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humorbest_1171830
    작성자 : 잠룡815
    추천 : 19
    조회수 : 1703
    IP : 219.255.***.230
    댓글 : 1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5/12/20 23:27:45
    원글작성시간 : 2015/12/15 18:30:41
    http://todayhumor.com/?humorbest_1171830 모바일
    <상상의 공동체> 저자 베네딕트 앤더슨 돌아가셨네요
    오유에서도 이분 언급하는 경우가 많아

    관련기사 본김에  올려봅니다...


    "사랑하는 사람이 살인자라는 사실을 알았지만…"
    [베네딕트 앤더슨을 보내며] 나라 없는 남자의 죽음



    ▲ 젊은 시절의 베네딕트 앤더슨. ⓒwikipedia.org


    정치학자·역사학자·제3세계 연구자 베네딕트 앤더슨(Benedict Anderson)이 12월 12일 저녁 강연차 방문한 인도네시아에서 죽었다.

    1936년생인 앤더슨은 1957년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문학사를 마친 뒤, 미국 코넬 대학교로 옮겨 1967년 인도네시아 독립 투쟁과 국민 국가의 형성을 주제로 박사 논문을 썼다. 그는 아시아와 남미 국가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마르크스주의와 국민주의(nationalism)를 결합시킨 "국민은 상상된 정치적 공동체"라는 개념을 발전시켰다.

    우리나라에서 베네딕트 앤더슨은 '탈민족론의 거두'로 오해받아왔는데, 이는 '국민'을 뜻하는 nation을 '민족'으로 잘못 번역한데서 연유한다. nation을 언제나 모든 맥락에서 '국민'으로 번역할 수는 없다. '민족'으로 번역해야 맥락이 이해될 때도 있지만, 이런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nationalism은 민족주의가 아닌 국민주의로 번역해야, 역사적 현상의 본질에 다가갈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베네딕트 앤더슨의 이론을 '탈민족론'으로 치부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그가 말한 상상되고 기획되어진 공동체는 '민족'이 아니라 '국민'이었다.

    베네딕트 앤더슨은 국민(nation)의 개념을 제한·주권·공동체라는 세 가지 상상에 근거한다고 주장했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상상은 거짓이나 사기를 뜻하는 게 아니며, 오랜 시간 걸쳐 만들어지고 다듬어진 '인식의 산물'이라는 의미다. 제한(limited)은 영토와 국경이라는 공간적 측면이다. 주권(sovereign)은 국가 권력이 신의 의지나 핏줄에 따른 종교적·신분적 질서에 의해서가 아니라, 사회적 구조로 존재해야 한다는 정치적 측면이다.

    ...............


    대한민국처럼 단일 민족이 단일 국민을 이룬 경우는 세계적으로 대단히 드물다. 대부분의 나라들은 다민족이 하나의 국민을 이룬다. 고려 시대부터 하나의 민족으로 통합되기 시작한 한반도의 주민들은 한민족(韓民族)을 이뤘고, 120여 년 전 대한제국을 경과하면서 하나의 국민적 실체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지금은 남북 분단으로 하나의 민족이 두 개의 국민으로 분열되어 고착되는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베네딕트 앤더슨이 사랑한 인도네시아 국민은 20세기 중반까지는 존재하지 않았다. 수백 개가 넘는 잡다한 민족들이 네덜란드 식민지 주민으로 살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종식을 계기로 하나의 국민으로 주조(鑄造)되었다. 국민은 다양한 민족을 하나로 묶는 도가니였다. 이 때문에 베네딕트 앤더슨은 "문제는 (국민들 사이에 오랜 시간을 거치면서) 어떤 공통된 상상이 존재하는가가 아니라, 어떤 공통된 상상이 만들어지는가"라고 역설했다.

    민족 모순(national contradiction)과 계급 모순(class contradiction)이 얽히고설킨 한반도의 역사와 현실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인식론의 정립이 중요했고, 구체적으로는 민족-국민-국가에 대한 정확한 개념 정립이 절실했다.

    ......................

    국민주의 연구자로서 베네딕트 앤더슨이 속한 나라(nation)가 어딘지를 말하기는 대단히 어렵다. 앤더슨은 대영제국을 떠돈 아이였다. 1936년 중국 쿤밍에서 태어났다. 아일랜드계 영국인이었던 아버지는 세금을 걷는 제국의 기관인 중국 해양세관에 근무했다. 1941년 일본 제국이 중국으로 확대되기 시작하자 가족은 캘리포니아로 도망갔다. 1945년 아일랜드로 돌아왔지만, 그들은 자기 조상의 땅에서 모호한 지위를 점했다. 가계(家系)의 한 갈래는 오랜 경력의 아일랜드 민족주의자(nationalists)였지만, 아일랜드계 영국인으로서 그들은 아일랜드 민족(nation)의 핵심인 가톨릭 정체성 없이도 명망을 누리는 특권 소수자로 존재했다.

