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큐컴버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07-07
    방문 : 500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큐컴버님의 댓글입니다.
    번호 제목 댓글날짜 추천/비공감 삭제
    192 영어게시판 이용자분들 안녕히 계세요^^ [새창] 2015-08-08 14:17:05 0 삭제
    좋은 글 많이 올려주셔서 감사했습니다. 기분 상할 일 있으셨다면 너무 마음쓰지 마시길 바래요...
    191 에스컬레이터 아저씨 일침 [새창] 2015-08-08 14:05:26 0 삭제
    제가 쓴 안전사고 발생률에 대한 부분은 윗쪽 다른분이 댓글 남겨주신 연간 부상자 인원수를 근거로 두고 말한 것인데요. 발생 건수가 아니라요. 만약 에스컬레이터상에서 한 사람이 넘어져 줄줄이 균형을잃고 스무 명이 다쳤다면 그 스무 명 전부를 부상자에 넣지 않았을까요...? 그걸 고려해보면 후폭풍 전부를 감안해 부상자 수가 수백명 선이니 실제 발생 건수는 더 적겠네요
    190 에스컬레이터 아저씨 일침 [새창] 2015-08-08 01:28:56 41 삭제
    결론적으로는

    한줄서기가 기계 고장에 주는 영향은 미미하며 그보다는 다른 요인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무엇보다 우리나라 외 두줄서기를 이토록 장려하는 나라는 거의 없거나 아주 없음. 오히려 한줄서기가 기본적 에티켓. 게다가 에스컬레이터 위 이동중 안전사고 발생률은 계단을 오르다 넘어지는 것과 별반 다를 바 없는 수준...?
    188 허접하게 영어 해석을 해보았는데 봐주실 수 있을까요? [새창] 2015-06-30 23:07:41 0 삭제
    you can be an ambassador or representative from your country.
    Try not to carry a clip-board with the list of questions to ask with you.
    This is not a survey taking exercise.
    This is to be conducted as a natural, free-flowing conversation.

    한국의 대사관이나 대표자가 되었다고 생각하세요.
    질문거리 리스트를 챙길 필요는 없습니다.
    이건 설문조사가 아니니까요.
    자연스러운 대화가 되어야 합니다.

    Ask your questions: Use rejoinders and follow-up questions. And be sure to listen to their answers to respond properly! This is real conversation practice!
    질문하기 : 외국인의 대답을 듣고 거기에 맞추어 질문하세요. 대답을 잘 듣고 적절히 대응하세요. 실제 대화처럼요.

    you should do this project along with someone who can video your conversations on your smartphone.
    대화를 스마트폰으로 촬영해 줄 사람과 같이 수행해야 합니다.

    You will talk with at least 2 groups of foreigners, but only need to prepare one video of your best interview to show in class.
    대화는 최소 두 그룹 이상의 외국인과 해야하지만 수업시간에 보여줄 비디오는 가장 괜찮은 것으로 하나만 준비하면 됩니다.

    This will be a listening exercise, where you will listen at home to your interviews and write down as best you can what the foreigners said in response to your questions.
    집에서 자기 인터뷰를 직접 들어보고, 질문에 대한 외국인의 대답을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해) 받아적을 수 있는 듣기 연습이 될 것입니다.

    With each conversation transcript, write the name of the foreigner(s), what country they are from, and what stage of culture shock you think they are experiencing.
    그 대본을 가지고 외국인의 이름, 국적, 그리고 그 외국인이 어느 정도의 문화적 차이를 겪고 있는 것 같은지 써 주세요

    Also attach their photo to the transcript, or print one page with all the photos together.
    사진은 대본에 첨부하거나 한 페이지에 모아 출력해도 됩니다.
    187 원 게시글이 삭제되었습니다. [새창] 2015-06-11 14:39:00 1 삭제
    필리핀만 6개월정도 다녀온 사람이 있는데 전혀 늘지 않았습니다. 본인은 그냥 좋은 경험했다고 생각하더라구요.
    북미쪽에 있었을 땐 필리핀 3개월 + 캐나다 9개월 형식으로 온 사람들을 많이 봤습니다. 아무래도 필리핀 쪽 물가나 인건비가 어마어마하게 저렴하다보니 저런 식으로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북미쪽에서 본격 공부를 시작하기 전 3개월동안 입이나 좀 풀고 오자 이런 목적인 것 같았습니다.

