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humorbest_1066782
    작성자 : NAfro
    추천 : 20
    조회수 : 5989
    IP : 218.50.***.204
    댓글 : 7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5/05/25 21:26:05
    원글작성시간 : 2015/05/24 23:28:36
    http://todayhumor.com/?humorbest_1066782 모바일
    음모론에 대해서(스압)
    옵션
    • 창작글
    대학교에서 신화 배울 때 발표한 건데요..  <div>무어 저도 지금은 신화 이론들을 적용하는데 좀 무리가 많았다고 생각이 되네요(특히 융 얘기가 무리수).</div> <div>그래도 음모론이 진짜냐?라는 질문보다 중요한 질문을 음모론에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은 그대로입니다.</div> <div>그냥 복붙하니까 반말은 양해를 부탁드립니다.</div> <div><br></div> <div><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음모론<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하면 어떤 것이 떠오르는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일상적으로 이 단어는 터무니없고<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무의미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쓰인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요즘 들어 한국 언론에도 이 단어가 자주 등장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오로지 비난의 의도로 사용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아무 근거도 없고<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위험한 주장이라는 뜻으로 사용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우파에 의해 대표적인 음모론 살포 매체라고 불리는 <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나는 꼼수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이하 나꼼수<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에 대한 기사를 보면 </p> <p>평소 우리가 음모론을 이해하는 방식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인터넷 언론<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크리스천투데이에서는 나꼼수가 거짓으로 밝혀진 의혹에 대해 아무 사과도 없다며 그들의 태도를 비판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경향신문의 한 기사를 보면<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나꼼수가 몸담고 있는 진보 진영마저 흔드는 이야기를 나꼼수 스스로 하고 있다며 비판하는 유명 인사의 언급이 드러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그리고 모든 공론을 의심하며 무차별적으로 창작되고 있다는 뜻으로 음모론이라는 단어가 사용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하지만 우리에게 더 의미심장하게 포착됐던 분석이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음모론이 활성화되는 사회는 분명 언론이 막혀 있거나 정보가 소명되지 않는 상황이라는 전성원 황해문화 편집장의 분석이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우리는 정보의 바다라고 불리는 인터넷을 자유롭게 이용하지만 아직도 대중이 다가갈 수 없는 영역이 있고 그 영역에 속하는 정보는 차단돼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이런 현실에서 한 국가의 정부가 많은 음모론 이야기에서 음모의 배후로 등장하는 것도 이해 못할 바는 아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우리에게 잘 알려진 국내 또 다른 음모론 살포 집단 <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타진요<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의 대상도 이제는 타블로뿐만 아니라<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검찰 등의 국가 기관으로 외연이 좀 더 넓어졌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물론 우리 중에는 타블로가 엄청난 권력과 결탁한 인물이라고 믿는 사람은 거의 없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우리 역시도 그렇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검찰이 숨기는 정보도 전혀 없다고 생각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하지만 타진요의 새로운 의혹의 대상이 되었으며<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아주 만만하고 흔하게 음모의 주체가 되는 집단<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정부라는 권력집단을 타진요 현상에서 포착할 수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br></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더 세계적인 것으로 연상을 해보자<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클래식 음악 애호가는 의혹에 둘러싸인 모차르트의 죽음을 떠올릴 수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팝 애호가는 아마 존 레넌<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그를 저격한<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마크 데이비드 채프먼이 번뜩 생각날 것이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물론 커트 코베인도 빼놓을 수 없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만약 이런 미스테리한 사건들에 관심을 가지고 더 파고 들어갔다면 </p> <p>거의 모든 사건의 배후에 등장하는 음모의 세력<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프리메이슨이나 <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CIA</span>도 생각날 수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이뿐일까<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심심할 때 구글링만 해봐도 우리는 신화만큼이나 엄청나게 방대한 양의 음모론 이야기를 접할 수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그 이야기들은 실로 다양하고<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웅장하며<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심지어 설득력도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어쩌면 