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humorbest_1531578
    작성자 : 눈물한스푼
    추천 : 77
    조회수 : 14231
    IP : 116.33.***.69
    댓글 : 37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7/12/08 09:07:19
    원글작성시간 : 2017/12/07 16:42:11
    http://todayhumor.com/?humorbest_1531578 모바일
    지구상에서 멸종되기 직전의 생물
    옵션
    • 펌글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style="display:table;margin:32px auto 30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clear:left;max-width:100%;font-size:17px;letter-spacing:-.34px;"><p class="link_figure" style="margin:0px;padding:0px;"></p>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12/15126329078925016c8cf94791a1d5e273b8b2e6ea__mn63095__w658__h493__f38400__Ym201712.jpg" width="658" height="493" alt="멸종위기종1.jpg" style="border:none;"></div><br><p></p><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style="display:table-caption;margin:11px auto 0px;font-size:13px;line-height:18px;color:#919191;max-width:100%;caption-side:bottom;">지난 11월 홍콩 롱밸리에서 국제조류보호협회가 검은머리촉새(수컷)에 인식용 가락지를 부착하고 있다. 이 새는 갑작스러운 개체 수 감소로 멸종위기를 겪고 있어, ‘제2의 여행비둘기’로 불린다. 한국에도 통과하는 나그네새다. 심바 찬/국제조류보호협회 제공</figcaption></figure><p style="margin:35px 0px 19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font-size:17px;letter-spacing:-.34px;">한때 개체 수가 아주 많았던 검은머리촉새가 무분별한 남획 때문에 30년 만에 심각한 멸종위기 상태로 내몰렸다.</p> <p style="margin:0px 0px 19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font-size:17px;letter-spacing:-.34px;">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적색목록(레드 리스트)을 개정해 5일 발표했다.</p> <p style="margin:0px 0px 19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font-size:17px;letter-spacing:-.34px;">이번 개정에서 주목되는 것은 검은머리촉새가 ‘위급’(Critically Endangered) 단계로 격상된 것이다. 참새와 비슷한 크기의 검은머리촉새는 여름에 북유럽 핀란드에서 러시아 극동 지방까지 아한대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번식하며, 겨울에는 인도 북부에서 인도차이나반도, 중국 남부에 이르는 지역에서 월동한다. 그사이 봄과 가을에 국내에 통과하면서 드물게 관찰된다.</p> <p style="margin:0px 0px 19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font-size:17px;letter-spacing:-.34px;">각국 정부와 환경단체가 참고하는 가장 권위 있는 멸종 리스트인 적색목록은 자료 부족(Data Deficient) - 관심 대상(Least Concern) - 준위협(Near Threatened) - 취약(Vulnerable) - 위기(Endangered) - 위급(Critically Endangered) - 절멸(Extinct) 등으로 구분된다.</p> <p style="margin:0px 0px 19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font-size:17px;letter-spacing:-.34px;">검은머리촉새는 2004년 전까지는 멸종 위험이 낮고 별다른 보전 노력이 필요하지 않은 ‘관심 대상’이었다. 2004년에 ‘준위협’ 등급이 되더니, 그뒤 멸종 등급이 가파르게 상승하여 2008년에는 ‘취약’ , 2013년에는 ‘위기’에 이어 4년 만에 다시 ‘위급’ 단계로 격상된 것이다.</p><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style="display:table;margin:32px auto 30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clear:left;max-width:100%;font-size:17px;letter-spacing:-.34px;"><p class="link_figure" style="margin:0px;padding:0px;"></p>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12/1512632453c8e53220fa2c42bea6c4634dcf1622df__mn63095__w658__h945__f141733__Ym201712.jpg" width="658" height="945" alt="멸종위기종2.jpg" style="border:none;" filesize="141733"></div><br><p></p><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style="display:table-caption;margin:11px auto 0px;font-size:13px;line-height:18px;color:#919191;max-width:100%;caption-side:bottom;">검은머리촉새는 중국에서 대량 포획돼 고기로 섭취된다. 20세기 초 고기로 유통되면서 멸종의 한 원인으로 작용한 북미 대륙의 여행비둘기와 비슷한 양상이다. 