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humorbest_1667098
    작성자 : 핑거포스
    추천 : 35
    조회수 : 3322
    IP : 61.98.***.53
    댓글 : 3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21/09/17 23:52:13
    원글작성시간 : 2021/09/17 10:32:26
    http://todayhumor.com/?humorbest_1667098 모바일
    오마이뉴스 ㅡ'접종률 70% 3년 걸린다'던 언론, 반성하고 있을까?
    <p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text-align:justify;background-color:#ffffff;"> <font color="#202020" face="Arial, AppleSDGothic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sans-serif"><span style="font-size:17px;letter-spacing:-.34px;"><a target="_blank" href="https://news.v.daum.net/v/20210917065701487">https://news.v.daum.net/v/20210917065701487</a></span></font> </p> <p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color:#202020;font-family:Arial, AppleSDGothic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sans-serif;font-size:17px;letter-spacing:-.34px;text-align:justify;background-color:#ffffff;">"언론은 진짜 안 변한다.왜 그렇게까지 기사를 내는지 모르겠다."</p> <p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color:#202020;font-family:Arial, AppleSDGothic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sans-serif;font-size:17px;letter-spacing:-.34px;text-align:justify;background-color:#ffffff;">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오마이뉴스>와의 통화에서 한숨을 푹 쉬었다. 이 교수는 코로나 백신 접종 시작부터 1차 접종률 70% 달성을 앞둔 지금까지 언론이 백신의 효과를 알리며 접종을 독려하기는커녕, 오히려 방해가 됐다고 지적했다.</p> <p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color:#202020;font-family:Arial, AppleSDGothic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sans-serif;font-size:17px;letter-spacing:-.34px;text-align:justify;background-color:#ffffff;">과장이 아니다. 언론은 접종이 시작되자 인과성이 밝혀지지 않은 상황임에도 '접종 후 사망' 소식을 속보처럼 전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불안한 백신'이라는 인식을 키웠고, 이상반응을 과장해서 전달했다. 접종률이 늘어나면서 '백신 부작용'을 호소하는 사람도 늘자, 어떠한 검증도 거치지 않고 모두 기사화했다. </p> <p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color:#202020;font-family:Arial, AppleSDGothic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sans-serif;font-size:17px;letter-spacing:-.34px;text-align:justify;background-color:#ffffff;">'백신의 정치화'에 주도적으로 나선 것도 문제였다. 주요 보수·경제지는 백신 접종 이슈를 정부를 비판하는 도구로 삼았다. 심지어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접종 (계획이) 안 되라고 고사라도 지내는 것 같다"는 말까지 나왔다. 정부가 접종 목표를 제시하면, 언론은 '목표 달성이 불가능하거나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주장을 펼치는 식이었다. </p> <p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color:#202020;font-family:Arial, AppleSDGothic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sans-serif;font-size:17px;letter-spacing:-.34px;text-align:justify;background-color:#ffffff;">감시와 비판을 명목으로 아니면 말고식의 백신 보도가 난무했다는 것 또한 언론계 전반의 성찰이 필요한 지점이다. 아래 소개하는 기사들은 결과적으로 기우였거나 틀린 이야기로 판명이 난 내용들이다.</p> <div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color:#202020;font-family:Arial, AppleSDGothic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sans-serif;font-size:17px;letter-spacing:-.34px;text-align:justify;background-color:#ffffff;"> <span style="font-weight:700;">연일 비관론... 