~9%에 육박했다. 즉, 전 인구의 0.1%인 최고 부유층의 종합 소득이 국민 평균 소득(비근로 소득 포함)보다 60~90배 많은 소득을 벌었다([그림 2]).

    하지만 대공황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그 격차는 크게 줄어들었고 더구나 선진국들에서 복지 국가가 등장한 1950~70년대에는 대체로 2%대로 떨어진 채 안정되었다. 즉 0.1% 최상위 부유층의 개인 소득(종합 소득)이 국민 평균 소득의 20배로 떨어졌다. 부자와 평민 간의 소득 격차가 과거의 4분의 1에서 5분의 1로 크게 줄어든 것이다.

    http://imgnews.naver.net/image/002/2016/10/14/art_1476408624_99_20161014105504.jpg

    ▲ [그림 2] 상위 0.1% 소득 집중도의 변천. ⓒ김낙년

    토마 피케티가 쓴 <21세기 자본>(글항아리 펴냄)에서 지적되듯이, 이러한 소득 격차 축소 즉 불평등 축소는 자연 발생적으로 나타난 것이 아니다. 그것은 1930년대 대공황과 함께 시작된 복지 국가와 부자 및 대기업 증세, 그리고 노동권 및 노동조합권 강화를 중심으로 하는 경제 민주주의에 의해 정치적으로 강요된 것이다.

    하지만 미국과 영국에서 레이건 대통령과 대처 수상이 집권하여 이른바 신자유주의 또는 신보수주의가 지배하는 1980년대부터 미국과 영국을 필두로 다시 1930년대 이전의 소득 격차로 회귀하는 정치경제적 움직임이 강력하게 작동한다.

