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bestofbest_145348
    작성자 : 기발하군
    추천 : 567
    조회수 : 39802
    IP : 211.177.***.171
    댓글 : 26개
    베오베 등록시간 : 2014/01/21 23:43:37
    원글작성시간 : 2014/01/21 13:27:09
    http://todayhumor.com/?bestofbest_145348 모바일
    한국의 명인들이 뭉치면 나오는 결과는?
    <span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한국의 명인들 얘기다. 찰스 디킨스의 소설 '두 도시 이야기'를 굳이 떠올리지 않더라도.</span><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span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일정 오해균 명인은 평생을 공주인근에서 지내면서 나무조각에 바쳤다. 선우 박해도 명인은 귀금속에만 심혈을 기울였다. 두 명인은 모두 환갑을 넘겼다. 참고로, 오 명인과 박 명인은 함께 지낸적이 없다.</span><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span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언뜻 나무와 쇠는 서로 교류할 일이 없을 것 같다. 그런데 두 사람은 평생 주거니 받거니 작품으로 교류하는 '벗'이다. 두 명인이 협업하던 와중에 발견한 놀라운 결과물이 있다. 그건 바로 세계최고의 귀금속회사 티파니앤코도 두 사람의 합작풍을 따라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span><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span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몇년전, 박 명인은 백제금동향로를 그대로 재현하고 싶었다. 독창적 창작품만 고집하던 터라 조상들이 만든 것을 베끼고 싶은 생각은 별로 없었단다. 그럼에도 이 작품은 너무 완벽하고 아름다웠던터라 무조건, 한번은 만들어보고 싶었다. '내가 아니라면 동시대의 누구도, 어쩌면 앞으로도 영원히 만들 사람이 없겠다'는 아쉬움이다. 그런데 막상 뾰족한 방법이 없었다.</span><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span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일단 어떻게 생겼는지 꼼꼼히 따져봐야 하는데 거기서 문제가 생겼다. 궁여지책으로 미술 전공 대학생을 박물관에 보내 스케치를 해오라고 부탁했다. 며칠 걸려 만들어온 스케치 몇장을 받아든 박 명인은 '승산이 있다'고 생각을 굳혔다. 스케지를 오 명인에게 보냈다. 나무로 깎아달라는 부탁과 함께. 며칠후 오명인이 감쪽같이 깎아 나무로 만든 향로가 박명인 손에 들려졌다.</span><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img alt="기사이미지" src="http://imgnews.naver.net/image/031/2014/01/20/139020520012_1_172619_59_20140121095103.jpg" style="border: 0px; 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span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박 명인은 나무향로를 틀로 삼아 청동향로로 재탄생시켰다. 거기에 금물을 입혔다. 실제로 향을 넣어 태우면 은은하게 연기가 스며나오는 향로다. 쇠로 깎으려고 하면 불가능한 있이었다. 제아무리 정교하게 만든 나무향로일지라도 이것을 틀로 삼아 청동향로를 만들드는 것도 쉬운일은 아니다. 그게 나무든, 구리든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span><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img alt="기사이미지" src="http://imgnews.naver.net/image/031/2014/01/20/1390205533364_1_172653_59_20140121095103.jpg" style="border: 0px; 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span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오 명인은 나무를 재료로 직접 손으로 깎아 만드는 작업에 관해서는 그 누구도 따라하기 힘든 재주를 지닌 인물이다. 대표작 하나만 들자. '12투공유환각주'라는 게 있다.</span><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img alt="기사이미지" src="http://imgnews.naver.net/image/031/2014/01/20/1390206100372_1_172751_59_20140121095103.jpg" style="border: 0px; 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span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지름 10cm 목환안에 자그마치 11개의 나무공이 들어있다. 나무공들은 각각 자유자재로 돌아간다. 그 공들엔 똑같은 정교한 조각들이 들어있다. </span><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span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박 명인은 오직 금과 은으로 작품을 만든다. 금 38kg으로 만든 거북선, 은으로 만든 이순신, 1m짜리 은 봉황, 독수리를 본다면 그냥 금속공예를 오랫동안 하다보니 나온 결과물로 치부하긴 힘들다. 작품 하나 하나 들여다보면 깃털 하나까지 꿈틀거릴 정도로 정교하다. 보는 이들로 하여금 탄성을 토해내게 만든다.