못 믿었을까, 믿고싶지 않았을까</span> </div> <div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color:#202020;font-family:Arial, AppleSDGothic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sans-serif;font-size:17px;letter-spacing:-.34px;text-align:justify;background-color:#ffffff;"> <div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letter-spacing:-.34px;"><조선일보>의 '이스라엘은 내달 마스크 벗는데… 우린 지금 접종속도면 집단면역에 3년'(3.19)은 지금 시점에서 보면 제목에서부터 두 가지 사실이 틀렸다. 한국은 하루에 최대 136만명까지 접종하면서, 10월까지 접종 완료 70%를 달성하는데 전혀 무리가 없다는 걸 보여줬다. 동시에 이스라엘은 아직도 마스크를 벗지 못했다.</div> <p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letter-spacing:-.34px;">이 시기 이런 기사가 매우 많았다. '[기자의 시각] 11월 집단면역 이러다가 끝'(<조선> 4.15), '노바백스 물량 9월까지 절반만 도입... 11월 집단면역 목표 가물가물'(<동아> 4.13), '[사설] 고개 드는 백신 불안... 11월 집단면역 자신할 수 있나'(<한국경제> 3.6), "11월 집단면역 물건너가… 백신 라이선스 생산 추진해야"(<문화> 4.21) 등 수많은 언론에서 10월말~11월초 백신 접종 70% 달성은 어려울 것이란 비관론을 쏟아냈다. </p> <div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letter-spacing:-.34px;">외국과 접종률을 비교하는 기사들도 많았다. 유럽이나 미국은 일상회복을 앞두고 있는데, 한국은 백신 접종률이 낮아서 일상회복이 더디다고 준엄하게 지적하는 내용이었다. <한국경제>의 '접종률 이스라엘 61%, 美 32%, 韓 2%... 백신전쟁 완패'가 대표적인 기사다. 그러나 현재 한국은 이스라엘과 미국의 1차 접종률을 이미 넘어섰으며, 두 국가의 코로나19 대유행은 좀처럼 끝나지 않고 있다.<br> <span style="letter-spacing:-.34px;">이렇듯 일시적으로 백신 수급이 잘 되지 않거나, 접종이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을 때마다 언론은 외국과 비교하거나 비관론을 내세웠다. 그러나 정부의 '계획대로 접종하고 있다'라는 말은 거짓이 아니었다. 언론은 왜 그리 정부의 말을 믿지 않았을까. 아니면 주관적으로 믿고 싶지 않았던 걸까?</span><span style="letter-spacing:-.34px;"> </span></div> <div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letter-spacing:-.34px;"><중앙일보>는 '[단독] 한국 백신접종률, 1주일 늦은 르완다보다도 낮다'(4.12), '[단독] 韓 백신접종 완료 OECD 꼴찌…콜롬비아에도 뒤졌다'(8.9) 등 '단독'까지 달아가며 한국의 접종률이 낮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 노력했다. 현재 르완다의 1차 접종률은 14.4%이며, 콜롬비아의 접종 완료율은 한국보다 10% 뒤진 31.3%다.</div> <div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letter-spacing:-.34px;"> <span style="font-weight:700;">정부 비판 도구로 백신을 사용하다</span><br> <span style="letter-spacing:-.34px;"> </span> </div> <div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letter-spacing:-.34px;"> <span style="letter-spacing:-.34px;"><조선일보>의 3월 22일 사설 '아스트라 백신 하나에 목매는 K방역의 처량한 신세'를 보면 "이해하기 힘든 이유로 백신 계약을 미적거리다가 지금과 같이 AZ 백신에 목매는 상황을 자초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정부는 한 달 후 화이자 6600만회분을 확보하면서, 아예 주력 백신을 갈아탔다.</span> <br>백신 접종 시작이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은 것, 백신 수급 불안 등은 모두 정부를 비판할 수 있는 구실이 됐다. 물론 근거 있는 비판이면 문제가 없다. 그러나 일부 언론의 보도는 명확한 근거보다는 추정에 가까웠다는 게 문제다. </div> <p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letter-spacing:-.34px;"><중앙일보>의 '백신 자꾸 꼬이는데 문 대통령 "10월 70% 접종 완료" 약속'(8.16)도 문 대통령이 현실과 동떨어진 인식을 보여줬다며 비판했지만, 오히려 문 대통령이 현실적인 인식을 했다는 사실이 증명되고 있다. 기사는 "남은 기간 매일 36만명 맞아야 가능하다"라고 지적했지만 백신 수급이 안정된 현재 한국에선 하루 최대 136만 명까지 접종하고 있다. 