    부자 감세와 대기업 감세, 복지 축소와 노동권 약화가 진행되고, 그 결과 2000년대가 되면 미국과 영국에서 부자와 평민 간의 소득 격차는 1920년대 이전의 수준으로 회귀한다. 100년 전인 1916년경처럼, 최상위 0.1%의 부유층이 평민들의 60~90배를 더 버는 시대가 다시 열렸으니, 부자들의 낙원이 다시 시작된 것이다. 하지만 미국 및 영국과 달리 자유 시장 자본주의로의 회귀가 더디게 진행된 일본과 프랑스에서는 1990년대 이후에도 과거에 비해 소득 격차가 30~40% 가량 더 벌어지는 것에 그쳤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가장 부유한 0.1% 부유층으로의 소득 집중은 1990년대 중반까지 일본-프랑스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그만큼 지금보다 평등했다. 그런데 [그림 2]가 보여주듯이, 1997년을 기점으로 0.1% 부유층으로의 소득집중이 유별나게 빠른 속도로 진행된다. 부익부 빈익빈의 메커니즘이 본격 작동하기 시작한 것이다.
    정승일 사무금융서비스노조 정책연구소 소장 ([email protected])
    출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2&aid=0002019261&sid1=001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6/10/15 10:52:26  220.73.***.223  inde  627385
    [2] 2016/10/15 14:47:04  117.111.***.218  계룡산곰돌이  695271
    [3] 2016/10/15 15:22:19  211.228.***.81  똥오줌의신  528501
    [4] 2016/10/15 16:24:38  119.204.***.244  해피해피해  556353
    [5] 2016/10/15 18:52:23  183.103.***.166  머어어엉  647153
    [6] 2016/10/16 01:11:23  121.171.***.165  lxlx  74554
    [7] 2016/10/16 08:49:27  61.254.***.67  두아이아빠9  147721
    [8] 2016/10/17 09:58:10  210.94.***.89  뿌릉릉  665597
    [9] 2016/10/17 13:10:41  182.211.***.111  cobain  273427
    [10] 2016/10/17 17:44:33  210.106.***.59  화성외계인  382777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현재 게시판의 베스트게시물입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26036
    인도네시아의 불법조업 퇴치방식 [21] 조지u 16/10/25 11:38 7474 90
    1325443
    재벌의 한국경제 지배 [15] 창작글 배두만 16/10/24 00:39 5443 63
    1325307
    혹시 가계부 필요하신 분 계신가요? 무료나눔 하려고 하는데 [418] rich_club 16/10/23 20:08 3227 62
    1325236
    부동산 가격 내려가면 한국 레알 망함.. [80] 아므라바아 16/10/23 16:41 15309 76
    1324906
    아디다스가 중국 공장 폐쇄하고 독일로 돌아간 이유 [107] 펌글 동물의피 16/10/22 20:26 15794 115
    1324706
    한국의 미래는 노인과 절망의 나라 [33] 6974 16/10/22 11:53 7417 46
    1324604
    [썰전]삼성 갤럭시노트7 단종 사태 관련 [88] 펌글 동물의피 16/10/22 00:55 9403 84
    1324454
    아기낳기 싫은 나라 [35] 6974 16/10/21 19:21 8086 74
    1324452
    대기업 망하라고하면 안되나요? [43] JH-papa 16/10/21 19:15 5721 76
    1324447
    해외에서는 삼성 갤노트7 폭망으로 한국경제 위기로 보는 듯 [21] 통베리 16/10/21 18:58 7384 68
    1324441
    [뉴스모음] 경제 살릴 대책 필요한데…쓸 '카드'가 없다 [14] 뉴스체크 16/10/21 18:31 3900 25
    1324355
    전기 민영화 반대이유와 민영화 하면 벌어질 일 [42] 통성명은.무슨 16/10/21 15:25 5206 82
    1324308
    21세기 최고의 직업 [26] 삼류소설가 16/10/21 13:41 10517 94
    1324258
    예년과는 크게 다른 '와인의 계절' [50] 권종상 16/10/21 11:22 5368 58
    1324079
    현재 해외에서 조롱받고 있는 졸렬한 삼성 [22] 펌글 동물의피 16/10/20 23:12 9750 103
    1324048
    드디어 가계부채를 더이상은 늘릴수 없다 시그널이 나오는군요 [8] 6974 16/10/20 22:08 8057 45
    1324035
    박지원 "갤노트7 단종 7조 손실 충격…삼성폰 더 사주자" [99] 타이핑 16/10/20 21:50 8503 78
    1323911
    전력시장 민간에 개방한다 [63] 6974 16/10/20 16:53 7984 131
    1323554
    현 부동산 흐름 시장을 믿지마라 [31] 6974 16/10/19 21:23 8772 66
    1323372
    헬조선의 진짜실세 (대한민국 서열2위의 마인드) [44] 펌글 계룡산곰돌이 16/10/19 15:46 8655 74
    1322858
    수도권 부동산이요? 절~~~~~~~~~대 안 떨어집니다. [42] 창작글 ▶◀검은날개 16/10/18 16:47 8137 41/17
    1322842
    헬조선 이미 망한듯... [30] 6974 16/10/18 16:01 11925 79
    1322610
    아디다스 근황.jpg [35] 찐빵의피 16/10/17 23:35 17142 83
    1322584
    부동산 폭락설을 믿고 따르면 안되는 근본적인 이유 [84] 창작글본인삭제금지외부펌금지 곰돌이330 16/10/17 22:39 9482 72
    1322440
    평창올림픽 상황을 취재한 일본방송 [43] 펌글 동물의피 16/10/17 17:55 7524 91
    美 CEO=노동자 연봉 1000배, 日은 13배, 한국은? [5] apelsin 16/10/17 17:44 6890 36
    1322333
    부동산을 수익 모델로 생각하시는 분들 읽어 보세요 [69] 分福茶釜 16/10/17 13:30 7841 50
    1322300
    일본방송에서 분석한 갤놋7 폭발 사태 [78] 펌글 동물의피 16/10/17 11:59 9584 116
    [◀이전10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