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humorbest_1046012
    작성자 : 健二
    추천 : 65
    조회수 : 22266
    IP : 110.11.***.85
    댓글 : 23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5/04/22 18:58:36
    원글작성시간 : 2015/04/22 11:31:41
    http://todayhumor.com/?humorbest_1046012 모바일
    [BGM] 러시아 최대 미스터리 퉁구스카 대폭발
    <div align="center"><embed height="180"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width="422" src="http://player.bgmstore.net/9dtp6"><br>    <a target="_blank" href="http://bgmstore.net/view/9dtp6" target="_blank">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9dtp6</a> </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1.pn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4/1429668036ucQhn9fjMBhW8DYe1bQyq47.png" width="550" height="281"></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span style="font-size:10pt;">1908년 6월 30일 오전 7시 17분, 러시아 시베리아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포트카멘나야 퉁구스카 강 유역 북위 60° 55′, 동경 101° 57′ 지점의 시베리아 삼림지대</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 </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이 지구 상에서 가장 접근이 어려운 지역이자 보기 드문 안전지대에서 벌어진 미증유의 사건</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 </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퉁구스카 대폭발(Tunguska Event or Tungska Blast or Tunguska Explosion)</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 </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당시 시베리아 중앙에 위치한 소규모 마을 니주네 카렐린스크에서 목격된 광경</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 </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서북쪽 하늘을 수직으로 낙하하는 파란 불빛이 보였다</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이윽고 하늘이 둘로 갈라지며 거대한 검은 구름이 피어올랐고</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 잠시 후 천지를 진동시키는 큰 소리로 인해 모두들 심판의 날이</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온 것으로 생각해 저마다 무릎을 꿇고 기도를 하기 시작했다"</strong></span></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2.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4/1429668103a3b2ykvn1fwebpTBx2km.jpg" width="320" height="376"></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08_01.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4/1429668253xdCkEP9iQ3lKZ8lzsO1w4gfue5R.jpg" width="740" height="487"></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08_02.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4/1429668256MaY8ablfevFYX8YhnvaR15DbFkNIsk.jpg" width="740" height="487"></div></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span style="font-size:10pt;"></span><span style="font-size:10pt;">한편 이 시각, 퉁구스카 대폭발로 인해 북반구의 다른 나라에서까지 포착된 기현상</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strong>"섬광으로 인해 한밤중임에도 런던의 사람들은 신문의 작은 글씨까지도</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볼 수 있을 정도였으며 스톡홀름에서는 새벽에 플래시 없이 사진을 찍었을 정도였다"</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 </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그렇게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폭의 750-1,000배 파괴력인 15-20</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메가톤에 </span><span style="font-size:10pt;">달하는 에너지 위력의 퉁구스카 대폭발이 남긴 것</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북반구의 다른 나라에까지 영향을 준 백야현상, 2,150제곱킬로미터 지역의 삼림 파괴(나무 8천만 그루),</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천오백 마리의 순록시체, 450km 떨어진 곳의 열차 전복, 사건 15km 떨어진 곳에서 방목되던</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가축 천오백 마리의 시체,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관측될 정도로 거대했던 폭발에 의해 생성된 검은 구름,</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그리고 1,500킬로미터나 떨어진 이르쿠츠크 지역의 가정집에서 폭발에 의한 지진으로 인해 깨진 유리창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3.