우리 언론에서 쓰고 있는 <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음모론<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은 아주 국한된 뜻으로 사용되고 있을지 모른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오랫동안 플라톤에 의해 신화가 그저 터무니없는 이야기로 전락했던 것처럼 말이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최근 많은 의미를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진 신화처럼<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음모론도 그만한 지위를 부여해줄 수는 없을까<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br></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5/14324771936hERgA3AmN2TsH2dtb.jpg" width="459" height="261" alt="로즈웰 UFO.jpg" style="border:none;"></div><br><p></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우리가 바라는 대로 원활하게 논의를 이끌어가기 위해 몇 가지 간단한 음모론을 소개하겠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하나는 아주 유명한 미국드라마<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엑스파일<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에 등장하는 음모론이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역공학<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이라는 요상한 이름으로 불린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역공학 음모론은 <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1947</span>년쯤부터 발생되기 시작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이 해에는 음모론 역사에 획을 긋는 사건이 하나 발생한 해이기도 하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로즈웰 <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UFO </span>추락사건<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이 바로 그 사건이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이 사건은 확실히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말 그대로 미확인 비행 물체가 로즈웰에 떨어진 것은 맞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외계인의 비행체일지는 모르나 대중에게 확인되지 않은 물체가 떨어진 것은 사실이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사람들은 이 사실을 토대로 이 물체가 외계인 기술을 알 수 있는 단초가 된다는 이야기를 했고<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이런 물체를 미 정부가 수거하여 그 기계를 역으로 뜯어보고 탐구하는 과정에서 많은 기술을 축적했다고 설명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외계인과 지구의 지도층들이 모종의 계약을 맺어 지구에서 그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제공하는 대가로 그들의 기술력을 얻어온다는 식의 이야기도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실제로 <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20</span>세기는 그 전 시대와 비교했을 때<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기술의 비약적인 진보를 일궈낸 시대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기술의 빠른 진화 그 자체를 의아하게 여길 수 있는 사람이라면 이 음모론을 믿을 여지가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br></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5/1432477218waMdDU76Gw37rB3b.jpg" width="150" height="199" alt="Kennedy.jpg" style="border:none;"></div><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5/1432477224AhETwRDXUB8tRlXjI3PDl3O61WGao11I.jpg" width="150" height="220" alt="리 하비 오스왈드.JPG" style="font-size:9pt;line-height:1.5;border:none;"><p></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또 다른 유형의 음모론으로는 유명인의 암살 사건에 대한 이야기들이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앞에서 언급했던 많은 암살사건들은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그중 대표적으로 존<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F.</span>케네디의 암살 사건이 있겠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리 하비 오스왈드가 저격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 사건의 수사 과정에서 많은 증거가 은폐된 것으로 확인됐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미국인의 <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73%</span>는 여전히 대통령이 음모의 희생자라고 믿고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이런 불신의 원인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의미심장한 말만 계속 늘어놓던 용의자 오스왈드 역시 암살됐고<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총상을 알 수 있는 케네디의 뇌가 사라졌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오스왈드가 단독으로 이 범행을 저질렀다는 발표는 정말 믿기 힘든 것이 됐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br></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5/1432477256YGSDg1muKLk8keOr9N4a.jpg" width="283" height="300" alt="adventofdeception_com_20120624_093819.jpg" style="border:none;"></div><br><p></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많은 이야기들의 배후에는 단연 이 단체가 단골로 꼽힌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프리메이슨<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로마 가톨릭과 대립하며 세계의 지도층이 다수 가입되어 