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humorbest_536240
    작성자 : 저녁즈음에
    추천 : 61
    조회수 : 2622
    IP : 175.244.***.153
    댓글 : 15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2/09/29 10:13:00
    원글작성시간 : 2012/09/29 09:32:19
    http://todayhumor.com/?humorbest_536240 모바일
    책을 출간하려고 하는데 오유인의 관심도를 알고 싶습니다.
    <p><br></p><p style="text-align: left; "><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209/f539483ed8c088c621aa2cdd57d0590b.jpg" class="txc-image" style="clear:none;float:none;"></p><p><br></p><p>http://todayhumor.co.kr/board/view.php?kind=member&ask_time=&search_table_name=&table=bestofbest&no=83080&page=1&keyfield=&keyword=&mn=280210&nk=&ouscrap_keyword=&ouscrap_no=&s_no=83080&member_kind=bestofbest</p><p><br></p><p><br></p><p>http://todayhumor.co.kr/board/view.php?kind=member&ask_time=&search_table_name=&table=humorbest&no=532752&page=1&keyfield=&keyword=&mn=280210&nk=&ouscrap_keyword=&ouscrap_no=&s_no=532752&member_kind=humorbest</p><p><br></p><p>이 글을 올린 사람입니다.</p><p><br></p><p>이번에 출간을 목표로 원고를 하나 탈고했습니다.</p><p>근데 워낙 시일이 촉박한지라 시장성이 좀 부족하네요. 대선은 2개월 정도 남았으니 말이죠.</p><p>내용은 별 문제 없는데, 출판사들이 수요에 대한 난색을 표하는지라...</p><p><br></p><p>E-book이나 무료 공개를 할까 고민 중입니다.</p><p>정치 관련인데요. 다음 소재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목차만 보고 재미있을지 의견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p><p>개인적으로 유용했으면 합니다만은...</p><p><br></p><p>위의 표지는 ~ 임시입니다. 저자명을 숨긴 것도~ 말이죠^^;;</p><p><br></p><p><br></p><p></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목차</span></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 18pt; "> </span><!--[if !supportEmptyParas]--><span style="font-size: 18pt; "> </span><!--[endif]--><span style="font-size: 18pt; "> </span><o:p></o:p></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들어가는 말</span></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 18pt; "> </span><!--[if !supportEmptyParas]--><span style="font-size: 18pt; "> </span><!--[endif]--><span style="font-size: 18pt; "> </span><o:p></o:p></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프롤로그 : 4.11 총선의 허탈함</span></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 18pt; "> </span><!--[if !supportEmptyParas]--><span style="font-size: 18pt; "> </span><!--[endif]--><span style="font-size: 18pt; "> </span><o:p></o:p></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제 1장 정치</span></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 18pt; "> </span><!--[if !supportEmptyParas]--><span style="font-size: 18pt; "> </span><!--[endif]--><span style="font-size: 18pt; "> </span><o:p></o:p></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정치라는 이름의 꿈</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정치의식과 정치인</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정치와 기억의 역사</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정치인의 첫 걸음과 한계</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도대체 정치인이란 어떤 존재인가?</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조직 그리고 돈의 정치</span></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 18pt; "> </span><!--[if !supportEmptyParas]--><span style="font-size: 18pt; "> </span><!