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humorbest_533988
    작성자 : 손아섭
    추천 : 18
    조회수 : 3673
    IP : 59.10.***.12
    댓글 : 1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2/09/25 17:04:36
    원글작성시간 : 2012/09/25 13:28:16
    http://todayhumor.com/?humorbest_533988 모바일
    맞아죽을 각오로 쓴다, LG가 10번 실패한 이유

    벌써 10번째 실패다. 10년 동안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LG의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가 지난 24일 경기 후 '공식' 확정됐다. 이미 10년만의 가을잔치의 꿈은 사실상 물 건너간지 오래였지만, 1~4위 팀들이 전패하고 LG가 전승을 거둔다 해도 승률에서 밀리는 순간이 왔다. 확률이 0이 되면서 공식화된 것이다.

    흔히 10년이면 강산이 한 번 변한다는 말을 한다. 2002년 준우승 뒤로, LG는 도대체 왜 10번이나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을까.

    ▶놀지도 못하고 야구도 못하는 LG, '신바람 야구'는 어디로

    올시즌 팀내 최고참 최동수는 후배들에게 "너무 여리다. 성적에 대한 자책 때문인지 기가 죽은 모습이 자주 보인다"며 "이런 모습을 볼 때마다 화가 나고 안쓰럽다. 운동장에선 '싸가지 없게' 굴어도 된다"고 쓴소리를 내뱉은 바 있다.

    LG의 마지막 우승이었던 94년 입단한 최동수는 90년대 '신바람 야구'로 돌풍을 일으킨 LG를 기억하고 있는 몇 안되는 선수다. 90년대 LG는 화려했다. 스타 플레이어들이 즐비했고, 선수들은 연예인 못지 않은 인기를 누렸다. 야구장 밖에서의 행동으로 구설에 오르는 일도 많았지만, 이 역시 스타였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당시 LG 선수들은 '놀 땐 잘 놀고, 야구도 잘 하는' 그런 선수들이었다.

    하지만 마지막으로 가을잔치에 초대된 2002년 이후, LG는 양쪽 모두를 잃었다. 이젠 제대로 놀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야구를 잘하는 모습도 아니다. 인터넷이 생활화되면서 밖에서 개인 시간을 즐기다가도 팬들의 뭇매를 맞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야구장만 나가면 열성적인 팬들의 눈길을 피하기 바쁘다. 그런데 야구장에서도 기가 죽을대로 죽어있다. 상대팀의 좋은 먹잇감이 될 수 밖에 없다.

    ▶악순환의 고리' DTD', 팀 체질을 망치다

    시즌 초반 잘 나가다 중반 이후 급격한 추락을 하는 LG를 두고, '기초체력이 부족하다'는 말을 한다. 시즌을 치르면서 조금씩 밑천이 드러나는 LG를 상대로 다른 구단은 조금씩 '오늘도 해볼 만 한데?'라는 생각을 갖게 된다. 착시효과가 사라지면, 추락은 순식간이다. 팬들은 언젠가부터 이를 두고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는 뜻의 DTD(Down Team is Down)라는 정체 불명의 신조어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어느새 LG의 추락은 당연한 듯한 조롱거리가 됐다.

    악순환의 연속이었다. 전임 감독들은 시즌 포기의 수단으로 '리빌딩'을 꺼내놨다. 4강 진출이 힘들어진 뒤론 주축 선수들의 기용 시간을 줄이고, 가능성 있는 젊은 유망주들에게 기회를 줬다.

    이 과정에서 선수단엔 한 경기, 또는 시즌을 쉽게 포기하는 '현실 안주'라는 나쁜 습관이 생겼다. 선수들에겐 투지와 근성 대신 '또 이렇게 한 시즌이 가는구나'라는 생각이 무의식 속에 자리하기 시작했다. 매년 같은 패턴이 반복 되면서도 경쟁은 없었다. 리빌딩이란 미명 하에 기용했던 선수들은 이듬해 벤치에 앉거나 2군에 머물렀다. 또다시 이름값 대로 자리가 결정됐다.

    흔히 팬들이 언급하는 '스탯 쌓기'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시즌 중에 '4강은 힘들다'는 인식이 한 번 퍼지기 시작하면, 프로이기에 기록으로 가치를 입증받아야 하는 선수들은 자신도 모르게 개인 성적에 좀더 신경을 쓰게 되는 것이다.