</span><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img alt="기사이미지" src="http://imgnews.naver.net/image/031/2014/01/20/1390206154548_1_172859_59_20140121095103.jpg" style="border: 0px; 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span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은 독수리 하나만 보자. 가느다란 은선 2개를 꼬아 하나의 은선으로 만들고, 이를 연결해 깃털을 만드는 세선기법을 테마로 완성한 작품이다. 가느다란 실선을 뭉쳐 꼬리에서부터 머리카락, 속눈썹까지 몸 전체를 만들었다.</span><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img alt="기사이미지" src="http://imgnews.naver.net/image/031/2014/01/20/1390206189632_1_172945_59_20140121095103.jpg" style="border: 0px; 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span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머리와 부리는 금으로 장식해 신비로움을 더했다. 무려 8년의 세월이 걸렸다. 마지막 상당기간 디테일에 시간이 더 들었다.</span><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span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어차피 없었던 것을 만드는데, 대충 하지, 뭐 그렇게 노력과 시간을 들일 필요가 있을까.' 그건 평범한 사람들의 생각이다. 아니, 해보지 않은 사람들의 생각일 뿐이다.</span><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span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최근 두 명인은 새로운 협업을 시작했다. 세상에 없는 작품을 만들어보기로 했다. 나무와 금속이 유기적으로 녹아들어간 상품이다. 그저 보기좋기만 한 것을 넘어 두고 두고 쓸 수 있는 실용성까지 갖춘 그 어떤 것이다.</span><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span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몇가지로 좁혀졌다. 앞서 향로 다음으로 빗이다. 오해균 명인이 나무빗을 조각했다. 어떻게 조각을 했는지,3D프린터 같은 것으로 흉내를 없을 정도로 화려하고 정교한 나무빗이 만들어 졌다. 실용성을 놓칠 수 없었다. 빗살부분은 두피관리 명품빗 미소빗을 차용했다.</span><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img alt="기사이미지" src="http://imgnews.naver.net/image/031/2014/01/20/1390205574248_1_173101_59_20140121095103.jpg" style="border: 0px; 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span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나무빗이 박 명인에게 보내졌다. 며칠후 순은빗이 탄생했다. 눈이 호강한다 싶을 정도로 아름답다. 두피를 마사지해봤더니 부드럽고 시원하다. 잘 만든 나무빗은 1000년까지 쓴다고 한다. 잘 만든 은빗은 영원히 쓸 수 있는 물건이다. 대를 물려 쓰다가 박물관에 영원히 전시될 만한 빗이 탄생한 셈이다. 희소성을 간직하기 위해 한번에 몇십개씩만 만드는 '한정판'이다.</span><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img alt="기사이미지" src="http://imgnews.naver.net/image/031/2014/01/20/1390205604807_1_173645_59_20140121095103.jpg" style="border: 0px; 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span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세상엔, 나무이거나 통째로 은, 또는 플래스틱, 한가지 재료로 된 빗밖에 없다. 나무나 은만으로도 안되는 더 완벽한 빗을 만들참이다. 바로 나무와 은을 합친빗이다.</span><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span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푸근한 느낌이 드는 나무 손잡이에, 머리가 시원한 은빗살로 된 빗이다. 나무와 은으로 된 빗은 기능성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두피는 시원하면서, 빗질을 하는 손에는 무리가 가지 않는다.</span><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span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충북 제천의 이택서 명인(나무)이 힘을 더했다. 그런데도 꼬박 반년 넘게 걸렸다. 은 빗살 문제가 해결되면, 멀쩡했던 나무가 또다시 말썽을 피우곤 했다. 결국 얼마전 나무와 은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킨 합친빗이 나왔다.</span><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img alt="기사이미지" src="http://imgnews.naver.net/image/031/2014/01/20/1390205918458_1_173744_59_20140121095103.jpg" style="border: 0px; 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span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명인들은 "할 수 있는자, 한 번 해보라"고 입을 모은다. 자신의 영역만 고집하기를 포기하고 협업한다면 티파니를 능가하는 명품을 만들어 낼 수 있단다.