--[endif]--><span style="font-size: 18pt; "> </span><o:p></o:p></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제 2장 미래</span></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 18pt; "> </span><!--[if !supportEmptyParas]--><span style="font-size: 18pt; "> </span><!--[endif]--><span style="font-size: 18pt; "> </span><o:p></o:p></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안철수 열풍과 정치인의 생명</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보좌관과 비서관이 없는 정치인</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미래의 시민, 정당 그리고 정치</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정책과 철학을 경선하자</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언제나 선거는 정책 선거였다</span></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 18pt; "> </span><!--[if !supportEmptyParas]--><span style="font-size: 18pt; "> </span><!--[endif]--><span style="font-size: 18pt; "> </span><o:p></o:p></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제 3장 변화의 시작</span></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 18pt; "> </span><!--[if !supportEmptyParas]--><span style="font-size: 18pt; "> </span><!--[endif]--><span style="font-size: 18pt; "> </span><o:p></o:p></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개혁이라는 말의 무게감</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국론 분열을 끝내고 국민을 통합하자?</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정치적 갈등의 탄생과 과정</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진정한 표현의 자유를 위하여</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표현의 자유를 위한 정보 접근의 권리</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권력 분산은 민주주의 사명</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분권도 조건부일 뿐</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감시와 견제를 위한 기록</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내부 고발자를 존중하는 사회</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참여정부의 실수, 싱크탱크</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한글이라는 싱크탱크의 의미</span></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 18pt; "> </span><!--[if !supportEmptyParas]--><span style="font-size: 18pt; "> </span><!--[endif]--><span style="font-size: 18pt; "> </span><o:p></o:p></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제 4장 복지국가</span></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 18pt; "> </span><!--[if !supportEmptyParas]--><span style="font-size: 18pt; "> </span><!--[endif]--><span style="font-size: 18pt; "> </span><o:p></o:p></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복지국가의 우선순위</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왜 노동 복지가 최우선인가?</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공정한 임금 : 무료 배송 서비스의 불편한 진실</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공정한 임금 : 노동의 공정한 평가</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여가와 재생산 : 우리는 이미 빨간불</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여가와 재생산 : 오래 일할수록 손해?</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노동복지 : 노동시장에서 가계, 정부 그리고 기업의 협력이 필요하다</span></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 18pt; "> </span><!--[if !supportEmptyParas]--><span style="font-size: 18pt; "> </span><!