    ▶입쥐 효과와 탈쥐 효과, 너 그거 아니? 가장 아픈 건 '캐넌히터' 김재현

    언젠가부터 야구팬들 사이에선 '입쥐 효과'와 '탈쥐 효과'라는 말이 나돌았다. LG를 벗어난 선수들은 마치 다른 사람이 된 것처럼 펄펄 날고, 반대로 LG로 이적해온 선수들은 몸값도 제대로 못하는 사례가 쏟아졌다. 이에 팬들이 구단명의 뒷 글자를 '쥐'라고 표현하면서 만든 은어가 '입쥐 효과'와 '탈쥐 효과'다.

    온라인상에서 LG팬을 조롱하기 위해 만든 말이지만, 그 실상을 뜯어보면 LG 구단 측의 선수단 개편이 허술했다는 사실을 금세 알 수 있다. '탈쥐 효과'로 최근까지 언급되는 이들은 현재 KIA에서 뛰고 있는 이용규 김상현, 넥센의 박병호 서건창 등이다. 서건창은 신고선수였던데다 부상으로 방출된 뒤 군입대했으니 논외로 치자. 이용규는 2년차 시즌을 앞두고 트레이드됐다. 선수 보는 눈을 운운할 수 있지만, 첫 시즌이 실망스러웠고 비슷한 외야자원이 넘쳤던 그럴 만한 사정이 있었다.

    중요한 건 '2군 거포'였던 김상현과 박병호다. 둘 모두 1군에서 기회가 주어져도 제대로 활약하지 못했다. '이번엔 꼭 무언가 보여줘야만 돼'라는 부담감에 발목을 잡혔다. 주목해야 할 것은 트레이드 시기다.
    2002년 한국시리즈 6차전에서 대타로 나와 2타점 적시타를 날린 김재현. 당시 그는 고관절 부상에도 투혼을 발휘하며 LG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스포츠조선DB
    김상현과 박병호는 나란히 트레이드 후 상대팀에서 주전기회를 보장받았다. 트레이드는 양팀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져야만 성사될 수 있다. LG에선 '잉여 자원'이란 생각에 둘을 트레이드카드로 썼고, 상대팀은 필요한 선수라는 생각에 이 카드를 받아들였다. 김상현은 당시 같은 3루수였던 FA(자유계약선수) 정성훈이 입단한 뒤 팀을 떠났다. 박병호는 외야 BIG5(이병규 박용택 이진영 이택근 이대형)가 1루수와 지명타자 자리까지 꿰차자 기회가 박탈됐고, 결국 상대의 군침을 돌게 만드는 카드로 전락했다.

    사실 LG의 잃어버린 10년을 설명하면서 제대로 뼈아팠던 '탈쥐 효과'는 지금은 은퇴한 캐넌히터 김재현이다. 김재현은 94년 LG의 우승을 이끈 꽃미남 신인 3인방 중 한 명. 하지만 구단에선 고질적인 고관절 부상을 이유로 계약시 굴욕적인 조건을 요구했고, 실망한 김재현은 2005년 FA로 LG을 떠났다.

    SK에서 김재현은 '클럽하우스의 리더' 역할을 충실히 했다. 김성근 감독 부임 후 출전시간이 급감했음에도 김재현은 묵묵히 뛰었다. 둘은 서로의 의중을 잘 알고 있었다. 김재현이 고참으로서 경험이 부족한 팀의 구심점 역할을 제대로 해줬기에 세 차례 우승도 가능했다. 만약 김재현이 LG에서 리더 역할을 했다면 어땠을까. 또한 김재현을 비롯해 옷을 벗는 프랜차이즈 스타들을 보면서 선수들은 팀 보다는 개인을 우선하게 됐다.

    ▶'사서 쓰지 뭐…' 그룹 및 프런트의 조급증도 화를 불렀다

    선수단 구성은 먼 미래까지 내다봐야 한다. 신인부터 은퇴가 얼마 남지 않은 고참급 선수까지, 철저한 설계가 필요하다. 하지만 LG의 선수단 구성은 너무나 근시안적이었다. 구멍이 나면 키워 쓰기 보다는 사서 썼다. 수차례 FA 잔혹사에 시달린 뒤에야 내부 육성의 소중함을 깨달았다. 2009년 나란히 영입한 이진영 정성훈이 준수한 활약으로 FA 잔혹사를 깼지만, 이미 너무 늦은 상태였다.

