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마르둑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4-06-06
    방문 : 1660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마르둑님의 댓글입니다.
    번호 제목 댓글날짜 추천/비공감 삭제
    63 jtbc 또 은근슬쩍 이상한 자료 섞네 [새창] 2017-03-28 23:47:33 2 삭제

    엠팍에서도 이 문제가 제기됐더군요.
    http://mlbpark.donga.com/mp/b.php?m=search&p=1&b=bullpen&id=201703280001146838&select=sct&query=%EB%89%B4%EC%8A%A4%EB%A3%B8&user=&site=donga.com&reply=&source=&sig=h4aRSY-1g3HRKfX@hca9Gf-ALmlq
    62 [펌] 2017년 대선의 승자는 누구인가? - 송하비결의 재해석 [새창] 2017-01-28 19:34:44 5 삭제
    국사교과서에 나오듯 백제의 중심 세력은 호남이 아니라 호서, 충청도입니다. 고구려 수도에 사는 사람을 국인이라 칭했듯이 고대에는 더욱 확실히 수도가 그 나라의 중심지입니다. 한성백제가 고구려에 밀려 웅진(공주), 사비(부여)로 남하하는데 고대에 호남은 분산, 독립된 세력들로서 백제의 꾸준한 공격을 받다가 한참 후기에 백제에 완전히 복속하게 됩니다. 후삼국시대에 호남(나주 등 남서해안지방, 수달이가 죽은 곳)이 후백제가 아닌 후고구려, 즉 고려에 지지를 보낸 이유입니다.
    지역감정 유발자들이 훈요십조에서 '차현이남(차령산맥 남쪽)과 공주강(금강 중에서 공주 인근을 흐르는 본류의 지역적 명칭) 외'를 충청남도의 중심지역인 공주 인근 지역이 아니라 엉뚱하게 호남으로 해석한 전례가 있습니다. 차현과 공주강을 연결하면 남북으로 직선인데도 동서 분계선인 것처럼 고의적으로 오역해 이용한 겁니다. 백제를 현대적으로 해석할 때 충청과 호남의 구별을 확실히 해야 합니다.

    본문 해석에서 계림이 신라, 현대의 대구경북이라면 그 아래아랫줄 계백(鷄伯)은 백제 장수 계백이 아니라 대구경북의 맹주 혹은 보수측의 대선후보라고 해석해야 마땅합니다.
    계림침백(鷄林侵百) 황산분투(黃山奮鬪) 계백패읍(鷄伯悖泣)은 대구경북에 지역기반을 둔 정치세력이 황산벌(현대 논산, 즉 충청)에서 지지율을 얻기 위해 치열하게 선거운동을 하지만 TK 맹주로 등극한 자(보수세력 대선후보)가 기대에 크게 어긋나는 득표를 얻어 눈물을 흘린다고 해석해도 되겠습니다.

    비결류는 해석하기 나름이라는데, 재미는 있네요.
    61 임진왜란 때 가토기요마사의 병력 손실의 결정적 원인은 무엇인가요? [새창] 2017-01-20 04:08:49 1 삭제
    캡처 아래에 나오듯 가토 기요마사와 오타 가즈요시 부대가 경주를 홀랑 불태웠습니다.
    60 임진왜란 때 가토기요마사의 병력 손실의 결정적 원인은 무엇인가요? [새창] 2017-01-20 04:05:43 1 삭제
    윗분에 이어 추가하자면,

    1. 가토 본대가 압록강 넘어서 노토 부락 공격하다가 패배 http://sillok.history.go.kr/id/knb_12507001_016
    그리고는 마침내 군사를 인솔하여 두만강(豆滿江)을 건너 깊숙이 노토 부락(老土部落)까지 들어가 성(城)을 공격하니 호인(胡人)이 사방에서 일어나 요격하여 사졸(士卒)들의 사상자가 많았다. 이에 진로를 바꾸어 종성(鍾城)의 문암(門岩)을 경유하여 강을 건너 온성(穩城)·경원(慶源)·경흥(慶興)에 차례로 들어갔다가 해변의 협로(峽路)를 따라 경성(鏡城)으로 돌아왔다.