심바 찬/국제조류보호협회 제공</figcaption></figure><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style="display:table;margin:32px auto 30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clear:left;max-width:100%;font-size:17px;letter-spacing:-.34px;"><p class="link_figure" style="margin:0px;padding:0px;"></p>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12/15126324741baa54bc90ca4ddfadd3287a49584b47__mn63095__w658__h394__f46296__Ym201712.jpg" width="658" height="394" alt="멸종위기종3.jpg" style="border:none;" filesize="46296"></div><br><p></p><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style="display:table-caption;margin:11px auto 0px;font-size:13px;line-height:18px;color:#919191;max-width:100%;caption-side:bottom;">※ 그래픽을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figcaption></figure><p style="margin:35px 0px 19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font-size:17px;letter-spacing:-.34px;">1990년대 중반, 일본 홋카이도에서 검은머리촉새 개체 수가 감소하는 게 처음 확인된 이후 겨우 20~30년만에 전 세계 개체 수 95%가 사라질 정도로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하게 됐다.</p> <p style="margin:0px 0px 19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font-size:17px;letter-spacing:-.34px;">유럽에는 과거에 6만~30만 마리가 살았지만 2015년에는 120~600마리 정도만 살아남은 것으로 국제조류보호협회(BirdLife International)는 파악하고 있다. 세계적으로는 1980년에서 2013년 사이에 84.3~94.7%가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2002~2013년 불과 11년 동안에만 80% 줄어들었다고 학자들은 판단한다.</p> <p style="margin:0px 0px 19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font-size:17px;letter-spacing:-.34px;"><span style="font-weight:700;">중국에서 너무 많이 잡아먹는 것이 화근</span></p> <p style="margin:0px 0px 19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font-size:17px;letter-spacing:-.34px;">검은머리촉새는 핀란드와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서부에서 카자흐스탄, 중국 북부와 몽골 북부를 지나 러시아 극동지역, 일본 북부와 한반도에서 번식했다. 유럽에서 아시아 극동까지 넓게 퍼져 번식하던 검은머리촉새는 가을이 되면 다 함께 모여 중국 양쯔강 유역에서 잠시 머물며 털갈이를 한다.</p> <p style="margin:0px 0px 19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font-size:17px;letter-spacing:-.34px;">이들은 여름에는 키 큰 풀이 많고 관목이 있는 습지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논에서 주로 먹이를 먹다가 밤에는 갈대밭에서 잠을 잔다. 집단을 이루어 잠을 자는 습성을 이용해 사람들은 그물을 설치하고 새들을 몰아 잡아서 식용으로 소비했다. 예전에는 중국 남부의 일부 지역에서만 이런 일이 벌어졌지만, 최근 들어 교통과 통신 수단이 발전하면서 전문적인 새 밀렵꾼이 곳곳을 다니면서 검은머리촉새를 남획하고 있다.</p> <p style="margin:0px 0px 19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font-size:17px;letter-spacing:-.34px;">중국에서 1997년 검은머리촉새의 포획이 금지됐지만, 아직 남획과 밀거래는 근절되지 않고 있다. 2004년에는 광둥성 싼수이의 어느 한 시장에서만 하루에 1만 마리의 새들이 거래됐다는 보고가 있다. 2008년에는 저장성에서 광둥성으로 가는 길목에서 한꺼번에 4300마리를 싣고가던 밀거래 일당이 적발되기도 했다.