있다는 이 단체는 세계 제패를 노리는 단체로 잘 알려져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막강한 정보력과 금력을 가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금도 세계를 좌지우지하고 있다고도 추측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br></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이런 음모론들은 충분히 신화를 해석하는 방법론에 의해 해석될 수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먼저 프로이트가 하듯이 해보자<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프로이트는 인간이 무의식으로 인식과 반응을 하는 존재라고 주장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음모론은 노골적으로 막강한 권력의 음모를 상상한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하지만 그 권력 집단의 실체는 여태까지 한 번도 드러나지 않았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 점이 음모론을 음모론으로 남아 있게 하는 점이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실체도 없는 권력 집단은 사실이 아닐 수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러나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프로이트의 이론으로 음모론을 살펴본다면 이 이야기에 의미를 부여하는 일이 가능</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하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음모론자들이 상상하는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비밀 집단은 여러 매체를 통해 그들의 영향력을 행사한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공교육현장에서도 그들의 음모는 행해지고 있다</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고 한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런데 이것이 한낱 음모론에만 국한되는 이야기인가</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많은 사회학자</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특히 프랑스의 학자들은 끊임없이 미디어의 세뇌를 조심하자고 주장</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한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예를 들어</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광고를 통해 기업들은 소비자에게 권력을 행사한다고 볼 수 있으며</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국가의 이데올로기는 학교에서 끊임없이 교육</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혹은 세뇌된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우리나라만 봐도 광고의 영향력은 지대한 것을 알 수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간접 광고에 의해 드라마 속 여주인공의 의상은 </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완판</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 된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또한 한국 정부가 수립된 이래로 지속적으로 교육된 반공 이데올로기는 국민이 공산주의에 대해 전혀 논할 가치도 없다고 생각하게 했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즉</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인간의 사유를 몽땅 빼앗아 가버리는 권력은 분명히 실재</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한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 권력의 주체를 음모론자들은 프리메이슨이니</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일루미나티니 하는 집단으로 설정할 뿐이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렇게 보면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인간이 자신들을 노리는 권력을 무의식적으로 감각하며</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음모론을 양산함으로써 그 인식을 표출</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한다고 볼 수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br></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프로이트적 음모론 해석은 또 다른 방식으로 가해질 수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프로이트에 의하면 인간은 욕망하는 존재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권력은 욕망을 충족시키는 훌륭한 수단이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에 따라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인간 무의식은 권력도 욕망한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 </span></p> <p><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어쩌면 음모론을 만들어내는 사람들은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런 욕망을 가상의 권력 집단에 투사하는 방식으로 충족</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하고 있는지 모른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언뜻 드러나는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음모 집단의 피해자는 음모론자를 비롯한 평범한 사람들이지만</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동시에 가해하며 자신의 욕망을 충족시키는 것 또한 음모론자</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일 수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프로이트가 밝힌 욕망은 성욕을 바탕으로 하는데</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프리메이슨의 심볼</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도 이런 이해를 바탕으로 보면 새롭게 보일 수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 심볼은 남성적 권력을 상징하는 것으로서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br></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융의 