    2. 가토군 후속병력 당항포 해전에서 패배
    충무공장계 임진년 6월 14일자 당포파왜병장에 기록된 당항포 해전에서 군기 남무묘법연화경

    3. 가토군 소속 부대 영천 전투에서 패전
    조선물어, 1597년 9월 29일 기록, 이곳 영천에서 임진년에 죽은 왜군의 해골 3천이 창고에 보관

    59 (스압)미스테리어스 근혜+ [새창] 2016-11-18 02:25:50 58 삭제
    쉬뢰딩거의 간철수ㅋㅋㅋ
    58 원 게시글이 삭제되었습니다. [새창] 2016-11-18 00:22:42 3 삭제
    원순씨 엑스파일에서 나왔습니다. 원순 씨X 파일... 좋지 않은 네이밍 센스였죠.
    57 (나는 쿨하다 나는 쿨하다) .. [새창] 2016-10-14 14:56:50 0 삭제
    https://www.youtube.com/watch?v=1FuR1lAJcTg
    부시맨으로 자란 소녀, 동물과 대화하는 티피라는 아인데 영상 59초부터 치타 10여 마리하고 놉니다. 다른 영상에서 티피와 함께 몸을 부대끼며 노는 뱀, 표범, 코끼리, 사자와 달리 치타들은 티피에게 거리를 잘 안 줍니다.
    56 이거 뭔지 아시는분 있나요 [새창] 2016-08-23 12:13:03 0 삭제
    메이지 18년(1886년) 발행 1엔 은화 (현재가 35,000원 상당)
    청나라 마제은(해관량) 2냥 (판매가 50달러 상당)
    검색해보니까 이정도네요. 19세기에 비해 현재 금 대비 은 시세가 10분의 1로 하락했습니다.
    55 (약스압) 흔히 잘못 알고 있는 사소한 역사적 오류들 Ⅱ [새창] 2016-06-21 19:20:20 6 삭제
    모두 1백 13만 3천 8백 명인데 2백만 명이라 하였으며, 군량을 수송하는 자는 그 배였다. <수서 권8>
    군량을 운반하는 치중병까지 합하면 300만 대군입니다.
    물론 전투병 백만 대군을 구성하는 30개 군 내에도 일부 치중병이 소속됐습니다만, 이들은 무장한 전투병으로 분류됩니다.
    54 그 춘추시대 사자성어 한개만 여쭤볼게요 [새창] 2016-06-02 05:53:52 0 삭제
    찾아보니 선종외시(先從隗始) 선시어외(先始於隗)네요. '천리마의 뼈'가 같은 고사에 나온 내용입니다.
    53 조선시대 호칭에서요, 무관이 종2품이라면 호칭이 대감인가요 장군인가요? [새창] 2016-05-27 21:33:01 3 삭제
    호칭은 같은 조선시대라 해도 시기에 따라 많이 달라집니다. 조선전기와 후기를 동일하게 놓고 보면 안 됩니다.

    영감은 종2품(또는 정2품 하계 자헌대부)부터 정3품 상계(절충장군, 통정대부)까지, 또는 당상관이 아닌 정3품 하계까지의 호칭입니다. 영감 이상은 대감, 영감 이하 6품까지는 나리 호칭을 쓰는 게 보통입니다. 그리고 기준 품계가 아니라 그 관원의 실제 품계를 기준으로 호칭을 정합니다.
    충무공을 통제사 대감이라고 부른 이유는, 삼도수군통제사 기준 품계가 종2품 하계 가선대부라서 원래는 영감급이지만 충무공이 1597년 초반까지, 그리고 1598년 5월 이후 실제 품계가 정2품 상계 정헌대부였기 때문에 가능한 호칭입니다.

    장군이라는 호칭은 품계명이나 직책이 ~장군(절충장군, 어모장군 등)이면 두루 다 쓸 수 있습니다만, 여러 장군들이 모여 있을 때에는 주장(主將)만을 뜻하는 호칭이기도 합니다.
    사또는 조선 중기까지 작전부대 전체의 주장, 즉 최고지휘관 1인에 대한 호칭입니다. 조선 초기에는 관찰사와 병마절도사에게만(실록에 왜인이 '두 분 사또'라고 부른 용례가 있습니다), 임란 이전까지는 수군절도사와 어사까지 붙은 호칭입니다. (품계상 고위 지휘관인 도순변사와 순변사, 체찰사, 도원수, 방어사에게도 붙었겠지요) 17세기부터 목사와 부사(남원부사 변사또), 고종 때부터는 군수, 현령, 현감 등 고을 원님들에게도 사또 호칭이 붙습니다. 현대 상식과 달리 조선시대에 원님을 사또라 부른 시기는 매우 늦은 편입니다. 실록에서 사또를 쭉 검색해보시면 쉽게 이해하실 겁니다.

    조선말기를 제외하고, 야전에서 병마절도사나 통제사, 수사를 부르는 호칭은 사또가 가장 알맞습니다. 사또가 주장을 뜻하기에 용례상 수군절도사 혼자 있을 때는 그가 사또로 불리더라도, 통제사 밑에서 작전중일 때는 수사가 사또로 불리기 어려울 겁니다.
    정만록 등 임진왜란 기록들을 보면 병마절도사를 판서와 같은 급인 병상(兵相)으로 흔히 호칭합니다. 병조판서가 아닌데도 병사 품계가 그에 준한 경우가 많아 판서급 호칭 인플레이션이 적용된 셈입니다.

