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history_27747
    작성자 : 아나리온
    추천 : 10
    조회수 : 1106
    IP : 110.15.***.45
    댓글 : 4개
    등록시간 : 2017/03/23 20:34:24
    http://todayhumor.com/?history_27747 모바일
    고려 시대 과렴에 대한 고찰. 그리고 한국의 경제체제.
    옵션
    • 펌글
    <span style="font-size:12pt;"><strong>과렴</strong>(</span><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科</span><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斂)은 고려시대 만들어진 임시 세금을 칭하는 말입니다.  그냥 그때 그때 명목을 붙여 걷는 세</span></font><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금이죠. 여기까진 별 문제가 없는데 특이한 점이 하나 있습니다.</span></font>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바로 그 수취 대상이 일반 백성이 아니라 <strong>관료</strong>들이었다는 겁니다. </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엉? 국가가 관료에게 월급을 주진 못할망정 돈을 뜯어? 미친거 아냐?"</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라고 생각하실 겁니다. 근데 여기엔 피치못할 이유가 있습니다.</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때는 여몽전쟁이 끝나고....</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오랜 전쟁의 후유증으로 고려의 농토란 농토는 싸그리 작살나고 백성들은 몽고로 끌려가거나 집을 잃고 대다수 유민이 되었습니다. 그 결과 전주전객제가 붕괴되어 고려는 망했습니다...... 라고 말 하면 어렵죠? </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쉽게 말씀드릴게요.</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고려의 세금제도는 기본적으로 <strong>국가의 땅과</strong>, 그 땅에서 농사짓는 <strong>농민</strong>, 그 농민이 수확한 것을 일부를 가져갈 수 있는 합법적 권리를 부여받은 <strong>관리(수조권자)</strong>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span style="font-size:10pt;">(물론 지주전호제가 형태가 없진 않았지만 이 당시 그런 형태는 적었고 그 이야기를 하려면 너무 길어지니 패스 할게요.)</span></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근데 오랜 전쟁으로 농사를 지을 만한 농토가 사라지고, 농사를 지을 농민 마저 부족한 지경에 이르자 고려의 세수체계는 박살이 나 버린겁니다!  </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그러자 고려의 지배층은 한가지 묘책을 발휘합니다. <strong>그건 바로 국가의 땅을 뭉텅어리 째 각 지주(관료)들에게 넘겨 버린겁니다. </strong> 그리고 지주들은 그 땅에 사는 인력을 동원하여 개간작업을 진행하게 하고 그 과정에서 얻어들이는 수확물 <span style="font-size:12pt;">일부</span><span style="font-size:10pt;">(일부 라고는 쓰지만 정확한 통계가 부족합니다.)</span><span style="font-size:12pt;">를 본인이 챙깁니다.</span></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여기서 자신의 관할 구역 안의 농민이 지주에게 예속된 상태인지(즉 노예) 아니면 자유인 인지에 대한 논의는 아직도 학계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만, 법적으론 자유인이지만 국가행정이 마비된 상태에서 지주의 명령은 뭐....그냥 하늘의 뜻이죠.</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strong>즉, 국가차원에서 개간작업을 진행할 능력이 없으니 그 짐을 지주들에게 떠넘겨 버린겁니다!!</strong></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4pt;">그리고 고려는 살아남았습니다. 읭?</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4pt;">그리고 망했습니다. 읭?</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자, 고등교육까지 받으신 분들이라면 소위 원 간섭기의 고려의 정치는 </span></font><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부원세력과 국왕 측근세력, 그리고 신흥사대부 뭐 이런 사람들이 개싸움을 벌였다고 배웠을 겁니다. 물론 최근 학계에서 절렬히 비판받고 있지만요.</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자 그럼 왕 누구한테 땅을 줄까요?</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자신한테 잘 보이는 놈, 또는 자신이 잘 보여야 하는 놈. 둘 중 하나입니다.</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그럼 위에서 말한 세력들은 어떤 유형일까요?</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정답은 전부 다 입니다.</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여몽전쟁 이후 고려는 <strong>행정력의 회복과 세수확보</strong>. 이 두개의 난제에 부딪힙니다.  </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그리고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잘 보이는 놈과 잘 보여야 되는 놈들에게 땅을 뭉텅어리째 줘버립니다. 이들은 표면적으로는 자신에게 땅을 준 국왕에게 충성을 맹세했고, 때문에 행정력은 회복됩니다. </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 </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그럼 세금은요?</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고려는 더 이상 농민에게 세금을 걷지 않습니다<span style="font-size:9pt;">(아 물론 걷긴 하죠. 