관점으로도 음모론은 새롭게 해석될 여지가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융은 신화에 집단 무의식이 표출돼 있다고 이해함으로써 여러 지역에서 동일한 구조의 이야기가 발생되는 현상을 설명해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음모론에도 다른 이야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이야기가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프리메이슨은 <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16~17</span>세기 석공 길드에 기원을 둔다고 말해지지만<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그들의 역사에 대한 이야기는 매우 많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더 오래 전 비밀 결사단인 성당 기사단에 기원을 두고 있다는 이야기도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그러나 더 중요하게 포착할 이야기는 우리가 사는 우주가 <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7</span>번째 우주인데<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프리메이슨은 첫 번째부터 있었던 집단이라는 것이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이 어마어마한 스케일의 이야기에서 우리는 많은 신화들과 유사한 세계 이해를 볼 수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우리가 사는 이 시대가 깔리 유가로<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우리 시대 앞에는 세 번의 시대가 더 있었다는 인도 신화는 이 이야기와 비슷해 보인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인간의 무의식은 시대를 초월하여 동일한 이야기 구조를 공유하고 있을지 모른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br></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더 나아가 융은 아니마와 아니무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개념의 창안으로 인간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시도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음모 집단은 두 파벌로 갈라져 있다는 이야기가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신세계질서<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New World Order)</span>를 꾀하는 집단은 세계의 안정 및 유지를 꾀하는 부자 집단과 세계의 불안과 전쟁을 조장하는 세력이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이 두 파벌의 지속적인 대립은 세계 경제 및 정치를 좌우하며 때로는 전쟁을 일으키는 원동력을 제공하기도 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하지만 두 파벌은 하나의 집단에 속해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하나의 집단은 과연 무엇을 의미할까<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인간을 그런 집단에 비유하는 시도로 볼 수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이런 맥락에서 아니마와 아니무스는 굉장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유지를 꾀하는 여성성</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그리고 공격적인 남성성을 가진 융의 인간상</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은 이 이야기에서 거대한 하나의 세계로 말해지고 있는 것일지 모른다</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br></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size:9pt;line-height:1.5;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5/14324773729pJmrBrYLnbZRC.jpg" width="576" height="240" alt="The Da Vinci Code.2006.DVDRip.XviD.AC3.CD1-ZN.avi_002118200.jpg" style="border:none;"></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5/1432477374vEoJjvt18GDo8mpxW6tfKcQya5.jpg" width="576" height="240" alt="The Da Vinci Code.2006.DVDRip.XviD.AC3.CD2-ZN.avi_002991120.jpg" style="border:none;"></div><br><p></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브루스 링컨의 이론도 역시 끌어다 쓸 수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영화 <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다빈치 코드<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에 등장하는 음모론은 실제로 유통되고 있고<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여전히 계속되는 이야기로서 흥미로운 이야기 구조를 갖고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로마 가톨릭 사제들과 상대적으로 약자인 성당 기사단<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다른 이름으로 시온 수도회의 대립은 수많은 역사적 사건들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가톨릭 사제들은 끊임없이 이 소수자들을 박해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그러나 그에 굴하지 않고 성당 기사단의 저항은 계속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가톨릭 사제들은 권력의 정점에서 많은 이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집단으로 파악할 수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이에 저항하는 성당 기사단은 바로 우리<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대중일 수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다빈치 코드<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의 끝 장면에서 성당 기사단은 권력을 점유하고 있는 사제들과 다르게 평범한 사람들의 옷을 입고 등장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이는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종교 권력과 이에 저항하는 대중들의 이야기로서도 충분히 풀이할 수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br></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다빈치 