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bestofbest_255567
    작성자 : PeaceofMind
    추천 : 117
    조회수 : 21111
    IP : 211.48.***.33
    댓글 : 70개
    베오베 등록시간 : 2016/07/21 00:24:09
    원글작성시간 : 2016/07/19 12:17:05
    http://todayhumor.com/?bestofbest_255567 모바일
    어떻게 보면 당연한, 어떻게 보면 무서운 부동산 월세 이야기
    <div><font size="3">선 3줄 요약</font></div> <div><font size="3">1. 미래 부동산은 월세, 그것도 지금보다 높은 월세 시장으로 유지될 확률이 높아요.</font></div> <div><font size="3">2. 젊은 여러분이나 우리 후손들은, 집이 없다면, 월세를 내고 사는게 당연하게 될거에요.</font></div> <div><font size="3">3. 그럼 당연히 서울에서 자가보유는 더욱더 불가능 해지겟죠.</font></div> <div><font size="3"></font> </div> <div><font size="3">안녕하세요. 여러분은 전세제도가 얼마나 임차인에게 유리한 제도인지 아시나요?</font></div> <div><font size="3"></font> </div> <div><font size="3">이 대화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전세제도가 얼마나 독특하고,</font></div> <div><font size="3">비경제적이며, 임차인에게 혜택인지를 아셔야 이해되는데 좀더</font></div> <div><font size="3">도움이 될것입니다.</font></div> <div><font size="3"></font> </div> <div><font size="3">먼저 간단하게 전세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볼게요.</font></div> <div><font size="3"></font> </div> <div><font size="3">"전세는 임차인에게 유리한 제도이다" 이 말에 동의를 안하실 수 있습니다.</font></div> <div><font size="3">하지만, 경제게 답게, 경제적으로 생각을 해보도록 해요.</font></div> <div><font size="3"></font> </div> <div><font size="3">여러분이 집주인이라고 생각을 해봅시다.</font></div> <div><font size="3">과거와 같은 자고 일어나면 부동산 가격이 상승해있는</font></div> <div><font size="3">마법과 같은 시기는 지났고, 새거였던 내 아파트는</font></div> <div><font size="3">시간이 갈수록 노후화는 되가서 내 아파트 가격은 떨어져가는데</font></div> <div><font size="3">전세를 넣다보니 손에 들어오는 소득은 없고..</font></div> <div> </div> <div><font size="3">반대로 전세임차인의 경우에는 2년동안 내 돈을 맡기고</font></div> <div><font size="3">2년이나 그 이상 거주 후에, 이론상, 건축물의 노후화 등으로 마음에 안들면</font></div> <div><font size="3">비슷한 가격으로 근처의 더욱더 새로운 아파트로 전세를 이전할 수 있습니다.</font></div> <div><font size="3"></font> </div> <div><font size="3">즉, 전세임차인은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주택의 모든 혜택을 누리면서</font></div> <div><font size="3">시간이 지날 수록 따라오는 노후화의 피해를 입지않으며, 그러한 혜택에 대해서는</font></div> <div><font size="3">거의 금액을 지불하지 않는 말도 안되는 위치에 놓여져 있습니다.</font></div> <div> </div> <div><font size="3">만약 이러한 이야기로 전세가 왜 임차인에 유리한지 이해가 안되신다면</font></div> <div><font size="3">그럼 위에 이야기를 잊으시고 이 사진을 보시기 바랍니다.</font></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560" height="323" alt="2.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7/14688962531f795d18a2a34bc793bfbfacaefb8171__mn138296__w560__h323__f57419__Ym201607.jpg" filesize="57419"></div> <div><font size="3">아파트에 따라서 전세, 반전세, 월세, 주택 구매로 인해서</font></div> <div><font size="3">발생하는 연 거주비용을 다루는 내용입니다.</font></div> <div> </div> <div><font size="3">"매매가 더 돈이 많이 들었으니 당연히 매매가 더 비싼거지 둘이 비슷한거 아니냐?"라고</font></div> <div><font size="3">생각하신다면 매매시는 저 금액에 대한 책임은 본인이 다 지지만,</font></div> <div><font size="3">전세의 경우에는 임대인이 금액에 대한 위험부담을 한다는 점에서</font></div> <div><font size="3">안전성의 차이가 크다는 점을 생각해 주시기 바랍니다.