근데 그 금액이 너무 적어요)</span></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그럼 누구한테 걷느냐... 바로 땅을 준놈들한테 걷습니다. 근데 이게 합법인가요? 당연히 합법이 아니죠. 비정상적인 현상입니다!!<span style="font-size:9pt;"> (얼마나 비정상이냐면 후대에는 지방 관아의 관리가 지주에게 월급을 받기도 합니다. 미친거죠. )</span>때문에 정상적인 세금 명목으론 걷을 수가 없습니다.</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strong>그래서 바로 이들한테 "과렴"이라는 임시 세금을 걷는 겁니다.</strong></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그 결과 고려는 한 숨 돌리는 데 성공합니다. 원 간섭기 충자 돌림의 왕들이 무수히 집권하면서도, 그리고 민초의 삶이 그렇게 개판이어도 고려라는 체제가 살아남은 이유가 바로 이것입니다. 기득권 세력은 국가의 가장 중요한 세원이 되어버렸고, 국왕은 그들의 보호자였죠.</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아, 물론 소위 <strong>신진사대부</strong>라고 해서 이러한 기득권 세력을 비판 하는 세력이 고려말에 등장합니다.</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그래서 왕은 이들에게도</span></font><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span></font> </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strong>땅을 줍니다.</strong></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span></font> </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span></font> </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네? 왜냐구요? 위에서 설명드렸죠? 왕은 잘보이거나 잘 보여야 하는  놈에게 땅을 줬다고요.</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왕에게 있어 신흥사대부들은 전 왕의 측근세력이나 부원세력들을 견제하기 위해 필요한 존재들이었거든요. <strong>균형과 견제. 권력의 핵심입니다.</strong></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그래서 왕은 이들에게도 땅을 줍니다. 때문에 마치 권문세족이 악의 세력이고 신흥사대부가 선의 세력인 것 처럼 묘사한 현재 학설이 학계에서 통렬한 비판을 받고 있는 겁니다. <strong>다 같이 수탈했거든요.  참 사이좋게 말이죠.</strong></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strong></strong></span></font><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 </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모든 기득권 세력이 다 수탈하진 않았을 거라고요? 다시 말합니다. <strong>국가권력이 마비된 상태에요. 월급이 안 나온다고요!!!</strong> 그럼 어떻게 해요? 굶어 죽기 싫으면 농장 주인이 되서 먹고 살아야죠. </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황금보기를 돌같이 하는 최영도 농장주였습니다. </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더군다나 농장주가 되는 것 자체가 비합법적 상황인데 농장주인이 농민들에게 걷는 세금의 양이 정해져 있을까요? 농민들이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을까요? <strong>모든것이 비정상적 상황인데 바로 그것이 정상으로 취급받는 세상. 그게 고려 말기 상황입니다.</strong></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게다가 대다수의 농장주들은 다른 가문과의 결혼이나 정치적 음모 등등을 통해 자신의 농장을 불려나갑니다. 그러다 보니 고려말이 되면 정작 고려 정부의 땅보다 농장주들의 땅이 더 많아지는 거죠. 그럼 안그래도 안 걷히는 정상적인 세금이 걷힐까요? 안 걷힙니다.</span></font></div> <div><br></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 size="3"></font> </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 size="3">그럼 왕은 이런 악순환을 몰랐을까요? 바보천치가 아닌 이상 몰랐을 리가 있나요. 당연히 알았죠. 그럼 왜 그랬을까요? 일신의 권력? 뭐 그것도 작용하겠죠. 하지만 더 큰 이유가 있었습니다. 바로 그건 <strong>고려 체제의 존속 때문이었습니다.</strong> 고려 말 원간섭기 고려 국왕은 자신의 장인어른인 원 황제나 자신의 왕비, 또는 측근 세력의 비호가 없다면 목숨조차 위험했던 존재였거든요.</font></div> <div><br></div> <div><span style="font-size:12pt;">이게 꼭 나쁜 의미는 아닙니다. 뭔 소리냐, 만약 고려라는 나라가 멸명했거나 붕괴했다고 생각해보세요. 그건 </span><strong><span style="font-size:12pt;">최소한의 사회안전보장망의 붕괴를 의미하는 겁니다. 즉 다 같이 죽는 거죠.</span></strong><span style="font-size:12pt;"> 원 간섭기 수많은 개혁운동이 있었지만 이 체제붕괴의 두려움 앞에 무릎을 꿇습니다.</span></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span></font> <div><br></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이런 반론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                            "아무리 그래도 개간이 진행되고 인구도 불어나면 자영농이 생길수 있지 않나요?"</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네 정상적이었다면 그럴 수 있죠. 문제는 고려 말기는 역대급 지옥이었다는 겁니다.  <strong>부원세력의 요청에 따른 원의 침입, 나하추, 홍건적의 침입, 왜구의 침입, 여진족의 침입</strong> 이 뿐만이게요?</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아까 위에서 받은 땅의 인력도 지주가 가진다는 말씀드렸죠? 