코드에 드러나는 기독교 음모론은 예수와 관련된 신화와 교묘히 닿아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신화와 음모론<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어떻게 같이 놓을 수 있을까<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신화와 영화 식으로 신화적 소재와 구조를 이야기로 만드는 하나의 컨텐츠로 봐야 할까<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아니면 신화와 같은 하나의 이야기 장르일까<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우리는 이 둘을 가를 수 없다고 판단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우선 신화적 소재를 끌어와 창작되는 음모론이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신화 소재는 거의 모든 음모 집단의 표식에 등장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일예로<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프리메이슨 표식은 호루스의 눈을 차용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이는 이집트 신화의 영향이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뿐만 아니라 현대에 와서 신화의 기능을 하며 신화 구조와 비슷한 음모론도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때문에 음모론에는 신화적 소재를 차용하는 이야기도 있고<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신화의 기능 및 구조와 비슷한 음모론도 있다고 판단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br></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우선 신화와 음모론의 공통점을 살펴보자<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음모론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충격적이고 이해가 힘든 현상을 설명하려는 기능을 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이 기능은 신화도 담당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고대인들이 이해하기 힘들었던 현상 중 지진이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때문에 고대 게르만 인들은 로키가 형벌로 고통을 겪고 있기 때문에 땅이 흔들려 지진이 일어난다는 이야기를 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마찬가지로 음모론 역시 이해가 힘든 현상을 설명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유명인의 죽음에 대한 공식적인 설명은 항상 이해하기에 불충분하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이는 단순히 그 사람에 대한 대중의 사랑 때문일 수 있으나<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석연치 않은 점이 분명히 있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케네디<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사건만 봐도 뇌의 도난과 오스왈드의 암살<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등<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석연치 않은 점을 메우려는 시도는 음모론자에 의해 계속됐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음모론자들은 이 사건의 배후로 <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CIA, </span>군산복합체<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마피아<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쿠바 등을<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지목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또한 인류가 과학 기술을 비약적으로 발전시켜온 현상도 어떤 이들에게는 역공학에 의해서만 설명될 수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그리고 위와 같은 이야기들의 발생은 제한되는 정보에 의해서 일어난다고도 할 수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신화는 자연에 의해서 과학적 사실들의 탐구가 제한되기 때문에<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음모론은 각국 정부들에 의해 사건의 정보들이 제한되기 때문에 발생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br></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음모론은 신화처럼 그 사회의 권력 구조를 단순화시켜 드러내기도 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인도의 쁘루샤 찬가에서는 쁘루샤라는 신으로부터 세계가 구성되는데<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이때 인간의 계급 역시 분화됐다는 이야기가 나온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브라만<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크샤트리아<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바이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수드라는 이처럼 단순한 이야기로 권력 구조를 설명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역사가들은 이 계급 구조는 아리안 족과 선주민들의 복잡한 대립에 의해 형성됐을 것이라고 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음모론도 단순히 음모 집단 대 대중이라는 구조를 갖고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음모 집단들은 다양한 매체로 대중을 세뇌시키고 있다며 세뇌의 주체가 현실에 실재하는 많은 기업이나 정부가 아닌 하나의 단체로 규정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br></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신화에 고대의 사회상이 드러나듯<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음모론에도 사회 분위기가 담긴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엑스파일에서 멀더와 스컬리의 대화 장면은 이 시대의 인간이 기술이나 자본보다 더 무가치한 것으로 취급되는 것을 보여준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실제로 많은 음모론에서 자신들의 이익 때문에 암살이나<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테러 등을 자행하는 집단들의 모습이 보인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게르만 