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요플레인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12-03
    방문 : 634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요플레인님의 댓글입니다.
    번호 제목 댓글날짜 추천/비공감 삭제
    367 과학의 발전이 인류와 동화되기 어려울 경우 [새창] 2014-06-22 13:41:00 1 삭제
    글쓴 분께서 본문에 "불임 부부들이 출산을 위해서 시험관을 통해 아이를 갖기위해 노력하는 것은 사실 찬성이에요. 이 문제도 수 많은 논란이 되기는 했지만 대체적으로 이렇게 태어난 아이들이 크게 차별을 받거나 논란의 중심이 되지는 않으니까요"라고 하신 것처럼
    인공자궁을 통해 태어난 아이들도 '논란이 되기는 하겠지만 크게 차별을 받거나'하지는 않을겁니다. 시험관 아기도 엄청난 논란거리였었죠. 논란의 중심이었었습니다.
    366 인공자궁 전 찬성입니다 [새창] 2014-06-21 20:25:25 11 삭제
    시험관 아기 조차도 큰 논란거리였죠. 프랑켄슈타인의 탄생이니, 윤리의식이 사라지고 인권이 바닥에 떨어질것이라느니 하는 얘기들도 많았구요.

    저도 인공자궁은 동의합니다. 있다고 해서 모든 사람이 인공자궁을 쓰지도 않을 테고 마치 시험관 아기처럼 인공자궁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사람들이 제일 많이 사용하지 않을까 싶기는 하네요. 직접 낳지 않았으니 부모의 정이란 것이 없을 거란 얘기는, 모든 입양부모들은 입양아에 대해 일절 애정이 없는 차가운 관계라는 말과 동치로 들려요. 그것도 부모의 유전자를 그대로 물려받은 아이인데 말이에요.
    임신 시에 여성에게 나타나는 각종 임신관련 질환과 불편함, 그리고 출산 시에 겪어야 하는 고통 등을 생각해보면 안전한 인공자궁이 있으면 좋으면 좋았지 나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365 사카린의 진실 [새창] 2014-06-18 22:58:41 20 삭제
    순진한놈넘// 무해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 아니라 무해합니다.
    MSG가 뭐냐 하면 MonoSodiumGlutamate, 즉 단백질 구성성분인 아미노산에 나트륨 하나가 붙은 것 뿐이거든요.
    364 송전탑 유해성 [새창] 2014-06-13 10:42:05 1 삭제
    http://www.who.int/peh-emf/publications/factsheets/en/
    WHO에서 관련 연구를 결과낸 걸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363 원 게시글이 삭제되었습니다. [새창] 2014-06-11 01:50:34 0 삭제
    는 긴 글 때문에 댓글이 늦었네요. 다른 분들도 저처럼 장문의 댓글을 쓰느라 늦는걸거에요ㅋㅋ
    362 원 게시글이 삭제되었습니다. [새창] 2014-06-11 01:49:48 2 삭제
    미생물이라고 하면 바이러스가 유전자를 옮기고 옮겨주기도 하죠. 바이러스 중 자신의 유전자를 숙주의 염색체에 삽입했다가 활성을 띠는 녀석들은 나중에 숙주를 빠져 나올 때 숙주의 유전자를 실수로 들고나와서 다른 숙주에게 옮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가 고등동물에게서도 일어나는지는 모르겠지만 식물과 동물에게 동시에 감염되는 바이러스가 존재하지도 않을 뿐더러 그런 일이 있어도 지구가 멸망하기 전에 한번쯤 있을 거 같네요...;; 식물끼리의 경우여도, 그것이 해당 개체에게 도움이 된다면 자연선택에 의해 살아남고, 그렇지 못한다면 죽을 거 같지만 작성자님 말씀처럼 매우 희박한 케이스일 것 같습니다.