    단순히 자신감이나 좀 길러보자, 감각이나 좀 익혀보자 하는 생각이시면 가격대비 괜찮습니다만, 제대로 된 영어를 배우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필리피노들은 broken English를 굉장히 많이 구사하며, 폄하하는 것은 아니고 그 사람들 입장에선 정말 일상회화 할 때 쓰는 영어이니 당연합니다. 조금이라도 수준있는 단어나 문법 배우는 건 포기하셔야 할 겁니다.

    정 돈이 걱정이시면 차라리 워홀을 가세요. 아니면 불법이지만 그냥 학생/관광비자로 가도 한인사업장에서 최저임금 좀 못 받고 일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한국 최저보단 높으니까요)
    186 '행동'에 대한 차단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새창] 2015-05-15 23:50:51 1 삭제
    정말 공감합니다. 윗분들 말씀처럼
    1) 어차피 시스템상 여시 자체를 차단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2) '너 여시지' 와 같은 프레임 씌우기 및 몰아가기가 성행하기를 바라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184 토익 문법 고수분들 도와주세요ㅋㅋ 으 마지막 [새창] 2015-04-25 19:49:30 0 삭제
    1. despite는 전치사이고 nevertheless는 접속사입니다. 전치사 뒤에는 명사가 붙고 접속사 뒤에는 주어+동사를 포함한 새로운 문장, 즉 '절'이 옵니다. 본문에서 빈칸 뒤에 오는 것은 the establishment (of 어쩌구저쩌구) 인 '명사'이므로 전치사인 despite가 되겠습니다. 비슷한 예로, because of 뒤에는 명사만 오고 because 뒤에는 주어동사가 옵니다.

    2. occupancy - '점유' 혹은 '사용'이라고 나오는데, 한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말합니다.
    해석상 풀기는 애매한 문제인데요. upon이라는 전치사의 뜻이 많아서 한국인 입장에선 무엇인지 감이 안 오거든요. 그냥 뭐 구매하신 물건이 짐이라서 그걸 내려준다는 건가 싶기도 하고, 고객과 업체의 파트너쉽에 의거하여 이런 서비스를 제공해주는건가 싶기도 하고...

    보시면 빈칸 앞에 a나 the같은 관사가 붙지 않는 걸 볼 수 있습니다. the는 뜻에 따라 붙을 때도 있고 안 붙을 때도 있고 옵션입니다. 헌데 a와 같은 관사는 '명사가 단수일 경우 필수'입니다. 보시다시피 보기 A~D 모두가 단수명사네요. 왜 a가 안 붙었을까요? 불가산명사이기 때문입니다. 셀 수 없는 명사에는 단수일지라도 a가 붙지 않습니다.

    보기 중 셀 수 없는 명사는 A뿐입니다. (네이버 사전에 검색했을 때 앞에 [C]라고 붙어 있으면 가산명사, [U]라고 붙어 있으면 불가산명사입니다. 둘 다인 경우도 있습니다)

    토익 문제들은 해석상 애매할 경우에는 가산/불가산으로 나누는 명사들을 사용하여 확실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니 참고하세요.

    3. 공회전은 빈 회전이에요 말 그대로. 시동을 걸어놓고 운전을 안 하는 겁니다. 잠시 갓길에 정차했을 때 시동을 끄지 않고 덜덜거리며 멈춰있는 걸 말합니다.
    183 ♬배경음악이 돋보였던 한국영화들~♬ [새창] 2015-04-22 00:07:20 0 삭제
    영화 추격자 ost - 여전히 비 내리는 밤

    마지막 장면에서 흘러나오는데 참 좋았어요

    https://m.youtube.com/watch?v=hQ6mICIk8Aw
    182 i like it here [새창] 2015-04-02 22:35:36 0 삭제
    I like here는 일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문장입니다. 구글링을 해 보니 원어민이 쓴 다음과 같은 예문이 있네요.