    극에 달한 그룹 및 프런트의 조급증은 단시간에 회복시키기 힘든 전력 불균형을 낳았다. 이 사이 감독들은 부임 초기 든든한 지원을 받다가도, 성적이 곤두박질치면 목을 내놓아야만 했다. 다른 색을 가진 감독들이 릴레이로 지휘봉을 잡으면서 LG의 팀컬러는 정체모를 색깔로 변해갔다.

    리빌딩을 외치며 5년 계약을 했던 박종훈 감독을 성적 부진이라는 사유로 2년 만에 자르는 상식 밖의 촌극까지 빚었다. 언제나 제대로 된 솔루션은 없었다. 현장과 멀리 떨어진 고위층에게 제대로 목소리를 낸 이는 없었다. 결국 최종 결정권자인 모기업 윗선에서도 현명한 판단을 하지 못했다. 그저 안 되면 자르고, 또다시 돈으로 해결하려는 단순한 생각이 전부였다.

    그동안 속은 곪을 대로 곪았다. 현재 LG 타선의 중심은 30대 이상 중고참 선수들이다. 라인업에 고정적으로 들어가는 20대 선수는 4년차 오지환 뿐이다. 그렇다고 단숨에 기량 미달의 선수들을 주전으로 내보낼 수는 없는 노릇. 리빌딩을 외쳐봐야 쉽게 치유되지 않을 정도로 노쇠화가 심각히 진행됐다.

    반면 '투수 FA는 안된다'는 대표적인 사례가 된 진필중과 박명환 이후 투수 쪽은 '키워 쓰자'는 생각이 강했다. 2003년부터 지난해까지 LG의 순위는 6-6-6-8-5-8-7-6-6. 하위권을 맴돈 탓에 매년 신인드래프트에서 상위 순번을 차지할 수 있었다. 서울을 연고로 하기에 1차 지명(2009년까지 시행)에서도 비교적 선택의 폭이 넓었다.

    하지만 최근 LG의 선택은 모두 투수였다. 2009년 현재 주전 유격수인 오지환을 1차 지명한 뒤로 상위라운드에서 야수 지명은 보이지 않았다. 전면드래프트가 시행된 2010년엔 1~4라운드를 모두 투수로 채웠다. 2011년도 마찬가지. 연고지에서 오지환을 찍은 2009 드래프트 때도 2차 1~4라운드는 모두 투수였다.

    물론 가까운 시간을 고려하면 나쁘지 않은 선택이었다. 야수는 FA와 트레이드 시장에서 '큰 손'으로 나서 적극적으로 외부 영입을 했기 때문이다. 소모적인 투수는 FA로 안된다는 인식이 강했다.

    하지만 투수 육성에 방점을 둔 신인지명의 결과는 실패에 가깝다. 최근 지명한 신인투수 중 1군에서 두각을 드러낸 이는 한 희(2009년 2차 1라운드) 신정락(2010년 1라운드) 임찬규(2011년 1라운드) 최성훈(2012년 2라운드) 정도. 그나마 한 희와 신정락은 올시즌 대부분의 시간을 2군에서 보냈고, 임찬규는 시즌 막판에야 1군에 올라왔다.

    흔히 구단은 당장 즉시전력으로 활용할 선수와 미래의 가능성을 보고 지명하는 선수를 전략적으로 나눠 지명한다. 현재 팀 사정이 반영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멀리 내다보지 못했을 땐, LG처럼 극단적인 전력 불균형을 부를 수 있다. 가까이는 2~3년 뒤에서 멀리는 5년에서 10년 이후까지 내다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최근 들어서 LG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포스트 조인성'에 대한 생각을 뒤늦게 하면서 지난해 1라운드에서 포수 조윤준을 지명했고, 올해는 고졸 내야수 강승호의 이름을 불렀다. 2~3년 안에 주전으로 키울 선수들이다. LG는 올시즌을 치르면서 그간 쓸 만한 포수 하나 만들어내지 못한 데 대해 반성을 크게 했다. 향후 지명 계획도 대폭 수정됐다. 이젠 젊은 야수가 필요하다.

    LG 김기태 감독은 시즌 전부터 팀 체질 개선에 팔을 걷어붙였다. 잃어버린 근성을 되찾기 위해 선수들에게 '포기'라는 단어를 먼저 입에 올리지 않기도 했다. 체질 개선 작업은 올 겨울에도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엔 확실히 바뀔 수 있을까. '올해는 다르다'는 말이 더이상 조롱거리가 되지 않으려면, LG는 피나는 노력을 해야할 것이다.