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4/1429668128VV8GtxSsV1.jpg" width="530" height="398"></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span style="font-size:10pt;">러시아의, 아니 지구 상 최대 미스터리 중 하나인 퉁구스카 대폭발의 진실은?</span> </div> <div></div> <div><span style="font-size:10pt;">20세기 초, 러시아의 복잡한 내부 상황으로 인해 외부에 잘 알려지지 않다가 1921년에 와서야</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신생 소련의 종합과학정책의 일환으로 레오니드 크리크를 단장으로 한 조사단에 의해 실시된 정밀 조사</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그리고 이 지구 상에서 가장 접근이 어려운 지역의 폭발현장에 다다른 조사단의 눈에 들어온 광경,</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약 2,600제곱킬로미터나 되는 광활한 삼림지대에 모두 한 방향으로 쓰러져 있는 나무들</span>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width:741px;height:411px;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4.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4/1429668147Z9mcdzeMk1Sn.jpg"></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08_04.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4/1429668197Nv16jLctkrERBoNvaId5.jpg" width="740" height="418"></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08_05.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4/1429668203gHu4fzDxxBC7ZGgXXN38liwUPSB.jpg" width="740" height="501"></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08_06.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4/1429668206jAMvBNSvGHxLj2K.jpg" width="740" height="496"></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span style="font-size:10pt;">한편, 애초 퉁구스카 대폭발을 거대 운석의 충돌로 보았던 조사단이 전력을 기울였던 운석 조각 수색작업</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그러나 운석의 파편으로 인해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수많은</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구멍들은 물론 현장에서도 발견되지 않은 운석충돌의 증거물들</span></div> <div></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이에 대두하기 시작한 주장, 혜성 충돌설</span>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5.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4/1429668297C9g6vKHZ.jpg" width="320" height="435"></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10pt;"><strong>"혜성은 소행성보다 훨씬 속도가 빠르고 충돌 시 동일한 무게의 소행성보다도 더 큰 운동 에너지를 방출한다</strong></span>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그러므로 이 작은 크기로도 큰 소행성에 필적하는 충격을 주는 약 10만 톤의 질량에 60-100미터 규모의</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혜성이 지표에서 6-8킬로미터 상공에서 폭발하였기 때문에 어마어마한 충격에도 불구,</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운석이 떨어지며 생기는 쇳조각이나 암석 조각이 끝내 발견되지 않은 것이다</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아마 이 혜성은 대기 중의 먼지와 마찰하면서 가열하여 상공에서 폭발했을 것"</strong></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그러나 이같은 주장에 일어난 반론과 재반론들</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strong>"그러한 혜성이 지구에 도달하기 훨씬 전부터 천문학자들에게 발견되었어야 한다"</strong></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strong>"혜성이 태양 방향에서 날아오면 사실상 발견이 무척 어렵다"</strong></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strong>"그러나 전 세계의 어떠한 천문 관측소도 이러한 혜성을 관측했다는 보고가 없다"</strong></span> </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br><span style="font-size:10pt;"></span> </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한편 2008년 7월, 영국의 과학 잡지 '뉴 사이언티스트'를 통해</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발표된 '본 대학'의 물리학자 'Wolfgang Kundt'의 주장</span>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6.