    Well, you might like there, but I like here

    하지만 작성자님 말대로 엄밀히 말하자면 문법에 맞지 않으므로 가벼운 일상 대화에서만 사용되고 공적인 자리에서는 I like it here를 쓰는 게 맞다고 합니다. 어쨌든 에브리데이 잉글리쉬에서는 전혀 어색함 없이 사용되는 문장입니다.
    181 원 게시글이 삭제되었습니다. [새창] 2015-03-31 00:21:52 1 삭제
    정말 죄송한데 예쁜 음악블로그를 운영하고 싶고 거기다 멋들어진 가사와 해석까지 올리고 싶으시면 처음부터 목적을 밝히시고 도움을 요청하신 다음 포스팅에다가는 오유의 누구누구에게 가사 해석을 도움받았다고 쓰기라도 하세요. 영어게시판에 올린 글이 수십개신데 전부다 가사 해석을 요청하는 글이고, 노래 한 곡을 번역하는 게 십분만에 뚝딱 되는 일도 아닌데 그냥 복사 붙여넣기, 본인 블로그에는 일언반구 말도 없고....

    분명 같은 글을 본 것 같아서 닉네임 클릭해보니 기도 안 차네요. 본삭금이라도 거시든가 나름대로 해석하려는 시도라도 해 보신 다음에 막히는 부분을 질문하시든가...
    180 홍가혜 "고소 남발이라고? 이걸 보고 그런 말 할 수 있나" [새창] 2015-03-27 09:02:00 3 삭제
    5년만버티자/ 해당 지인분은 이미 벌금형 받은 상태입니다. 초범이고요. 26일자 기사에 다음주에나 조치가 하달될 예정이라니 이미 기소된 분들은 어떻게 되나요? 제가 법에 대해서는 무지하지만 본인 말로는 이미 기소된 이상 벌금이 내려가거나 무죄판결이 나는 수밖에 없다던데요.
    179 홍가혜 "고소 남발이라고? 이걸 보고 그런 말 할 수 있나" [새창] 2015-03-27 08:32:59 1/4 삭제
    1111 슬슬 무서워져서 첨언합니다. 제 댓글의 내용은 전적으로 해당 지인분의 말에 의존한 것이며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178 홍가혜 "고소 남발이라고? 이걸 보고 그런 말 할 수 있나" [새창] 2015-03-27 08:12:35 30 삭제
    1 일베 수준 아니면 걱정할 필요 없다구요;? 고소 남발..로 지적받는 부분은 본문과 같은 수위의 댓글들이 아닙니다.

    지인이 고소를 당했습니다. 당시 폐쇄형 커뮤니티에 올라온 기사를 읽고 화가 나서 xx년 단어 하나를 댓글에 남겨서였고, 처음부터 선턕지는 두 가지였다고 합니다. 합의 200 아니면 너 고소.

    그 분은 처음에 자기가 인터넷에서 사람을 상대로 욕설을 쓴 건 엄연한 잘못이므로 그다지 억울하지는 않으며, 좀 당황스럽긴 해도 담담히 받아들이는 수밖에 없다고 했습니다. 헌데 이 분을 좀 화나게 한 건 최근 풀리는 이 같은 기사들이었습니다.

    지속적으로 얪들의 가장 수위높은 극단적 사례를 풀며 피고소인들을 입에도 못 담을 말을 남발하는 쓰레기로 몰아가는 게 환장하겠다더군요. 심지어 울고불고 빌어서 합의해줬다(사실관계 확인된 적 없는 발언임)는 말까지 인터넷에 나돌고...

    요점은, 본문에 올라온 수위의 댓글 작성자들은 고소당하든 말든 알바아니지만 저게 전부가 아니라는겁니다. 저런 것만 고소한 게 아니에요. 왜 자꾸 극단적 사례만 풀리는지 모르겠네요.



    [1] [2] [3] [4] [5] [6] [7] [8] [9] [1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