신화에도 고대 게르만인의 용맹한<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혹은 용맹함을 조장하는<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모습과 척박한 환경 때문에 생존조차 힘든 사회상이 담기듯 말이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br></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그리고 그 이야기에 대해 많은 근거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서도 비슷하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신화는 성스러운 이야기로 가타부타 논해질 대상이 아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가장 훌륭한 설명 방법은 음모론에도 하나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훌륭한 음모는 실수하지 않는 한 흔적과 증거를 잘 남기지 않는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p> <p>음모론자들은 그들의 믿음을 시험하는 도전에 대해<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자신들은 실수만을 포착하기 때문에 자세한 정황은 잘 모른다고 대답할 수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br></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결정적으로 음모론과 신화 모두 종교와 관련돼있다는 공통점을 갖는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신화는 말할 필요도 없겠지만<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음모론이 무슨 관련이 있느냐는 의문은 당연히 들 것이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우리가 여기서 언급할 것은 라엘리안과 싸이언톨로지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인간을 비롯한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는 외계인 엘로힘의 <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DNA </span>합성을 통하여 실험실에서 과학적으로 창조되었다는 이야기는</p> <p>라엘리안의 핵심적인 교리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물론 라엘리안의 교리는 대부분 기독교에서 차용한 것으로 보이나<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외계인이라는 소재는 음모론에서밖에 차용할 수 없는 것이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싸이언톨로지는 인간에겐 모두 <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테탄<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thetan)"</span>이란 외계 영혼이 붙어있다고 주장하는데<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이 역시 음모론 이야기의 단골 소재인 외계인을 차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br></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5/1432477590fBSx8duT5qcOpO3vbn6P4jOEHU.jpg" width="720" height="336" alt="Conspiracy.Theory.(1997).avi_001152600.jpg" style="border:none;"></div><br><p></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이러한 공통점도 있지만<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물론 신화와 음모론은 극명한 차이가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신화는 인간의 상상으로부터 출발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모든 기원 신화가 그러하듯이<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그러나 음모론은 사실로부터 출발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영화 <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컨스피러시<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에는 음모론의 발생 과정을 드러내는 장면이 나온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우선 음모론자는 <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3</span>년 반 동안 여섯 번의 대지진이 일어난 사실과<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그때마다 우주선을 띄웠다는 사실을 포착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그리고 이 두 사건들의 관련을 확신한 뒤 음모를 상상해 낸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즉<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신화는 오로지 인간의 상상에 의해 시작되지만<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음모론은 사실을 그 출발점으로 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이 때문에 음모론은 신화와 구별되는 점을 한 가지 더 갖는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신화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일어나는 사건들의 이야기라면<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음모론은 특정한 시공간적 배경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그 배후를 다룬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그리고 절망적이지만 음모론 이야기에서 모든 사건의 배후는 악의적인 집단뿐이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프리메이슨<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음모론 속 미 정부는 모두 세계 지배나 비밀의 수호를 목적으로 대중을 세뇌하고 심지어 암살하는 집단이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이는 인간에게 호의적인 신을 다루기도 하는 신화와는 매우 큰 차이라고 할 수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br></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 </span>감히 처음 시도된 것이라고 자랑할 수 있는 이 음모론 이해는 결국 하나의 결론을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음모론 역시 인간의 상상력<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신화적 상상력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프리메이슨에 관한 이야기를 다시 조금만이라도 보면 금방 이 