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4/1429668329caQbNAFQYqHF7qaxeUL.jpg" width="320" height="248"></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10pt;"><strong>"소행성이나 혜성이 퉁구스카 대폭발의 원인일 가능성은 지극히 낮다</strong></span>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아마 당시 지표에 깊게 쌓인 메탄을 상당수 포함한 가스 1,000만 톤이</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지상으로 분출하며 이같은 대폭발이 발생했을 것이며 이는 노르웨이 바다 해저</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700 평방 킬로미터에 달하는 균열인 'Blake Ridge'와 비슷한 예로 볼 수 있을 것이다"</strong></span></div> <div></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그리고 이밖에 이 지구 상 최대 미스터리를 둘러싸고 제기된 다양한 주장들과 반론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7.gif"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4/1429668353N8wl7HtlX39V4MXUxmjCNz.gif" width="320" height="216"></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10pt;"><strong>"초소형 블랙홀인 마이크로 블랙홀이 행성간 물질과 동일한 속도로 지구 대기에</strong></span>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돌입하면서 거대한 충격파를 만들어냈고 이 충격으로 인해 수목들이 쓰러지고</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공기가 이온화되어 섬광이 일어났으며 지진 또한 발생한 것이다</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또, 이 마이크로 블랙홀은 퉁구스카 대폭발에서 운석 충돌의</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흔적인 크레이터가 발견되지 않은 사실을 설명할 수 있다"</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 텍사스 대학의 A. A. 잭슨과 M. P. 라이언</strong></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strong>"초소형 블랙홀이 지구 대기에 돌입했다면 당연히 지구를 뚫고 반대쪽으로 나왔어야</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하는데 당시 아이슬란드와 뉴펀들랜드에는 어떠한 폭발도 보고된 바가 없다</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특히, 블랙홀의 충돌이 사실이라면 당연히 발생했어야 하는</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지구 심층으로부터의 충격파에 관한 기록도 물론 보고된 바가 없다"</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strong></span>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8.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4/1429668374DQ75QxQ4uPUeI7nQrQjdWltenRoDic.jpg" width="320" height="135"></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반물질로 만들어진 반암석이 대기권 안으로 진입하면서 지구의</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물질과 만나 감마선의 불기둥이 솟구치며 폭발이 일어났을 것이다</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이는 수소폭탄의 1,000배 위력에 달하는 반물질에 의한 폭발에도 섬광으로 인한</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화상만이 발생하고 버섯구름 없이 잔여물질 또한 존재하지 않는 이유가 설명된다"</strong></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strong>"하지만 반물질의 운석에 의한 폭발이라면 지구의 대기 안으로 낙하 시</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반암석인 운석이 붕괴될 동안 공기 중 탄소14의 양이 늘어나므로 폭발 이후</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수년간은 수목의 목질부에서 탄소14 함유량이 비정상적으로 많아야 한다</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그러나 퉁구스카 대폭발 1년 후인 1909년 실제로 측정한 결과 탄소14 함유량은</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반물질이 떨어졌을 시의 예상치에 7분의 1수준밖에 되지 않았다"</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 방사성탄소에 의한 연대측정법을 발견하며 노벨상을 수상한 미국의 화학자 한 F. 리비</strong></span> </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br><span style="font-size:10pt;"></span> </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이렇듯 퉁구스카 대폭발 둘러싸고 의견이 분분하자 1946년 러시아의 SF 작가</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Alexander Kazantsev'가 발표한 소설 '폭발'을 통해 소개된 내용</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9.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4/1429668398V9JQjeM94LFYGO.jpg" width="320" height="434"></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지구에 추락하게 된 핵물질을 원동력으로 하는 외계의 우주선에 의해 대폭발이 일어나게 된 것이다"</strong></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그러자 이러한 대중적인 흥미를 자아내는 주장이 인기를 끌게 되면서 톰스크 대학의 연구원을</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중심으로 결성된 종합 자주 탐험대 'KSE'가 현지에서 수차례 잔류 방사능의 측정을 감지한 결과</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strong>"이곳에서 핵폭발이 있었던 적은 없다"</strong></span>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 <div><br><span style="font-size:10pt;"></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span style="font-size:10pt;">한편, 학계에서조차 의견이 분분하자 대안으로 대중들에게 돌기 시작하는 음모론들</span> </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strong>"공식적인 첫 핵실험이 있기도 수십 년 전에 이미 비밀 핵실험이 이루어지고 있었다"</strong></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strong>"외계인들의 위협공격이었다"</strong></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strong>"지구를 없앨 정도의 운석충돌을 막기 위해 외계인들이 우주선을 이용해</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궤도를 수정시킨 뒤 상공에서 우주선과의 충돌로 지구를 구한 것이다"</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 </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 </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span style="font-size:10pt;">도대체 이 미증유의 폭발사건은 어떠한 진실을 감추고 있는 것일까?