</p> <p style="margin:0px 0px 19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font-size:17px;letter-spacing:-.34px;">중국 남부지방에서는 검은머리촉새 고기가 맛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복을 불러온다는 의미에서 수천 마리의 수컷 검은머리촉새가 박제로 만들어져 판매되기도 했다. 캄보디아에서도 사람들이 이 새를 잡아먹기도 하는데, 새를 잡아 절에서 방생하는 행사에 활용하기도 한다.</p> <p style="margin:0px 0px 19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font-size:17px;letter-spacing:-.34px;">관개농업이 발달하고 농업이 집약화되면서 겨울철에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마른 논이 줄어든 것도 생존을 어렵게 한다. 또한 갈대숲이 사라지면서 잠자리를 잃은 것도 새들에게는 위협이다. 검은머리촉새는 과거에는 시베리아 전역에서 가장 많은 숫자가 번식하는 참새목 조류였지만 이제는 대부분의 번식지에서 사라졌다. 핀란드와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및 러시아의 많은 지역에서는 더는 발견되지 않는다. 이동 시기에 중국에서 볼 수 있었던 대규모 집단은 더는 보이지 않으며, 월동지인 캄보디아와 네팔, 방글라데시 등에서도 개체 수 감소가 확인되고 있다. 2016년에 국제조류보호협회와 현지 조류보호 단체가 러시아 사할린 섬에서 조사했더니, 사할린 남부에서는 검은머리촉새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북부와 중부 몇 군데만 일부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어 관계자들을 놀라게 했다.</p><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style="display:table;margin:32px auto 30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clear:left;max-width:100%;font-size:17px;letter-spacing:-.34px;"><p class="link_figure" style="margin:0px;padding:0px;"></p>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12/151263249386bc9d438bbe4240924bb0a6385656c0__mn63095__w658__h923__f114343__Ym201712.jpg" width="658" height="923" alt="멸종위기종4.jpg" style="border:none;" filesize="114343"></div><br><p></p><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style="display:table-caption;margin:11px auto 0px;font-size:13px;line-height:18px;color:#919191;max-width:100%;caption-side:bottom;">검은머리촉새의 보전을 촉구하는 국제조류보호협회의 포스터. 국제조류보호협회 제공</figcaption></figure><p style="margin:35px 0px 19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font-size:17px;letter-spacing:-.34px;">이에 따라 국제조류보호협회를 중심으로 검은머리촉새를 보호하기 위해 수차례의 국제 워크숍을 개최하는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를 통해 검은머리촉새가 서식하거나 경유하는 모든 국가에 적극적인 보호 대책을 요청하고, 인공위성위치추적장치(GPS) 등을 활용하여 이동 경로와 생태를 파악하고, 친환경적인 농업 활동을 장려하기로 했으며, 조만간 보다 구체적인 행동계획이 나올 예정이다.</p> <p style="margin:0px 0px 19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font-size:17px;letter-spacing:-.34px;"><span style="font-weight:700;">상괭이도 ‘위기’로 상향 조정</span></p> <p style="margin:0px 0px 19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font-size:17px;letter-spacing:-.34px;">이번에 새로 조정된 멸종위기종 목록에는 야생 벼 25종과 야생 밀 26종 등이 처음으로 등재됐다. 이들은 지금 상업적으로 재배되는 농작물에 가뭄이나 질병 등에 저항성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유전자원의 보고로서 경제적 가치가 크며 앞으로 인류의 식량 안보에 도움이 될 수 있다.</p> <p style="margin:0px 0px 19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font-size:17px;letter-spacing:-.34px;">또한 중국 동해와 양쯔강 그리고 한국 및 일본 근해에 서식하는 상괭이와 미얀마의 이라와디강과 갠지스강, 메콩강 등에 사는 이라와디강돌고래가 ‘취약’ 단계에서 ‘위기’ 로 등급이 상향 조정됐다. 상괭이는 지난 45년 동안 개체 수가 절반으로 줄어들었으며, 이라와디강돌고래도 지난 60년 동안 절반으로 줄어 보호 대책이 시급하다. 