</font></div> <div><font size="3"></font> </div> <div><font size="3">이러한 자료외에도 전세 거주가 더욱더 유리하다는 자료들은 있는데</font></div> <div><font size="3">이번 주제는 그러한 이야기가 아니니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font></div> <div><font size="3"></font> </div> <div><font size="3">제가 전세를 다룬 이유는 '전세는 굉장히 임차인에게 유리하기에</font></div> <div><font size="3">전세가 줄어들고 월세가 늘어나는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라는 점을</font></div> <div><font size="3">보여드리기 위한 것입니다.</font></div> <div><font size="3"></font> </div> <div><font size="3">제가 이글을 쓰게 된 계기는 이 기사를 오늘 봤기 때문입니다.</font><img width="675" height="696" alt="1.pn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7/14688965805b1586c5e9cc46be8a7624987410b11b__mn138296__w675__h696__f127498__Ym201607.png" filesize="127498"></div> <div style="text-align:left;">-출처 : 조선일보 <a target="_blank" h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7/19/2016071900337.html" target="_blank">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7/19/2016071900337.html</a></div> <div><font size="3"></font> </div> <div><font size="3">정부가 이러한 정책을 하는 것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겟지만,</font></div> <div><font size="3">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font></div> <div> </div> <div><font size="3">1. 월세 신고에 대한 포상을 제공함으로써 월세 자신신고를 활성화하고</font></div> <div><font size="3">    그로 인해서 새로운 월세 시대에 맞춰서 월세 소득 세액 부과 시스템 구축</font></div> <div><font size="3">2.  월세 시장의 활성화 유도</font></div> <div> </div> <div> </div> <div><font size="3">이번에는 이러한 형태로 나왔지만, 이것외에도</font></div> <div><font size="3">정부의 월세 시장 활성화 정책은 너무나도 많고 다양하게</font></div> <div><font size="3">진행되었습니다.</font></div> <div><font size="3"></font> </div> <div><font size="3">이러한 정부의 월세 활성화 정책 덕분에 월세 시장은 매우</font></div> <div><font size="3">크게 상승을 하고 있습니다.</font></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509" height="451" alt="2.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7/1468896879e3d7fee9e9d84d70a828eb7339bf49f7__mn138296__w509__h451__f40589__Ym201607.jpg" filesize="40589"></div> <div><font size="3"></font> </div> <div><font size="3">그러기에 여기서도 월세 거주자분들도 계시겟고</font></div><font size="3"> </font> <div><font size="3">다들 월세 힘겨워 하실 수도 있습니다.</font></div><font size="3"> </font> <div><font size="3"> </font></div><font size="3"> </font> <div><font size="3">하지만 지금 한국의 월세는 저렴한 편이라면 믿으시겠습니까?</font></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800" height="655" class="chimg_photo" alt="1.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7/1468897005f26611a8a4a2401eab52a74639450886__mn138296__w1099__h900__f219269__Ym201607.jpg" filesize="219269"></div> <div><font size="3">imf의 집값 대비 집세의 비율입니다.</font></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800" height="659" class="chimg_photo" alt="2.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7/1468897480dce8123d79144665baf433f8aa93630c__mn138296__w1099__h905__f189959__Ym201607.jpg" filesize="189959"></div> <div><font size="3">IMF의 소득대비 집값 순위입니다.</font></div> <div><font size="3">한국의 순위가 월세는 체코보다 </font></div> <div><font size="3">집값은 루타니아보다 낮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font></div> <div><font size="3"></font> </div> <div><font size="3">이글의 목적은 집값이 아니니 집값은 넘어가고</font></div> <div><font size="3">이 두개의 수치로 저희가 확인 할 수 있는 것은</font></div> <div><font size="3"></font> </div> <div><font size="3">'한국의 월세가 더 오를 확률이 높다'라는 것입니다.