</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점차 증폭되는 퉁구스카 대폭발에 대한 확실한 원인 규명을 하기로 결심한 소련</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그리고 1929년 굴착한 탐사공에서 채취된 흙을 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 발견된 대기권을</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통과하는 도중 용해되어 운석에서 떨어져 나갔다가 재차 굳어서 생성된 작은 공 모양의 입자</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그렇게 입자 안에 포함된 산화철의 하나인 자철광의 발견으로 인해 열리게 되는 결론</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strong>"산화철인 자철광은 운석이 산소가 풍부한 대기 중에 용해될 때 생기는 전형적인 광물이다</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이외에 석질운서의 규소 광물로 형성된 것으로 보여지는 유리질의 구상 입자와 이것이</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혼합되어 생긴 구상 입자 등을 발견하면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최종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strong></span>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10.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4/1429668430m5Cvv7v2ps99F59.jpg" width="360" height="270"> <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11.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4/1429668434L6VeVn8aDuZfPE2fZxfTe.jpg" width="360" height="270"></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span style="font-size:10pt;">1908년 6월 30일, 궤도 상에서 소천체(행성보다 작은 천체로, 주로 태양계 내를</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공전하는 소행성과 왜행성, 혜성을 포함)와 우연하게 만나게 된 지구</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이 얼음과 금속, 규소 화합물이 섞인 반지름 40미터가량의 비교적 큰 규모의 소천체는</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초속 25-40킬로미터의 속도로 지구 대기에 돌입하였고 비록 대기를 통과하며 질량 대부분을</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잃지만, 퉁구스카 상공 약 8킬로미터 지점에서 폭발했을 때의 질량은 2-7만 톤 정도</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당시의 폭발 에너지 위력은 15-20 메가톤, 이는 히로시마에</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투하된 원폭의 750-1,000배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위력</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한편, 폭발 에너지의 대부분은 충격파가 되면서 주변의 산림을 쓰러뜨렸고</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폭발 지점 바로 아래는 충격파를 받는 단면적이 적어 오히려 나무들이 쓰러지지 않게 됨</span>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12.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4/14296684807MeFnaz8wb.jpg" width="675" height="450"></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10pt;">그리고 폭발로 인해 생긴 분진의 구름이 상층 대기에까지 올라간 덕분에 태양광의</span> <div><span style="font-size:10pt;">이상(異象, 비정상) 반사가 일어나며 시베리아는 물론 유럽지역에 폭넓게 백야현상을 야기시킨 것</span> </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br><span style="font-size:10pt;"></span> </div> <div><span style="font-size:10pt;">그렇다면 퉁구스카에서 대폭발을 일으킨 소천체의 정체는?</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NASA 에임즈 연구센터 차이버팀의 시뮬레이션 연구 결과</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 <div style="text-align:left;"><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13.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4/1429668505WP1B7zmU45I2JwSRX8K86mP4efhi82A.jpg" width="320" height="276"></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 </div><span style="font-size:10pt;"></span>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퉁구스카에서 대폭발을 일으킨 것은 석질 소행성이나 탄소질 소행성이었다</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현장에서 수집한 구상 입자에 포함된 이리듐이나 희유원소의 함유율이 석질운석과 일치함이 증거"</strong></span></div> <div></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그렇다면 이 소천체는 어디에서 왔을까?