이들은 주로 얕은 바다와 강에 사는데, 어업 활동이 늘어나면서 그물에 걸려 혼획되는 사고가 일어나고 있다. 어족자원 남획과 서식처 훼손도 이들을 위협한다.</p><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style="display:table;margin:32px auto 30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clear:left;max-width:100%;font-size:17px;letter-spacing:-.34px;"><p class="link_figure" style="margin:0px;padding:0px;"></p>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12/151263250976145a454723442387c5454ea25ffec7__mn63095__w658__h263__f12295__Ym201712.jpg" width="658" height="263" alt="멸종위기종5.jpg" style="border:none;" filesize="12295"></div><br><p></p><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style="display:table-caption;margin:11px auto 0px;font-size:13px;line-height:18px;color:#919191;max-width:100%;caption-side:bottom;">한반도 서·남해안에서 자주 발견되는 상괭이도 ‘취약’에서 ‘위기’로 멸종 등급이 상향 조정됐다. 부산아쿠아리움 제공</figcaption></figure><p style="margin:35px 0px 19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font-size:17px;letter-spacing:-.34px;">일본에만 서식하는 46종의 고유종 뱀과 도마뱀 가운데 3분의 1이 ‘준위협’ 등급에 올랐다. 일본 전역에서 도시 개발과 농업 경작지가 확대되면서 이들 파충류의 서식처가 훼손됐다. 애완동물로 수입된 공작 같은 동물이 야생에 적응하면서 일본 고유종 파충류를 위협하기도 했으며, 일본 내 특정 지역에만 서식하던 일본족제비가 다른 섬에 도입되면서 그곳의 고유종 파충류를 위협하기도 했다. 또한 외래종인 황소개구리와 일본족제비, 공작 등이 도입된 지 15년 만에 구메지마섬의 기쿠자토강뱀(Kikuzato’s Stream Snake)을 잡아먹어 뱀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위급’ 단계가 되었다.</p> <p style="margin:0px 0px 19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font-size:17px;letter-spacing:-.34px;">뉴질랜드를 상징하는 두 종의 키위 새는 외래 침입종인 천적을 퇴치하는 노력 덕분에 ‘위기’에서 ‘취약’으로 등급이 완화됐다. 땅 위를 걸어다니며 사는 키위 새들은 야생 고양이와 개, 족제비 등이 뉴질랜드에 도입된 이후 심각한 위협을 받았지만 정부와 지역 주민이 함께 노력해서 외래 포식동물을 포획하고 통제하면서 키위 새들의 숫자가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p> <p style="margin:0px 0px 19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font-size:17px;letter-spacing:-.34px;"><br></p> <p style="margin:0px 0px 19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font-size:17px;letter-spacing:-.34px;"><br></p> <p style="margin:0px 0px 19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font-size:17px;letter-spacing:-.34px;"><br></p> <p style="margin:0px 0px 19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font-size:17px;letter-spacing:-.34px;">사유가 너무 많이 잡아 먹어서라니....</p> <p style="margin:0px 0px 19px;color:#333333;font-family:'Nanum Gothic', Verdana, Arial, sans-serif;padding:0px;font-size:17px;letter-spacing:-.34px;">고만 좀 잡수셈....</p>
    출처 http://blog.naver.com/ruffian71/221157730986
    눈물한스푼의 꼬릿말입니다
    <img height="151"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108/1314084858328_1.gif" width="186" alt="1314084858328_1.gif"><p><strong><a href="http://blog.naver.com/ruffian71/120106469718"><font color="#000080">인생을 살며 꼭 한번은 읽어 볼만한 컬럼......</font></a></strong></p>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7/12/07 16:43:04  14.52.***.61  손틈바람  342143
    [2] 2017/12/07 16:44:18  61.105.***.145  자미부조케  747793