    사람들이 주로 GMO를 섭취하는 것에 대해 큰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데 솔직히 GMO 식품을 먹어봤자 별 일 일어나지는 않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GMO를 먹으면 자신도 유전자 변형이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하는 거 같은데... 대체 이게 어떻게 가능할지 모르겠습니다. 소화과정이라는 것이 괜히 있는 것도 아니고, 핵산도 잘 소화됩니다. 특이하게 소화 불가능한 것이 있어서 그것이 흡수되어 우리에게 해를 끼칠지도 모르지 않냐고 할 지 모르겠지만, GMO 작물들은 대체로는 안에 비타민과 같은 특정 영양소 생성 유전자, BT 같은 해충에 강한 유전자 등 원래 자연에 존재하는 유전자를 집어넣는 거죠. 병충해에 강한 BT GMO 작물의 경우에도 BT toxin자체는 인체에 무해한것이 자명했고, 이로인해 생태계에 교란이 와서 큰 문제였던 것이었죠.
    그리고 GMO를 이용해서 돈을 벌려고 한다고 비난받는 기업이 있다는 건 알지만 그건 생물학적인 문제와는 별개이니 빼도록 하고, "병충해와 가뭄같은 열악한 환경에서 잘 자라고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해 줄 수도 있는 작물"이 원래 GMO의 취지인걸로 압니다. 걔들이 싼 이유는 같은값에 더 잘 자라기 때문이죠. 아프리카에 염소 보내기 캠페인 같은거 하는 걸로 아는데 열악한 환경에서 쉽게 자라는 작물을 키우도록 해주는 건 어떨까요?
    제 생각에 GMO 작물의 가장 현실적인 문제점은 위에 예시로 든 BT 작물같은 생태계 교란 문제라고 봅니다. 이건 도입하기 전까진 예측하기가 너무 힘든 문제이고, 역사적으로도 외래종 도입 등으로 여러번 나타났던 문제점이기 때문이죠.
    반면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생물학적 위험? 있을지도 모르죠. 하지만 GMO가 도입된 지 꽤 오랜 시간이 지난걸로 보입니다. 침묵의 봄-GMO편 같은 게 벌써 나왔어도 이상하진 않아 보이는데.... 위에 쓴 것처럼 GMO로 굶어 죽을 위기에 처한 사람들을 도울 수 있다면 그러는게 차라리 맞지 않나 싶습니다. 물론 GMO라는 정보를 제공하고요. 솔직히 굶는 것이 나은지, 근거는 없지만 생물학적 위험이 있을지도 모르는 음식을 먹는게 나은지는 잘 모르겠네요...
    361 생물 염기서열 질문있는데요 [새창] 2014-06-10 23:27:42 0 삭제
    맞아요. coding strand가 non-template이고 non-coding strand가 template입니다. 같은 걸 다르게 지칭하는 것 뿐이에요.
    그리고 문제는 어떻게 나올지는 모르겠네요.
    360 V8 야채주스 진짜 맛없는데 중독성 있네요 저 변탠가요? [새창] 2014-06-08 15:28:11 0 삭제
    전 당근 맛 나던데?????? 당근 베이스에 토마토 조금 들어있고 뭔가 섞은느낌??? 싸서 사왔는데 맛있더라구요 제가 토마토랑 당근주스를 좋아해서 그런가 ㅋㅋㅋㅋㅋㅋ
    359 원 게시글이 삭제되었습니다. [새창] 2014-06-06 00:03:05 0 삭제
    spectrometer 생각하고 왔는데 학교동아리면 윗분 댓글처럼 colony forming unit으로 재는게 좋을듯해요.
    일정만큼 연속희석시켜서 각각 배지에 도말한 후 콜로니 수를 세는 방법이에요.
    358 beta-glucanase 랑 beta-amylase 차이점? [새창] 2014-06-06 00:01:37 0 삭제
    효소가 보리 안에 있는 게 아니라 전분이 보리 안에 있죠.
    amylase는 당을 2개씩 자르고 glucanase는 당을 4개씩 자르죠. 이런건 위키 검색하면 금세 뜰 텐데요...
    357 물은답을알고있다?? [새창] 2014-06-05 01:04:42 0 삭제
    유사과학이죠. 공지에도 관련 글 올라와있으니 참고해보시길..
    356 [익명]'교수님과 대판 싸웠습니다' 해당 대학 재학생입니다. [새창] 2014-06-03 01:02:00 0 삭제
    강의평가를 하는 건 보통 성적이 좋게 나오고 마음에 드는 강의였거나 아니면 정말 마음에 들지 않았던 강의 둘 중 하나의 경우에 하는 경우가 많죠.(저도 그래서 강의평가만 믿다가 피 본 경우가;) 또 수업 내용이나 시험이 어렵거나 학점이 짜지 않은 이상 대부분은 강의평가를 '잘 주려고'하는 경우가 많죠. 호불호 설문같은거 할 때 조금 마음에 들지 않는 상황이어도 대부분이 '보통'을 선택하는 것처럼요.

    그리고 조금 동 떨어진 얘기이지만... 애니어그램을 비판할 때 '어떻게 사람 성격을 유형별로 나누냐'고 하시지만 실제로 심리학에서도 사람 성격을 '유형별'로 나누고 있죠. A type/B type처럼요. 상대적인 개념이기는 하지만 평균보다 덜 공격적인 사람과 더 공격적인 사람이 존재하는 것처럼 성격을 유형별로 나누는 것 자체는 유사과학의 근거가 아니지요. 애니어그램이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비판받는 것이 올바른 것이지요.
    355 과학 토론 질문 [새창] 2014-06-02 00:23:38 0 삭제
    질문자님 반박 내용이나 댓글 내용을 보면 생명과학 시간이 아니라 법 관련 수업에서 다룰 내용인거같네요...
    첫 댓글님 말씀처럼 생물학적 아버지이기 때문에 두 사람의 자식이다 외에 생물학적으로 관련있는 내용은 없는거 같아요.
    근데 정자는 죽으면 정자은행에서 폐기시키나요? 배우자 의사와는 관계없이?? 신기하네요.
    354 영화에서 나오는 기생충들이 실제로 나타난다면. [새창] 2014-06-02 00:06:04 0 삭제
    그런 기생충들이 그런 생각을 하고 '의도'를 가지고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그것도 진화에 의한 본능입니다. 지능이 있어서 하는 행동이 아니라요.
    매체에서의 살인기생충, 엄청난 능력을 가진 기생충 같은 경우는 공포를 끌어올리기 위한 과장이고 '허구'지요. 연가시만 봐도 인체에 감염된 사례가 있기는 하지만 평소보다 목 마르네? 물 좀 마셔야지 정도 뿐이었죠.
    353 인간의 육체는 아직도 동굴벽화 남기던 시절에 최적화 되어있다.? [새창] 2014-05-30 00:46:24 1 삭제
    하지만 이렇게 갑자기 탄수화물을 끊어버리면 장내 정상균총들한테 무슨 영향이 갈지가 궁금하네요. 일단 단백질로 어찌저찌 견딜지도 모르겠지만....
    장 내 정상균총이 비만과 관련있다는 연구결과가 있거든요; 그리고 비만이든 아니든 장내 균들이 꼴까닥 하면 사람에게도 절대 좋지많은 못하니..



    [◀이전10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