    ...............

    ▲ 1965년 수하르토 쿠데타 이후 학살당하는 인도네시아 공산당 지지자들. ⓒwordpress.com


    1965년과 1966년 사이, 인도네시아는 반혁명 폭력에 휩싸였고, 이는 1967년 미국이 지원한 반공 독재자 수하르토의 권력 장악으로 이어졌다. 이어진 숙청 과정에서 60만 명에서 100만 명에 달하는 인도네시아인들이 죽임을 당했다. 대부분은 공산당 지지자들이었다. 인도네시아 군부가 학살 대상을 고르는 과정에 깊숙이 참여했던 미국 중앙정보부는 1968년 비밀 해제한 자료에서 "20세기 최악의 대량 학살 중 하나"로 명명했다.

    수하르토 쿠데타의 폭력은 앤더슨의 삶에서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사랑한 사람이 살인자라는 사실을 발견한 느낌 같다"고 썼다. 그는 쿠데타의 진짜 역사를 연대기 순으로 정리하고 수하르토 정권의 선전을 반박하는 운동(cause)에 투신했다. 1966년 코넬 대학교에서 앤더슨과 그의 동료들은 <코넬 페이퍼(The Cornell Paper)>를 익명으로 냈다. 이 책자는 쿠데타에 관한 공식적인 설명이 틀렸음을 드러낸 중요 문건이 되었고, 인도네시아 반체제 인사들 사이에 광범위하게 읽혔다.

    앤더슨은 인도네시아공산당(PKI) 총비서였던 수디스만에 대한 1971년 여론 조작용 재판을 직접 목격한 두 명의 외국인 중 한 명이었다(수디스만 재판이 1966년~1967년 열렸음을 미루어 볼 때 1971년은 1967년의 오타로 보인다). 앤더슨은 나중에 수디스만의 증언을 번역해 출간했고, 이는 인도네시아 역사의 핵심 문헌이 된다. 

    1972년 앤더슨은 인도네시아에서 추방되었다. 그 자신이 만든 나라(nation)의 망명객이 된 것이다. 수하르토 정권이 타도된 1998년에야 인도네시아에 돌아갈 수 있었다(베네딕트 앤더슨이 인도네시아를 재방문한 때는 1998년이 아닌 1999년이다). 사적으로 친구들을 방문하고 나서 앤더슨은 인도네시아의 주요 신문인 템포(Tempo)가 후원한 감동적인 이벤트를 갖기도 했다.

    ...............



    앤더스의 가장 유명한 저작인 <상상의 공동체>는 인도네시아 역사라는 도가니에서 태어났다. 많은 언어와 민족들(ethnicities)로 이뤄진 인도네시아 같은 다양성의 국민들(diverse nations)은 어떻게 뭉치는가? 이 국민들은 왜 때때로 허물어지는가? 거대한 국민을 이루는 사람들을 서로 죽이지 않도록 막는 것은 무엇인가? 그리고 왜 때로 국민적 결합(national cohesion)은 실패하는가? 이것들은 앤더슨에게 추상적인 질문이 아니었다. 대신 인도네시아 역사에 대한 생생한 몰입에서 나온 것이었다.

    <상상의 공동체>는 앤더슨의 가장 잘 알려진 저작이지만, 그가 쓴 모든 게 읽을 만하다. 초국민적 테러리즘에 관한 연구 중에서 2005년 나온 <세 깃발 아래서 : 아나키즘과 반식민주의적 상상력(Under Three Flags: Anarchism and the Anti-Colonial Imagination)>(길 펴냄)보다 더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는(thoughtful) 것은 거의 없다.