    [3] 2017/12/07 16:44:55  118.32.***.188  qetuoadgj  133942
    [4] 2017/12/07 16:56:13  43.234.***.161  우아한이여사  696586
    [5] 2017/12/07 17:20:31  183.96.***.106  바바바바밥  41388
    [6] 2017/12/07 23:07:16  175.212.***.77  나름다른  323784
    [7] 2017/12/07 23:36:52  59.29.***.54  Pluto  342928
    [8] 2017/12/08 06:47:46  116.123.***.75  달려라나비야  574127
    [9] 2017/12/08 07:32:26  109.252.***.153  saviour  438853
    [10] 2017/12/08 09:07:19  58.120.***.9  집으로가자  561967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31761
    국가가 인증한 욕 [3] 펌글 너행복하니? 17/12/08 16:52 14602 84
    1531818
    이화여대 다니는 남학생 [5] 서동재검사 17/12/08 18:56 14839 84
    1531511
    안희정의 콤플렉스 [10] 라이너스담력 17/12/08 01:35 4912 83/18
    1531529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 페북, <정말 귀한 제안> [2] 언제나마음은 17/12/08 03:08 3411 83
    1531649
    문꿀오소리의 창궐? 도를 넘은 기자의 막말 [9] mathers1 17/12/08 12:13 3988 83
    1531656
    지상파 3사 모두 재허가 미달점수 [9] 17.10.30 17/12/08 12:29 3991 82
    1531785
    [단독] 배현진, 오늘 MBC '뉴스데스크'부터 빠진다 [11] 라이온맨킹 17/12/08 17:55 6480 82
    1531868
    식당에서 밥먹는 40대 아재 두명 [3] 펌글 게썅마이웨이 17/12/08 21:43 19257 81
    1531601
    엠빙신 이러고 있음... 조두순관련 [3] mathers1 17/12/08 09:59 5856 81
    1531617
    용한 무속인 [1] 눈물한스푼 17/12/08 10:42 14320 81
    1531756
    에너지제로 주택에서 귀욤 뿜는 문대통령. [19] 라이너스담력 17/12/08 16:37 4142 81
    1531491
    2018년 재·보궐선거 예상분석해 봤습니다. [3] 大韓帝國 17/12/08 00:25 3952 80
    1531525
    6년만에 연락 온 전 여친.jpg [3] 보글레기 17/12/08 02:39 20319 79
    1531635
    [옵션열기]제2의 DAS 될 듯!-"옵션열기는 누가 붙였습니꽈~??? [3] 북두장군 17/12/08 11:31 3389 79
    1531769
    변호사의 세무사 자격 자동취득 폐지 세무사법 국회통과. 우사우사냥냥 17/12/08 17:09 3369 79
    1531786
    어느 미친여자 이야기.. [2] 덕구씨 17/12/08 17:56 9024 79
    1531602
    원세훈 자택 화염병 투척 방화 사건을 기억하십니까 ? [1] 지리산호랑이 17/12/08 10:00 2660 78
    1531696
    막걸리 애주가 [2] 펌글 눈물한스푼 17/12/08 14:10 12001 78
    1531708
    김홍걸, 박주원 파문에 “국민의당은 ‘원균의 집단’” [7] 虎男 17/12/08 14:48 3865 78
    1531715
    국민의당, 박주원 'DJ 비자금의혹 제보'에 발칵. [4] 귀여웠던나 17/12/08 15:02 3934 78
    1531717
    전설의 35살 루리웹회원 집 인증 [1] 펌글 고즈넉한달 17/12/08 15:07 12558 78
    1531876
    미래에서 온 언냐... [1] 펌글 4수자리 17/12/08 22:09 12133 77
    지구상에서 멸종되기 직전의 생물 펌글 눈물한스푼 17/12/08 09:07 14231 77
    1531570
    서양인들도 싫어하는 [3] 펌글 VistaPro 17/12/08 08:21 17946 76
    1531752
    YTN사장 내정자 최남수의 심각성 [1] 대역전4Life 17/12/08 16:35 4695 75
    1531872
    한반도 역사 그 자체 [2] 펌글 여러가지폐인 17/12/08 21:57 13009 75
    1531874
    강원도 폭설소식이 있을때 차량을 이용해서 강원도로 가면 안되는이유.. erwa01 17/12/08 22:08 12798 74
    1531483
    장시호 숏컷이 의외로 잘 어울려서 농담삼아 만들어 본 툰 [4] 창작글 의족과독사 17/12/08 00:06 8200 74
    1531643
    고등학교 수준....ebs 물리 수업....jpg [17] 펌글 개리g 17/12/08 12:04 10513 72
    1531806
    김대중 평화센터 , 안철수 측근 박주원 법적 검토! [1] greenmaker 17/12/08 18:33 2865 7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다음날짜   이전날짜→
    2017/12/12 2017/12/11 2017/12/10 2017/12/09 2017/12/08 2017/12/07 2017/12/06 2017/12/05 2017/12/04
    날짜검색 : 예)2004/09/07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