    결국 질문에 대한 정확한 답은 사또인데 현대인들의 상식과 달라 오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52 충격과 공포의 이완용을 칭송하는 공덕비 [새창] 2016-05-06 12:58:09 1 삭제
    13도제는 1896년 시행됐습니다.
    고종실록 34권, 고종 33년 8월 4일 양력 4번째기사 1896년 대한 건양(建陽) 1년 지방 제도와 관제 개정에 관한 안건을 반포하다국역원문 . 원본 보기
    칙령(勅令) 제36호, 〈지방 제도와 관제 개정에 관한 안건〔地方制度官制改正件〕〉을 재가(裁可)하여 반포(頒布)하였다.

    전국의 23개 부(府)를 13개 도(道)로 개정하였는데 수부(首府)의 위치는 경기도(京畿道) 【수원(水原)】 , 충청북도(忠淸北道) 【충주(忠州)】 , 충청남도(忠淸南道) 【공주(公州)】 , 전라북도(全羅北道) 【전주(全州)】 , 전라남도(全羅南道) 【광주(光州)】 , 경상북도(慶尙北道) 【대구(大邱)】 , 경상남도(慶尙南道) 【진주(晉州)】 , 황해도(黃海道) 【해주(海州)】 , 평안남도(平安南道) 【평양(平壤)】 , 평안북도(平安北道) 【정주(定州)】 , 강원도(江原道) 【춘천(春川)】 , 함경남도(咸鏡南道) 【함흥(咸興)】 , 함경북도(咸鏡北道) 【경성(鏡城)】 이다.

    이완용이 전라북도 관찰사에 제수된 실록 기사입니다.
    고종실록 37권, 고종 35년 3월 11일 양력 1번째기사 1898년 대한 광무(光武) 2년 이완용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국역원문 . 원본 보기
    비서원 경(祕書院卿) 이완용(李完用)을 전라북도 관찰사(全羅北道觀察使)에,
    51 제가 차단당하더라도... [새창] 2016-01-14 17:54:15 0 삭제
    앗! 모르고 추천했습니다.
    50 원 게시글이 삭제되었습니다. [새창] 2016-01-03 04:20:14 0 삭제
    예. 원균옹호론자들은 상식적으로 수군이 육군보다 많을 리가 없다고 하는데, 삼남지방에 수군이 많고 함경도에 기병이 많은 게 더욱 합리적입니다.
    그리고 서류에 적힌 숫자는 실전에서도 동원 가능한 숫자였고 전시에는 부방군, 私奴, 寺奴 등이 더 충원됐습니다. 전라수군이 11.836명이고 전라우수영이 전라좌수영보다 수군 정원이 2배 많은데 전라좌수영 6,200여 명 <충무공 계사년 8월 10일 장계>이 전시 동원 중입니다.
    49 원 게시글이 삭제되었습니다. [새창] 2016-01-03 03:57:50 1 삭제
    전선의 개조와 개삭 연한(戰船改造 改槊年限)

    통영(統營)의 전선(戰船)ㆍ방선(防船)ㆍ병선(兵船)은 80개월인데, 20개월을 추가하여 도합 100개월이 지난 뒤에야 개조한다. 경상좌수영(慶尙左水營)의 전선ㆍ방선ㆍ병선은 60개월인데, 20개월을 추가하여 도합 80개월이 지난 뒤에 개조한다. 이상의 선박은 모두 쇠못을 사용하므로 개삭은 없다. 전라 좌수영(全羅左水營)과 우수영(右水營)의 전선ㆍ방선ㆍ병선은 84개월이 지난 뒤에야 개조한다. 이상의 선박은 다 쇠못을 사용하므로 개삭은 없다. 충청도 수영(忠淸道水營)의 전선은 30개월 지난 뒤에 개삭하며 3차례 개삭한 뒤에 개조한다. 방선은 36개월 뒤에 개삭하며 3번 개삭한 뒤엔 개조한다. 병선은 36개월 지나서 개삭하며 다섯 번 개삭한 뒤엔 개조한다. 경기수영(京畿水營)의 전선과 방선은 5년 후에 처음 개삭하고, 9년만에 두 번째 개삭하며, 13년 후에 세 번째 개삭하고, 17년 뒤엔 개조한다. 병선은 일정한 기한이 없고 파손되는데 따라 조사한 뒤에 개삭하며, 여러 번 개삭하여 전체가 낡으면 개조를 허락한다. 황해도수영(黃海道水營)의 전선ㆍ방선ㆍ병선은 5년 만에 처음 개삭하고, 8년만에 두 번째 개삭하며, 11년 만에 세 번째 개삭하고, 14년 만에 개조한다. 평안도(平安道) 삼화(三和)의 방선ㆍ병선은 5년마다 개삭하고, 10년에 개조한다.



    [1] [2] [3] [4] [5] [6]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