기사가 나온 지 불과 한 달 만에 기사가 사실상 '오보'에 가까워진 셈이다.</p> <p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letter-spacing:-.34px;">1차 접종률이 올라가자, 일각에서는 '접종 완료율'이 더 중요하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1차 접종을 한 사람들은 특별한 사정이 있지 않은 이상 2차 접종도 하기 때문에, 이러한 비판 역시 억지에 가깝다. </p> <p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letter-spacing:-.34px;"> <span style="font-weight:700;">백신 접종이 '마루타'라니... 접종률 상승 방해하는 건 언론</span> </p> <p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letter-spacing:-.34px;">언론은 한 편에서는 백신 수급과 접종률을 문제 삼고 한 편에서는 백신 불안을 키웠다. <매일경제>는 "119 구급대원이 실험대상이냐"(2.24)라는 기사를 1면에 실었다. 기사에는 '마루타'라는 표현까지 등장하면서 영국이나 유럽에서 이미 수백만 명 이상에게 접종된 아스트라제네카를 마치 검증되지 않은 백신처럼 이야기하며 불안 심리를 증폭시켰다. </p> <div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letter-spacing:-.34px;"><서울경제>는 '가족에 백신 접종을 못 권하는 이유'(5.5)라는 기자 칼럼을 통해 백신 중에서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안전성을 신뢰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런 분위기의 원인은 일차적으로 정부가 제공했다고 주장했다. 이는 언론이 앞장서서 백신이 불안하다고 이야기하는 것이나 다름없다.</div> </div> <div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color:#202020;font-family:Arial, AppleSDGothic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sans-serif;font-size:17px;letter-spacing:-.34px;text-align:justify;background-color:#ffffff;"> <div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letter-spacing:-.34px;">최근까지도 백신 불안을 야기하는 행태는 이어지고 있다. <세계일보> '장기 괴사-백혈병에도 인과성 인정 안돼... 백신접종 불안 확산'(9.15), <아시아경제> '백신 안 맞을래요... 잇단 이상 증상에 공포 확산' 등은 백신과 연관성이 없다고 알려진 백혈병 등을 예로 들고 있는데, 이는 백신 거부를 부추기는 보도에 가깝다.</div> <p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letter-spacing:-.34px;"> <span style="font-weight:700;">백신 보도는 달라야 한다</span> </p> <p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letter-spacing:-.34px;">언론학자들은 정부의 백신 관련 보도는 일반적인 보도와는 목적이 달라야 한다고 강조한다. 최진봉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백신 보도에 있어서는 정보를 잘 전달해서 국민들이 동참할 수 있게 해야 하는데, 오히려 불안감을 부추겨왔다"라며 "정부 발표를 믿지도 않고, 국가나 국민의 이득을 고려하지 않은 채로 문제만 제기하고 끝나는 게 언론의 역할인지 묻고 싶다"라고 전했다.</p> <p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letter-spacing:-.34px;">최 교수는 "전염병이나 백신은 정치 문제가 아닌데, 이와 관련된 보도에 너무 정치적 목적이 반영된 것이 문제"라며 "정부가 잘하는 부분은 보도하지도 않고 제대로 부각하지도 않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p> <p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letter-spacing:-.34px;">김경희 한림대 미디어스쿨 교수(한국언론학회 회장)는 ▲기사 내용은 그렇지 않은데 제목을 과장되거나 선정적으로 뽑아서 백신에 대한 불신을 키우는 행태 ▲특정 신문사에서 특정 전문가의 말만 인용하는데, 그 전문가가 객관적인 의견을 제공하지 않으면서 잘못된 인식을 퍼트리는 경우 등을 잘못된 보도의 대표적인 유형들로 꼽았다.</p> <p style="margin:-6px 20px 28px;padding:0px;letter-spacing:-.34px;">올바른 코로나19-백신 보도를 위한 대안으로 김 교수는 "재난 보도의 경우 데스크의 판단 능력이 중요한데, 한국 언론사에는 재난 보도 전문데스크가 부족하다"라며 "코로나19·백신 보도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감염병이 확산되지 않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도가 미칠 영향을 고려해서 게이트키핑을 하는 능력을 데스크들이 갖고 있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p> </div>