    이명노 기자 [email protected]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2/09/25 13:35:25  223.33.***.161    
    [2] 2012/09/25 13:47:22  118.33.***.105  농구인  108422
    [3] 2012/09/25 13:49:57  220.93.***.58  나는이과생  76349
    [4] 2012/09/25 14:54:18  211.36.***.140    
    [5] 2012/09/25 16:14:21  61.100.***.194  No.36_오푼찡  219196
    [6] 2012/09/25 16:36:41  110.76.***.85  lost1024  68551
    [7] 2012/09/25 16:44:34  211.234.***.48    
    [8] 2012/09/25 16:59:29  115.89.***.146  공부하는김상  37046
    [9] 2012/09/25 17:01:24  211.114.***.72  6시칼퇴근  204895
    [10] 2012/09/25 17:04:36  112.146.***.25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3837
    무섭고 기괴한 광고 모음 20 [17] 동물의피 12/09/25 12:01 7042 19
    533848
    갈비찜 만들기 <브금> [22] 깍쟁2총각 12/09/25 12:39 3573 19
    533908
    어제 매라신 나캐리 토렌트 [11] 유령나무 12/09/25 15:12 8388 19
    533916
    사진막뿌려도되여? [28] 두부징기무침 12/09/25 15:24 10739 19
    534038
    웅 이를 찾아주세요~! [7] 시넝이™㉿㈜ 12/09/25 19:14 1797 19
    534085
    고양이 빨래집게 [10] .알이즈웰 12/09/25 21:01 2215 19
    534134
    내가 포니보는걸 어머니가 보셨다 [7] lab-1 12/09/25 21:43 1957 19
    534143
    Adele - Someone Like You.swf [8] 책의향기 12/09/25 22:02 1145 19
    534200
    뉴잉뉴잉 [2] Oyat 12/09/25 22:48 1103 19
    534192
    오유분들덕에떨지않고면접잘봤어요감사합니다 [6] 꼬꼬마초 12/09/25 22:45 1577 19
    534234
    개란말이.glf [6] 개판일세 12/09/25 23:31 3225 19
    534236
    답답하네요... [13] ·ω·호잇 12/09/25 23:33 1716 19
    533781
    추석때 여행가기 좋은곳! [25] 양치기소냔 12/09/25 09:28 4892 18
    534035
    부모님께 해드린것들~! [7] 양떼 12/09/25 19:05 3276 18
    533699
    위병 이야기2 (사단장 및 대대장들 홀로 쌩깐 썰) [4] 긴급대피소 12/09/25 02:37 2954 18
    533702
    내 햄찌이름은 코코 [5] woodles 12/09/25 02:58 2707 18
    533726
    플러터샤이의 직업 [7] fofofo 12/09/25 05:39 1556 18
    533754
    이브라히모비치 ㄷㄷ [18] 각향 12/09/25 07:40 8771 18
    533765
    노르웨이의 피오르 + 빙하 [6] 밀크코코아 12/09/25 08:16 2338 18
    533891
    으힛 나들이가염 [9] 썬탠하는스님 12/09/25 14:39 3086 18
    533911
    오늘의 좋은 말 하나 [2] 세헤라자데 12/09/25 15:15 1918 18
    533912
    군병원에서 겪은 일들 [3] 남고수 12/09/25 15:16 4546 18
    533939
    아.. 드디어 빙과가 끝났네요.. (브금) [9] CokeAddict 12/09/25 15:54 2870 18
    맞아죽을 각오로 쓴다, LG가 10번 실패한 이유 [5] 손아섭 12/09/25 17:04 3673 18
    534112
    배경음) 독신녀의 방에 어서오세요. -7부- [4] 숏다리코뿔소 12/09/25 21:24 2368 18
    534155
    티아라가 드콘 참석 안한이유가 이거였구먼; [7] 맨쉬 12/09/25 22:15 5331 18
    534159
    유라 [6] 숏다리코뿔소 12/09/25 22:16 5803 18
    534176
    젊은아. [8] 고래돌이 12/09/25 22:41 1730 18
    534018
    국토종주하고왔슴다 [2] 쵝오 12/09/25 18:37 1655 17
    534005
    [BGM] 창시타 전용 대행성 파괴무기 [27] 스콧필그림 12/09/25 17:56 5034 17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날짜   이전날짜→
    2012/09/29 2012/09/28 2012/09/27 2012/09/26 2012/09/25 2012/09/24 2012/09/23 2012/09/22 2012/09/21
    날짜검색 : 예)2004/09/07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