</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학자들에 따르면 태양을 중심으로 타원궤도를 돌고 있는 황소자리 유성군 복합체,</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즉 Taurid complex라는 소천체 무리가 매년 6월 말에서 7월 초 지구 궤도와 만나면서</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유성샤워가 쏟아지는데 그 가운데에서 유달리 질량이 큰 10만 톤 (밀도 3g/cm³) 규모의</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유성이 폭발할 때 소천체가 지구의 대기권을 통과하면서 초고온의 외부가</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결빙된 내부와 반응하면서 이같은 엄청난 폭발을 일으켰을 것</span></div> <div></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그리고 드러나는 놀라운 사실</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strong>"최근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소천체가 지구와 충돌하는</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빈도는 우리들의 생각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1977년부터 1994년 말까지 관측된 자료에 의하면 연평균 11.5개에</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달하며 특히 애리조나대학의 망원경에 의해 실시되고 있는</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스페이스 워치를 통한 자료에 따르면 0.02-0.08메가톤급의</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공중 폭발은 평균적으로 매달 한 번 정도 일어나고 있다"</strong></span></div> <div></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그리고, 소름 끼치는 사실</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strong>"시간과 궤도에 조금의 변경으로 인해 이 소천체가 러시아의 도심이나 독일,</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영국과 같은 북반구의 유럽에서 대폭발을 일으켰다면 당시 심화되기 시작한</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제국주의와 식민지, 세력권 넓히기 경쟁에 불이 붙었을 것이며 1914년 일어났던</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가장 끔찍한 전쟁인 1차 세계대전에 맞먹는 유혈 사태가 벌어졌을 것</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하지만 이보다도 일차적으로 이러한 대폭발이 도심 상공에서 일어났다면</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인류는 '심판의 날'이라는 말이 어울릴 정도의 재앙을 맛보게 되었을 것이다"</strong></span></div> <div><br><span style="font-size:10pt;"><strong>"지구 상에서 얼마 되지 않는 '안전지대'인 시베리아 삼림지대에서</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히로시마 원폭의 1,000배 위력에 달하는 대폭발이 있었던 것은 기적"</strong></span></div> <div></div> <div></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러시아의, 그리고 지구 상 최대 미스터리 중 하나이자 인류사의</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가장 끔찍한 재앙일 뻔 했던 퉁구스카 대폭발로 인한 사망자 및 중상자는 제로"</strong></span></div> <div><span style="font-size:10pt;"><strong></strong></span> </div> <div><span style="font-size:10pt;"><font color="#ff0000" size="4"><strong>                                                </strong></font></span> <div style="text-align:left;" align="left"><font color="#ff0000" size="4"><strong></strong></font> </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left"><font color="#ff0000" size="4"><strong>                                                 - 2008년 기사 -</strong></font></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제목 없음.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4/1429668719lI5JbIZcTsrazU.jpg" width="564" height="647"></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div></div></div></div></div></div></div></div> <div style="text-align:left;"><font color="#ff0000">                               <font size="4">이 두 자료를 보니 최근 2013년 러시아 운석 충돌 사건이 생각납니다</font></font><font color="#ff0000" size="4">  </font></div></div></div></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font size="4"> </font></div> <div>               <iframe style="width:683px;height:430px;"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s0wOxnquRrI?list=PLzo_iFqS6Q9GIdZqK-qoS_6A2YCZ1AP-C" frameborder="0" width="560"></iframe></div> <div> </div> <div class="t_txt"> </div> <div class="t_txt">현지시각 9시 20분(<span class="word_dic en">YEKT</span>, 예카테린부르크 시간), 동쪽 하늘에서 서쪽으로 가로지르는 화구(<span class="word_dic en">fireball</span>)가 나타났다. </div> <div class="t_txt">화구란 대기권에 진입해 눈에 확연히 보일 정도로 커다란 유성을 말한다. </div> <div class="t_txt">목격자들은 “하늘의 불덩이가 태양보다 밝았다”고 증언했다. </div> <div class="t_txt">유성이 이렇게 밝은 빛을 내는 까닭은 바로 플라스마 때문이다. </div> <div class="t_txt">초속 15<span class="word_dic en">km</span> 이상의 극초음속으로 대기와 충돌하는 유성 앞쪽에는 어마어마한 양의 공기가 압축된다.