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인간은 <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7</span>번째 우주에까지 질기게 존재해온 프리메이슨을 상상해낸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마치 고대인들처럼 이런 엄청난 상상력은 방대한 이야기를 지금도 만들어내고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음모론은 내용도 스펙타클하고 양도 스펙타클한 것이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현대인들은 과학적인 것<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확실한 것을 믿지만 그런 것들과 대척점에 있는 것 같아 보이는 이야기를 아직도 상상할 수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사실 소설이나 영화에서도 그 상상력이 드러나나<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일반적으로 이것의 작자는 알려져 있으며 창작자는 허구를 만들어내는 것을 자각한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그러나 음모론은 작자 미상이며<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접하는 사람에게 이야기가 사실이라는 믿음을 불러일으킬 의도와 요소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p> <p>소설 같은 컨텐츠와는 다르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p> <p>즉<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소설과 영화 등과 다른 방식으로 인간의 신화적 상상력이 흘러나오며<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 </span>현대만의 특징적인 또 하나의 장이라고 음모론을 이해할 수 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span></p> <p><span lang="en-us" style="font-family:'돋움';letter-spacing:0pt;"><br></span></p> <p><font face="돋움">무어 긴 글 읽어주신 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font></p> <p><font face="돋움">미스테리 게시판이 어디 쓸모 있는 게시판이냐는 의문을 다소간 풀었기를 바랍니다.</font></p></div>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05/24 23:44:48  218.236.***.66  위드앤  4661
    [2] 2015/05/25 00:09:48  175.214.***.209  바나나니  147452
    [3] 2015/05/25 00:51:31  182.226.***.173  노력하는아이  13930
    [4] 2015/05/25 01:27:03  125.132.***.40  최와  168142
    [5] 2015/05/25 07:09:55  59.13.***.196  忍忍忍  523802
    [6] 2015/05/25 12:59:12  125.180.***.147  벼어어언태  627799
    [7] 2015/05/25 18:04:52  165.132.***.34  통닭실종사건  501972
    [8] 2015/05/25 20:00:52  219.249.***.47  노이탕  415514
    [9] 2015/05/25 21:22:41  1.238.***.92  Tool  120514
    [10] 2015/05/25 21:26:05  223.131.***.70  꽃냐옹  131742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현재 게시판의 베스트게시물입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70884
    렙틸리언의 실체 / Serving the dragon - #part 1 DR.J 15/06/01 14:25 13136 22
    1070161
    세계에서 가장 미스테리한 인물 TOP 10.jpg (2) [16] 펌글 노군 15/05/31 09:42 29302 47
    1070080
    렙틸리언의 실체 - 모습을 바꾸는 자들 DR.J 15/05/31 01:52 48158 36
    1070049
    아래 UFO 찍으신거 선회부분 확대 해봄 [16] 알사탕 15/05/31 00:48 12683 52
    1070011
    [베티 펌] 세계에서 가장 미스테리한 인물 TOP 10.jpg (1) [24] 펌글 노군 15/05/30 23:43 24454 76
    1069903
    UFO를 찍은것 같습니다. [45] 행성X 15/05/30 20:18 7304 54
    1069845
    구글어스에서 촬영된 달 표면을 걷는 듯한 현상 DR.J 15/05/30 19:17 16759 38
    1069386
    [BGM] 비행기까지 납치하게 만든, 파티마의 대예언 [11] 천왕동하루키 15/05/29 22:55 10506 59
    1068110
    미게를 이용하시는 분들께... [16] EddyK 15/05/27 21:18 3603 25
    1067839
    서울 하늘에 선명한 UFO 포착 외신에서도 언급? DR.J 15/05/27 13:10 16908 23
    1067826
    신에 대하여 [40] 창작글 베리치킨 15/05/27 12:30 12697 43
    음모론에 대해서(스압) [7] 창작글 NAfro 15/05/25 21:26 5989 20
    1066304
    Thrive(번영) [14] 웬리 15/05/25 08:23 7338 20
    1066086
    (정신의학 박사과정 수료자입니다.) 트라우마에 극복에 대하여 txt. [28] 팔비나타 15/05/24 22:07 7745 80/48
    1065740
    [신입주의],[음모론 극딜주의] 음모론의 내용은 어디까지가 진실일까? [24] 창작글 GoodChoi 15/05/24 11:31 7031 41
    1065505
    아타카마 사막 외계인 [27] 째군 15/05/23 22:50 17847 50
    1065457
    (주의!)싱가포르서 발 100개 달린 괴생명체 발견! 오싸~악 DR.J 15/05/23 21:50 20461 39
    1065275
    태양계의 진실 - 아폴로(Apollo) 20호 그들이 본것은? DR.J 15/05/23 16:21 21059 48
    1064950
    숨기고 있던 사실이 발각 되었을 때 자신도 모르게 동공지진 나는 이유 [16] 창작글 디자이너hj 15/05/23 01:15 14969 80
    1064484
    사상 최대의 전파납치 사건 [맥스 헤드룸(Max Headroom) 사건] [17] 창작글 빈믹 15/05/22 12:01 13191 58
    1064001
    우주 최대의 공허 [BGM] [31] 펌글 햄물 15/05/21 18:16 15672 65
    1063142
    [미스테리 사건] 괴담 김민지 살인사건 DR.J 15/05/20 14:01 21487 48
    1062630
    UFO [56] 버니츄 15/05/19 19:23 7992 73
    1062095
    [BGM] 러시아 숲속에 방치된 특고압 실험실 [26] 육근병장 15/05/18 23:38 21749 62
    1061831
    Undine [5] 용맹한병아리 15/05/18 18:47 8632 53
    1061708
    (스압주의) 네팔 쿠마리(Kumari) 시스템 : 엑박떠서 재업해요. [42] Endwind 15/05/18 16:28 25460 125
    1061552
    [BGM] 하치오지 편의점 총기 살인사건 (1995) [17] 육근병장 15/05/18 11:53 13046 54
    [◀이전10개]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