</font></div> <div> </div> <div><font size="3">거기에 이 위에 있는 월세의 매서운 비중증가를 보면</font></div> <div><font size="3">더욱더 월세가 늘어날것이라고 보입니다.</font></div> <div><font size="3"></font> </div> <div><font size="3">"월세비중이 늘어나면 월세 공급이 늘어나니 월세가 낮아지는거 아닌가요?"라고</font></div> <div><font size="3">의문을 가지실지도 모르겟지만</font></div> <div><font size="3"></font> </div> <div><font size="3">그러한 요소들은 신축이 우후죽순처럼 들어서는</font></div> <div><font size="3">개발지역에는 적용이 가능하나,</font></div> <div><font size="3">대부분의 젊은이들이 사고 싶어하는 서울, 특히 강남 3구,와 같은 지역에는</font></div> <div><font size="3">일시적인 하락 후 빠른 회복 후 상승을 보여주는 것이 일반적입니다.</font></div> <div> </div> <div><font size="3">말도 안되는 월세시장에 대한 글은 오유에도 있죠?</font></div> <div><a target="_blank" href="http://m.todayhumor.co.kr/view.php?table=bestofbest&no=237370" target="_blank">http://m.todayhumor.co.kr/view.php?table=bestofbest&no=237370</a></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800" height="741" class="chimg_photo" alt="2.pn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7/146889805191de82f0a5c642908b8ce54f0166b478__mn138296__w1015__h940__f90749__Ym201607.png" filesize="90749"></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0" height="0" alt="3.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7/14688978724186c8c5b42247bc910bd47d9f0a5947__mn138296__w400__h300__f13526__Ym201607.jpg" filesize="13526"></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font size="3">저는 이렇게 월세 시장에 대해서 생각을 할때마다 소름이 돋습니다.</font></div> <div><font size="3"></font> </div> <div><font size="3">우리는 아직 전세에 익숙한 시대이다 보니</font></div> <div><font size="3">월세에 대한 근본적인 거부감을 가지고</font></div> <div><font size="3">그로 인해서 월세로의 전환이 더뎌 지지만</font></div> <div><font size="3"></font> </div> <div><font size="3">우리의 다음세대는 전혀 다른 이야기 입니다.</font></div> <div><font size="3">미국의 영화나 시트콤을 보면 큰방에 여러명이 </font></div> <div><font size="3">방을 쪼개서 함께 월세를 내면서 알콩달콩 살아가는 모습들을</font></div> <div><font size="3">보지만, 그것이 막상 우리의 삶이 된다면</font></div> <div><font size="3">월세를 내기 위해서 쫒기는 매우 무서운, 하지만 미래에 다가올,</font></div> <div><font size="3">모습입니다.</font></div> <div><img width="400" height="300" alt="3.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7/14688978810127fea9bb024f9b8f7b7da737bea5d8__mn138296__w400__h300__f13526__Ym201607.jpg" filesize="13526"></div> <div> </div> <div><font size="3"></font> </div> <div><font size="3">뭐 이 글을 통해서 "그러니 부동산을 사라" 혹은</font></div> <div><font size="3">"그러니 탈조선"(다른 곳은 왠만해선 월세더 비싸니깐 헛소리겟죠? ㅋㅋ)</font></div> <div><font size="3">이런 말을 하는게 아니고 </font></div> <div><font size="3"></font> </div> <div><font size="3">당연히 다가올 미래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font></div> <div><font size="3">뭐 이 글에 "아니 한국은 망해가서 중산층들이 사라지는데</font></div> <div><font size="3">어떻게 월세를 더 올리냐" 와 같이 반대를 하실 수 있습니다.</font></div> <div><font size="3"></font> </div> <div><font size="3">그건 개인의 생각차겠기죠.</font></div> <div><font size="3"></font> </div> <div><font size="3">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font></div><br><br><br><br><br><br><br><br>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6/07/19 12:36:03  114.199.***.44  smkii  111989