    앤더슨은 전 지구적 문화(global culture)에 대한 유창한 지지자로 인도네시아와 필리핀 문학에 대한 관심을 촉구했다. 세계 여행자인 베네딕트 앤더슨이 인도네시아에서 죽은 것만큼 어울리는 건 없다. 인도네시아는 그가 진정으로 집이라고 부를 수 있는 나라였다.
    출처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31812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12/15 18:40:08  1.176.***.81  미륵산  604705
    [2] 2015/12/15 18:49:54  175.223.***.199  더보기  180581
    [3] 2015/12/15 19:38:42  1.177.***.47  레디오스  683951
    [4] 2015/12/16 08:43:27  117.111.***.188  뻐꾸기77  597022
    [5] 2015/12/16 14:10:38  182.211.***.111  cobain  273427
    [6] 2015/12/17 00:00:29  49.143.***.47  씨엔블루루루  332445
    [7] 2015/12/17 07:41:13  210.183.***.190  세정이  184900
    [8] 2015/12/18 13:31:30  182.172.***.39  미스터부기  158174
    [9] 2015/12/19 18:55:18  219.249.***.44  뽀룹뽀룹  546772
    [10] 2015/12/20 23:27:45  210.180.***.43  사닥호  425608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현재 게시판의 베스트게시물입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78196
    1924년~1925년生 어르신들에게 있어서 지금도 이거보면 공포의 대상 [14] Desert_Fox 15/12/31 20:56 9419 46
    1177986
    美하원 통과 위안부 결의안 전문 [12] 잠룡815 15/12/31 13:12 3012 40
    1177919
    '김성수 친일재판' 다섯 번 폭탄 돌리기 (2015. 6) [5] Desert_Fox 15/12/31 11:02 2171 28
    1176786
    중화역사상 유일무이한 여황제 [10] 창작글 소침 15/12/29 19:13 7148 33
    1176658
    수탈과 수출에 대한 논쟁 정리(시도1) [73] 뻐꾸기77 15/12/29 16:04 1453 17
    1176003
    250년 전 사도세자가 주는 메세지 [17] 펌글 동물의피 15/12/28 15:12 8001 82
    1175748
    새로 발견된 아메리카 대륙 문명.jpg [8] 수영복매냐 15/12/28 00:10 11700 51
    1175481
    "크리스마스잖아요" - 1914년에 일어난 크리스마스의 기적 [7] 창작글 귤강 15/12/27 17:39 3381 43
    1174752
    크리스마스의 기적(1950) [4] 창작글 레이브릭스 15/12/26 10:13 3106 48
    1174551
    훈민정음은 세종대왕 혼자서 만든거 맞습니다. [107] mooni 15/12/25 21:41 7072 128
    1173117
    생활의 달인에 나온 일제강점기 곡물 '수탈'의 희생자이자 산증인 [135] 별가스폰지밥 15/12/23 06:53 6390 58
    1172704
    이윤석 보면서,역시 인간에게 중요한건 EQ구나라고 느꼈음. [59] 돌아도리 15/12/22 14:30 6087 105
    <상상의 공동체> 저자 베네딕트 앤더슨 돌아가셨네요 [1] 잠룡815 15/12/20 23:27 1703 19
    1171787
    전설의 사직서 [30] 펌글 소침 15/12/20 22:31 12420 143
    1171535
    나는 죽어 수십만명의 이재명으로 환생할것이다. [4] 프로변태 15/12/20 14:19 6274 66
    1171524
    이후락의 조카, 김대중에 사죄하기 위해 국민회의 입당활동... [2] 펌글 잠룡815 15/12/20 13:49 5786 28
    1171307
    조선의 역대 임금이야기(3) [5] 애비28호 15/12/20 00:18 5606 24
    1171104
    세계역사지도 BC 500년 부분을 대략 완성했습니다. [28] 역사광황 15/12/19 18:34 5760 25
    1170259
    서울대 졸업생의 분노 jpg [55] 평탄 15/12/18 11:11 11735 139
    1168806
    역사저널 그날 보던중. [1] 방향치 15/12/16 21:18 3077 26
    1166493
    고토회복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글 [9] 크롬사용자 15/12/13 20:09 3770 25
    1166294
    12.12 - 유사이래 가장 길었던 쿠데타의 시작 [1] 펌글 리볼버오셀롯 15/12/13 13:42 2536 24
    1165887
    1949년 국회프락치 사건 담당 수사 검사 출신 오제도씨의 증언 [2] Desert_Fox 15/12/12 20:21 3970 24
    1165117
    대학생들의 국정화싸움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26] 얼굴평가사 15/12/11 11:05 2171 40
    1164831
    뉴라이트와 민족주의 - 이영훈편 [200] 임경업 15/12/10 20:50 2826 23
    1164569
    '고토회복'이란게 얼마나 답이 안나오는 개소리인가에 대해 [19] 크롬사용자 15/12/10 13:42 3002 23
    1164562
    나라에 충성하면 집안이 풍비박산나고 멸문지화를 당한다.JPG [7] 코디아맘 15/12/10 13:28 4514 38
    [◀이전10개]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