    출처 https://news.v.daum.net/v/20210917065701487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21/09/17 10:37:26  183.98.***.100  립반윙클  730779
    [2] 2021/09/17 11:22:33  112.172.***.118  초보입문  78550
    [3] 2021/09/17 11:50:35  175.204.***.187  믹스테일  755651
    [4] 2021/09/17 11:56:16  58.29.***.173  내용무  757922
    [5] 2021/09/17 13:24:58  220.86.***.1  테페리21  646115
    [6] 2021/09/17 13:32:06  116.34.***.115  steph  397708
    [7] 2021/09/17 13:46:30  121.178.***.78  오일랫  329917
    [8] 2021/09/17 13:51:47  116.47.***.242  긍정대답왕  370351
    [9] 2021/09/17 17:01:04  96.30.***.119  Paragon  247504
    [10] 2021/09/17 23:52:13  211.55.***.128  모모노노  582972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667075
    최악의 흡혈 곤충(모기 물린 장면 주의) [1] 펌글 눈물한스푼 21/09/17 19:48 8698 39
    1667038
    이거 자수 누가했어? [4] 공포는없다 21/09/17 16:29 6911 37
    1667070
    와이프 심쿵하게 하는 이벤트.gif [2] jumpman23 21/09/17 19:25 8065 37
    1666977
    추미애의 추석 인사 [1] FM페미코리아 21/09/17 05:31 2524 36
    1666984
    이번에 공개한 SLBM은 사실 몇 단계 진보한 최초의 SLBM임 [2] hitchhiker 21/09/17 07:52 6656 36
    1667012
    실시간 길잃은 강아지 [1] 펌글 우가가 21/09/17 12:07 6194 36
    1667033
    훈훈한 흡연실.manhwa [1] 펌글 우가가 21/09/17 15:55 6774 36
    1666966
    사회생활 안해본 작가.jpg 펌글 우가가 21/09/17 00:02 11860 35
    1666970
    [카페용병의 일기] - 남는 계란 흰자를 처리해보자 [4] 창작글외부펌금지 까용★ 21/09/17 01:44 2912 35
    1666983
    욕망과 욕심의 차이 [2] 똥구멍존잘 21/09/17 07:50 7374 35
    1667026
    새로 만난 집사가 나한테 '3번'이라는 이름을 붙여줬다냥.... [4] 펌글 감동브레이커 21/09/17 14:12 7172 35
    1667055
    기밠ㅐ끼 서포터즈 [4] 댓글다는고양 21/09/17 17:59 6961 35
    오마이뉴스 ㅡ'접종률 70% 3년 걸린다'던 언론, 반성하고 있을까? [2] 핑거포스 21/09/17 23:52 3322 35
    1667036
    학교 오자마자 잠드는 타입 [5] 펌글 감동브레이커 21/09/17 16:08 8056 34
    1667064
    김치 + 삼겹살.gif [6] jumpman23 21/09/17 18:43 8787 34
    1667065
    지금 직장인들 근황 [3] 펌글 감동브레이커 21/09/17 18:46 9181 34
    1667053
    한국산 수소차의 위엄 [8] 펌글 눈물한스푼 21/09/17 17:36 9523 33
    1667073
    집앞 바다, 낚시 조과물 요리 [8] SonicYouth 21/09/17 19:46 4254 33
    1667021
    (페북) 이재명 - 화천대유 소유자를 알려드립니다 [4] 물간 21/09/17 13:33 3100 32
    1667071
    난생 처음보는 주차매너 [5] 펌글 눈물한스푼 21/09/17 19:36 10926 32
    1666991
    푹신푹신한 솜털 [11] 똥구멍존잘 21/09/17 09:07 7119 31
    1666996
    전설의 팔척귀신 [7] 펌글 감동브레이커 21/09/17 09:44 8678 31
    1667022
    편의점 최신 근황 [5] 아오리소라 21/09/17 13:39 8729 31
    1667024
    누나를 찬 누나 전 남친을 같은 도장에서 만났다 [6] 펌글 눈물한스푼 21/09/17 13:41 13440 31
    1667043
    밤낚시 갔다가 발견한거 [4] 펌글 감동브레이커 21/09/17 16:45 9101 31
    1667046
    윤석열 박정희 생가 방문 봉변 보셨나요? [10] sunggp135 21/09/17 16:54 5321 31
    1667058
    와! 이차 뭐에요? 새로나온차에요? 이름이 뭐에요? 죽습니다. [7] 거대호박 21/09/17 18:10 8995 31
    1667079
    비행기 안이 너무 더웠던 남자 [5] 웃기는게목적 21/09/17 20:18 13222 31
    1667041
    이건 그냥 개돼지입니다 [5] 펌글 감동브레이커 21/09/17 16:39 6751 30
    1667061
    꼬마천사 올리비아 펌글 눈물한스푼 21/09/17 18:33 7079 30
    [1] [2] [3] [4] [5]
    ←다음날짜   이전날짜→
    2021/09/21 2021/09/20 2021/09/19 2021/09/18 2021/09/17 2021/09/16 2021/09/15 2021/09/14 2021/09/13
    날짜검색 : 예)2004/09/07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