--[endif]--><span style="font-size: 18pt; "> </span><o:p></o:p></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제 5장 제도와 정책</span></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 18pt; "> </span><!--[if !supportEmptyParas]--><span style="font-size: 18pt; "> </span><!--[endif]--><span style="font-size: 18pt; "> </span><o:p></o:p></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청년 : 반값 등록금이 총선에서 선택 받지 못 한 이유</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시장 : 나는 경제민주화라는 용어가 싫다</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시장 : 핵심은 시장의 공정성</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국가 : 대의 민주주의를 위한 결선투표제</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국가 : 책임제 대통령이 필요한 이유</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교육 : 단순한 입시 제도가 좋다</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교육 : 시대와 공동체를 이해하기 위한 교육</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교육 : 여가를 가르치고, 소비하는 교육</span></p><p class="바탕글"><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 산업 : 클라우드 전자 정부를 통한 IT 산업의 부활</span></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 18pt; "> </span><!--[if !supportEmptyParas]--><span style="font-size: 18pt; "> </span><!--[endif]--><span style="font-size: 18pt; "> </span><o:p></o:p></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에필로그 : 어떤 지도자와 이상향을 선택할 것인가?</span></p><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파랑새M; font-size: 18pt; "><br></span></p><p class="바탕글"><font class="Apple-style-span" face="-파랑새M" size="5"><span class="Apple-style-span" style="line-height: 43px;">책의 일부 내용입니다</span></font></p><p class="바탕글"><font class="Apple-style-span" face="-파랑새M" size="5"><span class="Apple-style-span" style="line-height: 43px;"><br></span></font></p><p class="바탕글"><font class="Apple-style-span" face="-파랑새M" size="5"><span class="Apple-style-span" style="line-height: 43px;">한글이라는 싱크탱크의 의미</span></font></p><p class="바탕글"><font class="Apple-style-span" face="-파랑새M" size="5"><span class="Apple-style-span" style="line-height: 43px;"><br></span></font></p><p class="바탕글"><span class="Apple-style-span" style="color: rgb(51, 51, 51); font-family: 'lucida grande', tahoma, verdana, arial, sans-serif; font-size: 11px; line-height: 14px; "><h5 class="uiStreamMessage userContentWrapper" data-ft="{"type":1,"tn":"K"}" style="font-size: 13px; color: rgb(0, 0, 0);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5px; margin-left: 0px; padding-top: 0px; padding-right: 20px; padding-bottom: 0px; padding-left: 15px; word-break: break-word; word-wrap: break-word; font-weight: normal; line-height: 18px; "><span class="messageBody" style="color: rgb(51, 51, 51); font-size: 13px; line-height: 1.38; "><span class="userContent">사람들이 공과대학에 대한 인식은 ‘어렵고, 복잡한’이었다. 우스갯소리로 공대에서는 외계어를 쓴다는 말이 있을 정도였으니 말이다. 솔직히 말하면 어렵고 고생스러웠긴 했다. 매번 과제와 퀴즈, 시험의 연속이었으니 말이다. 대학 시절 경제학과 컴퓨터공학을 배웠는데, 경제학의 경우에는 원론이라는 기초를 잘 닦아두면 고학년이 되어도 어느 정도 적응이 되었지만 컴퓨터공학은 지정된 커리큘럼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낭패를 보기 일쑤였다. 하지만 경제학과 비교해서 공학이 어려웠던 것은 그런 이유보다는 다른 이유가 더 컸다.<br><br>바로 교과서와 수업의 차이였다. 개인적으로 경제학을 배울 때에는 공부하는데 장애를 느끼지 못 했다. 거의 모든 도서가 한글로 되어 있었으며, 대중적인 경제학 교양 도서도 많았기 때문에 폭 넓은 학습이 가능했었다. 