</div> <div class="t_txt">이때 공기는 약 5000~1만℃ 이상으로 가열되면서 플라스마 상태가 돼 밝은 빛을 방출한다. 태양의 표면온도가 약 6000℃다.</div> <div class="t_txt">하늘을 가로지른 화구는 대기권 진입 32.5초 후 지상으로부터 15~25<span class="word_dic en">km</span> 고도에서 폭발을 일으켰다. </div> <div class="t_txt">이 때 500<span class="word_dic en">kt</span>의 에너지가 방출됐다. </div> <div class="t_txt">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폭탄 33배에 이르는 위력에도 사상자가 발생하지 않은 까닭은 폭발한 고도가 매우 높았기 때문이다. </div> <div class="t_txt">1945년 히로시마에 떨어진 원자폭탄 ‘리틀보이’가 폭발한 높이는 지상에서 약 580m로 최대의 인명피해를 내기 위해 철저하게 계산한 고도였다.</div> <div class="t_txt">그렇다면 화구는 왜 공중에서 폭발을 일으킨 것일까. </div> <div class="t_txt"> </div> <div class="t_txt"><font color="#c0504d"><strong>최영준 천문연 선임연구원은 “마찰 때문에 발생한 열과, 화구 앞에서 응축된 공기가 만드는 충격파가 원인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strong></font></div> <div class="t_txt"><font color="#c0504d"><strong>앞서 설명했듯 떨어지는 유성은 마찰열 때문에 수천℃ 이상으로 가열된다. </strong></font></div> <div class="t_txt"><font color="#c0504d"><strong>만약 유성 내부에 가스가 존재하면 이 열은 가스를 팽창시켜 폭발시킬 수 있다. </strong></font></div> <div class="t_txt"><font color="#c0504d"><strong>또 극초음속으로 진행하는 유성의 앞부분에서 발생하는 충격파는 암석질의 유성을 산산조각낼 만큼 강력하다. </strong></font></div> <div class="t_txt"> </div> <div class="t_txt">15~25<span class="word_dic en">km</span> 고도에서 유성이 폭발하며 뿜어낸 충격파는 2분 57초 후 첼랴빈스크주에 도달해 3000여 채의 건물 유리창을 박살내고 벽을 허물었다.</div> <div class="t_txt"></div> <div> </div> <div> </div> <div> </div>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04/22 11:58:40  118.46.***.1  pongpongpong  396955
    [2] 2015/04/22 12:39:15  121.164.***.181  노동8호  74859
    [3] 2015/04/22 13:17:28  121.131.***.194  slowwalk  325502
    [4] 2015/04/22 14:17:28  221.150.***.82  narsil  329651
    [5] 2015/04/22 14:30:28  112.221.***.11  estal  209339
    [6] 2015/04/22 14:47:58  59.9.***.146  아서라  53607
    [7] 2015/04/22 16:15:01  220.75.***.90  MinE  162148
    [8] 2015/04/22 18:20:01  112.173.***.3  친구는오유뿐  195712
    [9] 2015/04/22 18:37:38  125.131.***.1  개돌이  134510
    [10] 2015/04/22 18:58:36  110.70.***.237  ericson  417960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현재 게시판의 베스트게시물입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0472
    냉전 중, 전 세계에서 50개의 핵폭탄을 잃어버렸다. [18] 대양거황 15/05/06 05:01 23771 56
    1049970
    [BGM/펌] 티라노 사우루스에 대해 퍼진 잘못된 정보 [53] 헨리죠지 15/05/04 18:41 19077 120
    1049820
    [펌] 가까이서 촬영한 토네이도 영상 [3] 헨리죠지 15/05/04 08:44 11925 24/11
    1049656
    [BGM/펌] 복원도가 수정된 고생물들 [31] 헨리죠지 15/05/03 19:16 27888 82
    1049481
    [펌] 폭포 구경갔다가 화산 폭발 [14] 헨리죠지 15/05/03 10:18 20741 63
    1047968
    일본 300미터에 걸쳐 10미터 융기 [18] 탱이z 15/04/28 19:47 21103 47
    1047286
    [BGM/약스압/펌] 토네이도들을 소개합니다. [9] 헨리죠지 15/04/26 18:19 12517 85
    1046464
    emdrive 근황 [32] 딸기밀큐 15/04/24 00:49 13820 60
    1046402
    바켓플레이어 님 말인데 [24] 근에서초조하 15/04/23 22:22 5589 14
    [BGM] 러시아 최대 미스터리 퉁구스카 대폭발 [23] 健二 15/04/22 18:58 22266 65
    1044904
    [BGM]태양계의 진실 - 토성의 의문점들 [13] 健二 15/04/19 19:22 18420 43
    1044783
    [BGM/펌] 후쿠시마 정화조 의문사 사건 [12] 헨리죠지 15/04/19 14:17 19534 84
    1044358
    [BGM/펌] 항성 에너지를 100% 활용하는 개념 - 다이슨 스피어 [15] 헨리죠지 15/04/18 21:04 10782 55
    1043982
    이상한 신문광고..... [16] 앨빈토플러 15/04/18 02:55 24608 47
    1043160
    음악으로 사람의 정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34] tcawc 15/04/16 10:36 14645 48
    1041259
    400년전 무덤에서 '소형 스위스 시계' 발견 [23] 닉반엑셀 15/04/12 02:18 30941 105
    [◀이전10개]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