</span><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span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최근 오,박, 이 세 명인이 주축이 되고 황동구(자기), 조준석(전통악기), 안해표(꽃신) 등 전국 방방곡곡의 명인들이 협업을 시작했다. 전통공예 명인들의 귀한 작품들은 '명인의얼'(</span><a target="_blank" href="http://www.earl.co.kr/" style="color: #6e4987; text-decoration: none; word-break: break-all;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www.earl.co.kr</a><span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에서 감상할 수 있다.</span><br style="color: #2f2f2f;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7px; line-height: 27px" />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4/01/21 13:35:20  218.159.***.132  마땅  500995
    [2] 2014/01/21 14:12:23  222.120.***.80  진홍의레퀴엠  397127
    [3] 2014/01/21 16:16:00  39.116.***.61  노엘진리  194529
    [4] 2014/01/21 18:44:25  58.125.***.19  미분기하학  500955
    [5] 2014/01/21 18:52:50  182.211.***.7  sonatural  401295
    [6] 2014/01/21 19:09:52  39.118.***.4  Sherlock.H  442661
    [7] 2014/01/21 19:17:58  211.219.***.156  희락  216715
    [8] 2014/01/21 20:05:47  61.99.***.12  CPD3  328903
    [9] 2014/01/21 21:49:44  121.190.***.78  똥만드는기계  429979
    [10] 2014/01/21 22:58:12  39.121.***.118  ㅎㅋㅎㅌㅌ  516432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현재 게시판의 베스트오브베스트 게시물입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3160
    [bgm] 어떤 문화권에서나 사랑은 성별에 관계없이 모두 아름답습니다 [62] 마치나처럼 14/03/14 22:55 30247 496
    153135
    원빈을 그려봤습니다.(볼펜화 완성작!) [87] 노멀이오리 14/03/14 19:27 34395 437
    153111
    미술학원 근무중에 학생한테 욕먹은 썰.. 레몬튀김 14/03/14 15:26 39469 362
    153032
    어머니가 그린 그림.. [83] 턱이두개 14/03/13 21:50 32583 602
    152929
    아내가 그린 작품 몇 개 올려 봅니다. [40] Unibus 14/03/12 23:30 32388 443
    152731
    예전 무한도전 타이포 그려서 베오베갔던 사람입니다. 내꿈은호카게 14/03/11 13:31 26771 300
    152405
    그림의 기술 [42] 돌돌이네 14/03/08 22:22 43642 537
    151541
    [스압] 그간 작업물들 올려봅니다 ~ [53] happykwak 14/03/02 09:21 17300 351
    151483
    제 동화책이 출판됐어요. 그리고 책 나눔! [129] 웨지감자 14/03/01 20:43 21203 385
    151186
    예술 테러리스트 jpg [31] 남성수술고자 14/02/27 18:42 38709 557
    151139
    (약스압) 옛날 독일의 책커버 디자인.JPG [18] 시나링고 14/02/27 13:58 31024 294
    150956
    뒤늦게 그림으로 먹고 살아보려 합니다. 조언부탁드립니다. [92] 페페 14/02/26 12:21 30863 359
    150511
    동양화로 김연아 그렸어요! [37] 농몽 14/02/23 16:39 36443 620
    150293
    왜 그림그리다보면 캐릭터 표정을 따라한다고 하잖아요 [24] 물ㅠ물좀줘 14/02/22 12:47 26990 326
    149557
    스토리 일러스트 '그네' [40] 5ri5ri 14/02/19 05:27 24273 351
    149265
    19세기 미국화가가 그린 일본 [31] 오리엉덩짝 14/02/17 14:59 59182 436
    149104
    [BGM] 조각가의 스케치 [16] 초고교급행운 14/02/16 15:21 29204 395
    149054
    셜록 베네딕트 수채화로 그려봤어요! [37] 타디스걸 14/02/16 09:41 23328 383
    148375
    [자작]서울에서 일어난 일들 [42] 돌돌이네 14/02/12 12:39 20614 402
    147426
    그림 존나 잘그리는척 할수 있는 방법[BGM] [102] 동물의피 14/02/05 17:51 49168 496
    146508
    [자작]엘사 그리기 10단계 [67] 돌돌이네 14/01/29 22:04 42807 601
    146263
    너구리 엘사.jpg [29] 락훈쵸 14/01/28 10:29 31937 352
    145534
    페인터 초상화 몇 장 [87] 돌돌이네 14/01/23 09:37 27125 596
    한국의 명인들이 뭉치면 나오는 결과는? [26] 기발하군 14/01/21 23:43 39802 567
    145334
    [BGM][이미지]새로운 기법의 몽환적이고 아름다운 일러스트 [36] 하는데 14/01/21 21:59 28983 349
    145199
    지금까지 작업했던 한지조명 작업사진 올립니다. [144] 근육비버 14/01/20 21:22 25060 769
    145084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1502년에 그린 지도와 현지도 비교 [42] BilboFaggins 14/01/20 00:41 41370 297
    [◀이전10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