교과서로 이론을 학습하다가도 내용과 관련된 교양 도서를 읽으면서 여러 사례를 익혔고, 경제사와 같이 현실에 적용되는 관련 도서들이 풍부했기 때문에 흥미를 읽지 않을 수 있었다. 게다가 언어적인 장벽이 없으니 공부를 하고 그 이론에 대해서 생각해볼 여유를 가졌던 것이 가장 큰 요인이었다.<br><br>하지만 주 전공이었던 공학에는 학문의 어려움이 대체로 이해의 어려움이었다. 내용이 많은 것은 둘째치더라도 수업에 쓰는 교과서가 모조리 원서였기 때문이었다. 대학 시절 교수님들이 원서를 강조하는 가장 큰 이유는 차후 취업을 한 후 원서를 볼 일이 많을 것이기 때문에 미리 익혀두라는 이유였다.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취업을 한 후에 이야기일 뿐이었다. 당장 배워야 할 입장에서는 이론을 이해하고 습득할 여유가 별로 없다는데 있었다. 하루 시간은 한정되어 있는데, 언어의 장벽이 있으니 모국어로 습득할 때보다 더 오래 걸렸다. 이유는 원서에 나오는 영어 단어는 생소한 것들이 너무 많았고, 학문과 관련하여 해석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쓰는 의미와는 많이 달랐기 때문이었다. <br><br>하지만 내 주변의 공과대학생들은 이러한 어려움에 대해서 쉽게 표현하지 못 했다. 워낙 영어를 강조하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영어에 대한 어려움을 표현하는 것은 한 마디로 자존심 상하는 일이기 때문이었다. 비슷한 관점에서 영어 강의 또한 마찬가지였다. 영어를 완벽하게 하지 못 하는 교수와 학생 사이의 강의 내용은 그야말로 형편이 없었다. 어려운 학문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도 모자랄 판에 서로 소통이 안 되는 방법을 채택한 것은 그야말로 바보 같은 짓이었다. 그럼에도 내가 대학 재학시절에는 영어 몰입주의가 지배적이었다. 이경숙 전 대통령직 인수위원장의 ‘어륀지 논란’도 그때 즈음이었다. 심지어 공교육에서 국어를 제외한 모든 학문을 영어로 배워야 한다는 무식한 정책들이 난무했다. <br><br>영어는 오늘날 굉장히 중요한 언어 능력임에는 틀림이 없다. 특히 대학에 있어서는 말이다. 왜냐하면 전 세계의 새로운 학술 논문은 영어로 표현되고 영문으로 발행되기 때문이다. 당연히 고급 학문을 익히기 위해서 영어가 능숙해야 한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 하지만 그것은 석·박사 과정을 밟거나 세계적 학문 추세를 반드시 따라가야 할 사람들의 이야기일 뿐이었다. 적어도 학문을 익히는 사람들에게는 모국어로 배우고 자국 문자로 배우는 것이 더 효율적인 일이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그러한 철학이 반대였다. 분명히 비효율적인 것을 알면서도 비합리적 이유로 영어를 선호했다. 원서 문제도 마찬가지였다. 대학 동기들은 번역서의 오역 가능성을 이유로 원서를 선호했지만 사실 학부생의 절대 다수는 오역을 알 정도의 학문 수준이 아니었다. 대체로 수업시간에 교수들이 오역 사실을 교정시켜주는 것이 전부였다. 그리고 영어가 서툰 개인 수준에서 각자 원서를 잡고 혼자 공부하는 것보다 번역서로 공부하는 것이 실제로는 훨씬 더 효율적이었다. 아무튼 나는 학술적 차원에서 국문 번역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편이었다. 오역의 가능성을 믿고 원서를 추구하는 것보다 오역 가능성을 줄이는 전문 번역이 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오역 가능성을 빌미로 번역을 경시하는 것은 결국에 우리나라의 학문과 정보를 계층화시키기만 할 것이기 때문이다. 정보를 보편화시키는데 장애가 될 것이라는 것이다.<br><br>그렇기 때문에 학술과 지식에 있어서 국역 사업을 내 개인적으로는 매우 중요한 일이자 국가적 과제로 생각하고 있다. 왜냐하면 지식의 보편화가 가지는 민주주의적 장점 때문이었다. 그 장점은 역사적 사례로서도 증명되는데, 대표적으로 한글 창제의 당위성에서 찾을 수 있었다. 세종대왕이 창제한 훈민정음은 쉽게 배우는데 초점을 두고 만들어졌다. 이유는 유교주의 조선 왕조의 기틀을 잡기 위함이었다. 당시에는 백성들을 유교적 왕도정치에 따라 법치法治와 예禮로서 교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일단 가르치고 알려야 했다. 이러한 의도는 세종대왕과 집의執義의 관직에 있었던 정창손鄭昌孫의 논쟁에서도 찾아 볼 수 있었다.<br><br>“언문으로 삼강행실三綱行實을 반포한 후에 충신, 효자, 열녀의 무리가 나옴을 볼 수 없는 것은, 사람이 행하고 행하지 않는 것이 사람의 자질 여하에 있기 때문입니다. 어찌 꼭 언문으로 번역한 후에야 사람들이 모두 본받을 것입니까?”<br><br>정창손의 이 말은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하여 백성을 교화시키려 해도 결국 사람의 예는 본성에서 나온다는 의미였다. 즉, 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을 통해 백성들이 어길 수 있는 사소한 법에 대해서 알려주고, 어기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삼강오륜과 같은 예를 지킬 수 있도록 가르치는데 의미가 있었다. 그리고 또 하나의 의미가 더 있었는데, 바로 유교주의 정치 철학에서의 ‘말의 자유’를 강조했기 때문이었다.<br><br>세종실록의 세종 7년 12월 8일자 기사에는 세종대왕이 한탄한 기록이 있다. “아직 과감한 말로 면전에서 쟁간爭諫하는 자를 보지 못하였고, 또 말하는 것이 매우 강직하지 않다. 어째서 지금 사람이 옛 사람만 못 하는가?”라는 것이었다. 세종대왕의 정치적 이상향은 포럼형 왕정forum palace polity이었는데,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하면서 노린 또 하나의 목적은 백성의 목소리를 직접 받아들일 수단을 마련하기 위해서였다. 