    [2] 2016/07/19 12:53:28  222.235.***.222  神秘的雨  611096
    [3] 2016/07/19 13:14:24  112.149.***.53  싸라있데이  404443
    [4] 2016/07/19 14:25:39  70.95.***.128  색시한범생  508401
    [5] 2016/07/19 16:18:24  1.212.***.237  미수몰빵  37519
    [6] 2016/07/19 17:16:12  174.21.***.9  dog  272523
    [7] 2016/07/19 17:27:21  39.7.***.123  LunarMaria  521194
    [8] 2016/07/19 18:37:15  58.150.***.254  오드월드  672380
    [9] 2016/07/19 18:41:01  175.223.***.6  샤바앙샤바앙  126126
    [10] 2016/07/19 19:11:32  219.249.***.44  뽀룹뽀룹  546772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현재 게시판의 베스트오브베스트 게시물입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58023
    [우병우 민정수석 스캔들]우 수석 차 없다더니…‘꽃보직’ 아들은 포르셰 [17] 계룡산곰돌이 16/07/28 16:25 13331 171
    257942
    전력 공급과잉 사회적 손실 '눈덩이' [36] 그눈빛사랑 16/07/28 10:45 16579 162
    257900
    여름철 성수기라고 마트 휴게소 사용을 중지시킴 [53] 펌글 아리에스 16/07/28 04:15 23760 195
    257834
    국가별 가정용 전기요금 누진세 비교... 한국은 11.7배 요금폭탄 [30] 칼리문 16/07/27 22:13 10618 181
    257787
    김종인, “담뱃세ㆍ흡연자 모두 늘어, 국민건강 담보로 세입 증대 ‘기만’ [34] 사닥호 16/07/27 19:38 9899 112
    257759
    왜 가정용 전기에만?…폭염보다 무서운 '누진제 폭탄' [64] 조용한시민 16/07/27 17:36 15077 333
    257523
    생존 위해 굶는 '최저임금'의 진실 [76] 계룡산곰돌이 16/07/26 20:52 21621 128
    257482
    삼성반도체 공장에서 죽은 사람들 [14] 0ophgf 16/07/26 17:59 19804 170
    257342
    현기차 등 대기업 노조를 귀족노조라고 부르고 싶은 분은 보세요 [190] 펌글 分福茶釜 16/07/26 07:58 19180 137
    257053
    요전 영국부자 글 보고 느낀건데 얘네들 논리는 다 똑같은 거 같네요 [25] 패왕티모 16/07/25 09:52 16038 141
    256988
    전업기부가로 변신한 수백억 자산가 대학생 [43] 펌글 오유용 16/07/25 03:11 17021 193
    256679
    자본주의를 대체할 만한게 없다. 그렇다면?? [14] 거대한까마귀 16/07/24 04:38 12656 128
    256346
    죽음의 생산직 파견업체.jpg [25] 0ophgf 16/07/22 22:20 20080 160
    255930
    '귀족노조'는 안되고 '귀족'은 괜찮나 [78] 창작글외부펌금지 ASterisKY 16/07/21 22:44 9020 156
    255678
    최저임금으로 정말 '최저생활' 가능할까? 확인해보니… [36] 계룡산곰돌이 16/07/21 11:38 18946 147
    255573
    [떠먹여주는 경제신문] 2016년 7월 18일 경제신문 쉽게 읽으세요~ [5] 창작글 dillis 16/07/21 00:40 6407 130
    어떻게 보면 당연한, 어떻게 보면 무서운 부동산 월세 이야기 [70] PeaceofMind 16/07/21 00:24 21111 117
    255239
    한국에게 주는 충고 [46] 펌글 동물의피 16/07/19 16:03 29592 186
    255220
    빈부격차에 대한 영국 다큐 "영국의 슈퍼 부자들"[스압주의] [43] 펌글 동물의피 16/07/19 14:43 22888 229
    255048
    이사짐 정리 도중 발견한 450만원 [26] 펌글 오유용 16/07/18 15:53 28698 329
    255006
    ‘개·돼지 발언’ 나향욱 월급 4월 931만원, 5월 926만원, 6월 [44] 펌글 열불 16/07/18 10:30 29698 217
    254865
    2017년 최저임금 시급 6470원 [63] 오늘자 16/07/17 16:19 25805 138
    254338
    매우 위험한 파견업체 생산직.JPG [33] 0ophgf 16/07/14 16:55 25471 162
    254265
    거리로 나선 소상공인들, 최저임금 인상 반대 결의 대회 [93] 조용한시민 16/07/14 10:24 20832 115
    253685
    사드로 미국이 원하는것 [69] 형아거긴앙돼~* 16/07/11 10:16 28919 241
    253668
    사기전문가들이 난무하는 해외선물 시장 [29] 샤인$ 16/07/11 06:59 27774 156
    253622
    [떠먹여주는 경제신문] 법인세, 우리는 속고 있다. [14] 창작글 dillis 16/07/10 22:38 10999 162
    [◀이전10개]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