자 이들을 무장시키면 뭐가 될까요?</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뭐긴요. <strong>사병</strong>이죠.</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네. <strong>내란</strong>도 추가되는 겁니다.  여말선초 사병들이 난립한건 여기서 비롯된거죠.</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개혁을 해야한다고요? 꿈도 못꿉니다. 왜냐구요?</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당장 고려의 자영농은 사라진 상태. <strong>고려의 최대 세원은 대규모 농장을 가진 관료들입니다.</strong></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strong>개혁을 하자면 이들에게서 땅을 빼앗아야 하는데,  누가 뺏을 수 있을까요? 게다가 만약 개혁이 실패하면? 그 순간 고려는 멸망하는 겁니다!</strong></span></font></div> <div><br>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span></font> <div> </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물론 이런 시궁창 같은 상황에서도 미래를 꿈꾼 사람이 있었습니다.</span></font></div> <div> </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 size="3"></font>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font> <div> </div><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 </span>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width:399px;height:599px;" alt="http___pub_chosun_com_up_fd_wc_news_2014-02_bimg_org_%25EC%25A0%2595%25EB%258F%2584%25EC%25A0%2584%2520%25EC%2598%2581%25EC%25A0%2595.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3/1490269038d85528ac009d412b8efd3f905c5591d9__mn612533__w947__h1440__f244354__Ym201703.jpg"><img width="367" height="599" style="border:;" alt="http___upload_wikimedia_org_wikipedia_commons_thumb_9_96_Goryeo-Portrait_of_Jeong_Mongju-02_jpg_367px-Goryeo-Portrait_of_Jeong_Mongju-02.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3/149026903995dc3f7100f94d8e86cb67946f4ed50d__mn612533__w367__h599__f40855__Ym201703.jpg"></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span></font><div style="text-align:left;"> </div><br> <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strong>삼봉 정도전과 포은 정몽주</strong></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소위 온건개혁이나 급진 개혁이냐 이 두가지 잣대로 이 두 위인을 평가하는데,</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실상 이 두 사람의 개혁의 방향은 같았습니다. 그건 바로 <strong>진정한 민본주의의 실현.</strong></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두 사람모두 진정한 민본이 성립되려면 <strong>국가행정력의 회복이 최우선이라고 봤습니다.</strong> 그리고 그 시발탄이 바로 <strong>과전법</strong>이죠. 과전법은 그 법 자체로 보자면 별로 개혁적인 성격이 보이지 않습니다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숨은 의의가 보입니다.  바로 국가재정의 회복과 그로 인한 행정력 재고.</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정확히 말하자면 정도전은 건물을 때려 부수고 새로 짓자는 거였고 정몽주는 거의 새로 짓는 것처럼 리모델링 하자 였는데 당대기준으로는 두 사람모두 그게 그거였습니다.</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아무튼 승리한 정도전은 자신의 이상, 민본을 실현하기위한 치밀한 행정력을 가진 국가를 설계했고</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그게 바로 조선입니다. 조선의 미칠듯한 행정력은 바로 여기서 나온겁니다.</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span></font> </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제가 제목을 <고려 시대 과렴에 대한 고찰. 그리고 한국의 경제체제.>로 잡았죠.</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쓸데없이 긴 제목인데 더 줄일 방법을 못 찾았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각설하고 저는 작금의 한국 경제체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가 고려 말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전후 급속한 경제력 회복을 위한 대기업 중심의 육성. 그것이 단기적으로는 성공했을 지는 몰라도</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현재에 와선 한국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죠. 문제는 개혁을 하기에는 리스크가 너무 크다는 겁니다.</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당장 대기업도이 주 세원인데 반해 대기업도 경제적으로 힘든 상황이거든요.</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JTBC 썰전에서 전원책 변호사님이 대기업 법인세 이야기만 나오면 입에 침을 튀기시는 것도 비슷한 맥락입니다.  <strong>썩은 기둥이라도 기둥은 기둥이라는 거죠.