일일이 외부에 나가 직접 마주할 수는 없는 일이니 쉽게 배울 수 있는 글을 통해 백성들의 고충을 수집하려는 목적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백성들이 그 고충을 알기 위해서는 권력자들이 다루는 법과 행정 자료들을 또 알아야 했다. 여기서 한문으로 된 문서들은 소통의 장애물에 불과했다. 훈민정음을 통해 이상적 정치 구조를 완성하려고 했던 것이다.<br><br>오늘날도 이와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정치를 비판하고 문제점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적당한 의제를 선별해야 하고, 그에 대한 목소리를 대의 민주주의로 승화시켜야 한다. 하지만 국가의 중요 의제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일반 시민들이 알 수는 없었다. 마치 한문 사회였던 중세 고려 시대처럼 말이다. 오늘날에는 공교육이 시행되고, 국민들의 학력 수준이 높아져서 비교적 복잡한 의제와 법률에 대해서도 분별할 힘이 생겼다. 마찬가지로 조선시대의 세종대왕은 유교주의 왕도정치의 수단을 훈민정음이라는 쉬운 문자에서 찾았다. 오늘날 우리는 이러한 세종대왕의 혜택을 가장 많이 받았다. 쉬운 문자를 통해 손쉽게 교육률을 높일 수 있었다. 그리고 경제 성장과 함께 정치적 발전도 이루었다. 그런데 세월이 가면 갈수록 종전보다 더욱 복잡한 의제를 민주주의적 협의로 이루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당연히 국민들이 가져야할 보편적인 학문적 교양 수준은 더 높게 설정되고, 더 다양한 정보를 습득해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고급 정보와 외부의 최신 정보가 영문으로만 되어 있다면 어떨까? <br><br>앞서 대학 시절 느낀 내 개인적인 경험은 이러한 정치적 문제의식과 맞닿아 있었다. 영어 몰입주의와 사대주의가 가지는 학문 습득의 비효율성도 있지만 가장 큰 문제는 정보를 특정 계층이 독식할 수밖에 없다는 점 때문이었다. 이 점은 영어가 단순히 외국인과의 소통의 도구가 아닌 정보를 습득하는 중간 단계의 도구가 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이었다. 내가 보기에 오늘날 우리나라의 교육 철학은 분명 영어를 지식 습득의 장애물로서 만드는데 일조하고 있었다. <br><br>예전에 2008년도 우리나라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로 크게 논쟁이 이루어진 일이 있었다. 그때 논쟁 중 하나가 문화방송이 방영한 <PD 수첩>의 인터뷰에서 오역 논란이었다. 당시 인터뷰는 논쟁에 있어서 중요한 화두였는데, 사실은 오역 여부가 중요한 것은 아니었다. 국제적인 인간 광우병과 관계된 프라이온 질환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어떻게 인식하는가가 더 중요한 일이었다. 하지만 이런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연구 자료보다는 연구조차 하지 않은 무책임한 권위주의자들의 말이 더 강조되었다. 만약 우리나라 사람들이 프라이온 질환에 대해서 폭넓은 정보를 가졌다면 그런 황당한 논란거리는 생기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나는 그 폭넓은 정보가 영문보다는 한글을 통해 전파된다는 생각이다. 한미 자유 무역 협정문의 오역 논란도 바로 이런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었다. 영문으로 써뒀으면 능숙한 전문가가 아닌 이상 문제점을 공론화할 수 없었고, 대중이 판단하기 어려웠겠지만 한글로 번역되는 순간 대중이 손쉽게 문제를 인식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일단 알아야 비판할 점도 찾아낼 수 있는 것이다.<br><br>이런 관점에서 나는 국가가 공기업을 만들거나 국가 기관을 만들더라도 외부의 영문 정보를 빠르게 번역하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빠른 시일 내에 최신 논문이나 주요 저서들을 국역본으로 발간할 수 있다면 영어 비중이 줄어든 상태에서 손쉽게 고급 정보와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그리고 소수자의 정보 독점에 의해 발생되는 폐단도 줄어드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렇게 되면 민주주의 관점에서도 결코 나쁜 일이 아니다. 대중들이 좀 더 복잡한 일에 대해서도 손쉽게 의견을 말하고 참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물론 영어를 완전히 포기하자는 뜻은 아니다. 글로벌 스탠더드라는 가치에 맞게 언어 소통 능력을 익히게 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영어를 지식이나 정보 습득의 필수적 도구로서는 만들지는 말자는 것이다. 그 예로 일본의 한 노벨 물리학 수상자는 평생에 걸쳐서 영어를 한 마디도 못 했음에도 학문을 함에 장애가 없었다고 한다. 항상 일문으로 번역된 최신 논문들을 읽을 수 있었기 때문에 오로지 학문에만 집중할 수 있었다. <br><br>해마다 사람들은 한글날만 되면 세종대왕에 대한 존경과 함께 한글의 우수성을 자랑한다. 하지만 딱 거기까지였다. 한글을 자랑하면서도 사실은 한글이 담은 지혜의 그릇은 천시하고 있는 것이 오늘의 세태였다. 좀 더 쉽게 배우고 좀 더 쉽게 비판할 수 있는 그러한 용도로서 한글을 쓰지 못 한다면 아무리 한글의 우수성을 말해도 백해무익한 일이라고 본다. 진짜 사랑하는 방법은 많은 지혜와 지식, 정보들을 한글이라는 그릇 속에 담는 일이라는 것이 내 생각이다. 그리고 세상에 존재하는 다양하고 전문적인 고급 정보들을 빠르게 한글로 옮겨 담는 것이야 말로 한글을 사랑하는 일일 것이다. 다양한 지식과 정보가 한글로 되어 사람들이 쉽게 익히고, 그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나라의 일을 논의할 때, 한글은 민주주의의 그릇이자 싱크탱크 노릇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세종대왕님 감사합니다!”</span></span></h5></span></p><p></p>
    저녁즈음에의 꼬릿말입니다
    베오베 올려주면 정말 고맙겠어요 ㅠㅠ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2/09/29 09:39:56  222.118.***.111  Fer  273606
    [2] 2012/09/29 09:42:05  121.144.***.74  아와비아  133486
    [3] 2012/09/29 09:44:52  112.167.***.223  빅픽처인생  218448
    [4] 2012/09/29 09:46:00  115.41.***.88  넴넴님  260418
    [5] 2012/09/29 09:47:34  112.156.***.161  초코틴틴  252699
    [6] 2012/09/29 09:50:07  183.98.***.167  wrath  97766
    [7] 2012/09/29 09:55:11  122.128.***.67  10세기  208353
    [8] 2012/09/29 09:55:32  180.224.***.30  멸후치  264657
    [9] 2012/09/29 09:58:07  119.203.***.100  캬악퉤  286737
    [10] 2012/09/29 10:13:00  121.88.***.157  호랑이고양이  186376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6164
    가지고싶은 사무용품 [17] 태양신 12/09/29 02:17 19707 71
    536364
    음악없는 강남스타일.swf [20] 프징징! 12/09/29 16:30 5655 71
    536370
    앞머리 망함류 甲 [45] 난그저거들뿐 12/09/29 17:02 23956 71
    536158
    [19++금] 바람직한 자세 [17] 노랑☆ 12/09/29 02:00 27201 69/31
    536331
    흔한 오유인의 이중성.jpg [32] magellan 12/09/29 14:31 17215 69
    536197
    전교1등한게 자랑 [42] 인실좇시전 12/09/29 05:40 10066 68
    536125
    애니비아 궁극기의 원리 [17] 레코레코 12/09/29 00:34 9658 68
    536175
    나의 여행.Bgm [12] 즐겁자 12/09/29 03:36 10744 67
    536327
    일본 정부 "센카쿠는 국제재판 안한다" [11] 풍열스님 12/09/29 14:12 6124 67
    536390
    저희 어머님께 하트 좀 보내주세요 ㅠㅠㅠㅠ제발ㅠㅠ부탁드릴게요ㅠㅠ [24] ㅠㅜㅠㅜ 12/09/29 18:04 9136 67
    536216
    착한남자가 여친이 없는 이유 [26] 웃으면복온대 12/09/29 08:04 23120 66
    536481
    안철수 박근혜 차이점 [9] 똥또로롱 12/09/29 21:57 6043 66
    536221
    [소리]넣을 수 있으면 어디 한번 넣어봐 [23] 웃으면복온대 12/09/29 08:39 11211 65
    536303
    19] 여동생이 본 동태알 [19] 붉은귀 12/09/29 12:52 27864 64
    536406
    랭대리해드립니다. [12] 임시닉 12/09/29 18:42 7610 63
    536407
    9gag)남자들이 싸우는 이유 [16] 딸딸딸딸 12/09/29 18:55 19955 63
    536251
    할머니가 주워왔는데... [19] 블랰홐흐 12/09/29 11:03 5684 62
    536271
    (눈정화주의) 눈정화 배틀 가자.jpeg [47] chiffon 12/09/29 11:59 13661 62
    536372
    문재인, 홍대 청소노동자 고충 해결 [8] 캬악퉤 12/09/29 17:10 3736 62
    536397
    안철수 논문 문제는 이과 계열을 통채로 무시하는 처사밖에 안보임 [17] 영혼의보장암 12/09/29 18:19 4478 62
    536163
    내나이 29....... [42] 목표는신 12/09/29 02:14 8938 61
    536232
    서울대 의대 교수들 "안철수 논문 문제 없다" [15] 풍열스님 12/09/29 09:36 4484 61
    책을 출간하려고 하는데 오유인의 관심도를 알고 싶습니다. [15] 저녁즈음에 12/09/29 10:13 2622 61
    536292
    멘붕류 甲.gif [26] 시발할말잃음 12/09/29 12:39 14787 61
    536432
    보는사람없겠지.모두들 바쁘니까 [22] 아침미숫가루 12/09/29 19:49 6871 61
    536238
    (BGM)[이미지]살림하는 남편 마조의 요리들 [10] B.O.B 12/09/29 10:01 7108 59
    536253
    무슨 방맹이?? [32] 나는야훼 12/09/29 11:07 13611 59
    536325
    뒷북300% ) 천젠데?.gpg [15] 딸딸딸딸 12/09/29 14:03 20451 59
    536333
    거 외국에 초코렛을 물에 넣는 경기가 있다죠? [11] Silverwave 12/09/29 14:31 19986 59
    536469
    아이유가 잘못했네 [23] ㅇㅇΩ 12/09/29 21:23 16180 59
    [1] [2] [3] [4] [5] [6] [7] [8] [9] [10] [11] [12]
    ←다음날짜   이전날짜→
    2012/10/03 2012/10/02 2012/10/01 2012/09/30 2012/09/29 2012/09/28 2012/09/27 2012/09/26 2012/09/25
    날짜검색 : 예)2004/09/07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