</strong></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span></font> </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개혁과 보수.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부분입니다. 이래서 제가 역사를 좋아합니다.</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이상 글을 마칩니다. 부족하고 오타 많은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br></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span></font> </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span></font><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span></font></div> <div><font face="Microsoft JhengHei"><span class="word_dic hj" style="font-size:12pt;">위글은 네이버 카페에서 본인이 쓴글을 가져온 겁니다.</span></font></div><br><br>
    출처 http://cafe.naver.com/booheong/147325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7/03/24 01:53:31  104.39.***.19  외계인.  603293
    [2] 2017/03/24 11:18:48  152.99.***.77  흥해라!  332445
    [3] 2017/03/24 12:12:23  173.245.***.244  토츠카  575898
    [4] 2017/03/24 14:24:23  112.148.***.234  자유철학  397099
    [5] 2017/03/25 02:15:50  182.221.***.123  푸쉬킨  279646
    [6] 2017/03/26 00:29:06  211.54.***.152  이스투아르  493912
    [7] 2017/03/26 08:59:14  210.183.***.238  세정이  184900
    [8] 2017/03/26 09:57:16  119.71.***.10  토마스반  743935
    [9] 2017/04/09 22:50:40  1.239.***.53  샤하르  716606
    [10] 2017/04/19 11:05:39  123.200.***.24  真島吾朗  740716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베스트예감
    현재 게시판의 최근 200개의 게시물 중 추천수 5 이상의 게시물 추천수가 높은 순으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7903
    세계 역사지도 1200년을 완성했습니다. [24] 역사광황 17/04/19 15:39 933 13
    27906
    친일파의 아들 [17] RedPain 17/04/20 08:45 1498 13
    27813
    정조대왕 8세시절에 쓴 한글편지.jpg [19] 좋은연인 17/04/05 12:50 1211 13
    27865
    (28) 제갈량이 기를 쓰고 북벌을 감행한 이유 [18] 달미o청과 17/04/11 09:48 2585 13
    27912
    한국사 5대 헬게이트.jpg [18] 펌글 GM게임마스터 17/04/21 14:01 2428 12
    27879
    한국전쟁 발발 직후 일어난 일들... [30] 찐한흑맥주 17/04/13 15:14 2219 12
    27787
    무료로 보는 4대 성인사이트 [9] 음메송아지 17/04/01 09:22 1893 12
    27872
    몽골의 눈물 . jpg [15] 좋은연인 17/04/12 14:38 2287 12
    27800
    1954년 부산 송도 해수욕장 .jpg [8] 좋은연인 17/04/03 12:36 1728 11
    27817
    임진왜란때 조선이 털린 이유 [74] yhpdoit 17/04/05 19:42 2327 11
    27841
    이번 논란은 3자의 입장에서 보자면 [9] 미완성면상 17/04/08 21:34 567 11
    27750
    황희 정승의 파면 이유 [35] 눈물한스푼 17/03/25 11:06 4035 10
    27917
    조선왕조실록 레전드 [2] 펌글 히비키 17/04/22 14:27 2607 10
    27884
    타이타닉호를 구조한 여객선 카파시아호의 선장 [15] 추종자 17/04/14 22:22 1320 10
    27936
    나치에 대항한 뮌헨대 백장미단, 그 중 유일한 여성 단원, 소피 숄 [12] RedPain 17/04/27 10:19 1107 10
    고려 시대 과렴에 대한 고찰. 그리고 한국의 경제체제. [4] 펌글 아나리온 17/03/23 20:34 1107 10
    27759
    일본의 2012년 헌법개정안: 원래 국민에게 주권이 있는 것이 이상하다 [7] mooni 17/03/27 01:02 1701 10
    27777
    전세계의 유례없는 민주주의를 이룩한 국가 부탄 [2] 하리토 17/03/30 19:04 1300 10
    27804
    환빠 새X들은 진짜 답이 없네요. [기사첨부] [13] 자이복스 17/04/04 12:38 1211 10
    27814
    (혐오사진 有)2차 대전 기간 동안의 세르비아인 학살 [1] 역둔토 17/04/05 14:19 1806 10
    27821
    실전에서 조선시대 수군 함재 화포의 사거리 규정 [7] 펌글 토츠카 17/04/06 22:02 783 10
    27829
    대포에 강선이 새겨지고 작렬탄이 적극적으로 쓰이기 전까지 [3] 창작글 Noble6 17/04/07 16:41 579 10
    27868
    아기장수 이야기 그리고 이 땅의 역사 푸쉬킨 17/04/11 22:12 1023 10
    27833
    계속해서 백병전만 했다고 주장하는 걸로 몰고 가시네요. [30] 토츠카 17/04/07 21:41 562 9
    27858
    어떻게 해석해야 백병전이 주류면 이순신을 폄하하는건가요? [8] 토츠카 17/04/10 16:51 597 9
    27862
    답글/글삭튀 하시더니 다시 시작이신데, [8] Lemonade 17/04/10 20:44 644 6
    27863
    애처가였던 로마의 황제, 티베리우스 [1] 토츠카 17/04/10 23:23 1499 6
    27907
    이덕수 [1] 눈물한스푼 17/04/20 11:03 663 5
    27896
    세계 최초의 신문…1577년 조선시대 '조보' 실물 발견 [16] 미각탐구 17/04/18 13:29 1170 5
    27805
    조선시대 선비의 하루 [1] 펌글 탱구왔서현 17/04/04 15:49 1626 5
    [◀이전10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