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mystery_5731
    작성자 : 헨리죠지
    추천 : 15
    조회수 : 7399
    IP : 219.255.***.203
    댓글 : 29개
    등록시간 : 2015/03/24 18:41:17
    http://todayhumor.com/?mystery_5731 모바일
    [BGM/펌] 외계와 접촉 시도를 위한 인류의 노력들
    <embed src="http://player.bgmstore.net/Wi2W4" width="422" height="180"><br><a target="_blank" href="http://bgmstore.net/view/Wi2W4" target="_blank">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Wi2W4</a>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p class="바탕글"><font size="2"></font></p> <div style="text-align:center;"><font size="2"><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3/1427187205LVi7w1V1DWfStI4wSlpP7MP.gif" width="800" height="599" alt="스마일~1.gif"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font></div> <p></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천문학에 대해 무지하던 옛날에는 그저 신과 관련 지어서 이야기 할 수 밖에 없었던 우주와 외계, 그리고 외계인.</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지구인들은 관측의 발달과 외계에 대한 동경, 경외와 공포, 그리고 호기심으로 인해 점차 외계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size="2">그래서 얼마나 우주에 대해 아는가를 생각해 보게 되었고, 저는 무식하기 때문에 우주를 그저 크다고만 생각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font><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물론, 제 경우엔 교과서에나 나오는 그냥 별 이야기나 SF 소설들로 접하게 되는 외계는 그냥 경외의 대상이었지만 </span><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과학자들 눈에는 파고 들어 반드시 증명해야 될 과제였지요.</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br></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size="2">그래서 지구인이 우주, 외계에 대해 알기 위해, 그리고 혹시 있을 외계인과의 접촉을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에 대해 괴게에 글을 남기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씁니다.</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face="맑은 고딕" size="4"><b>1) 보이저 1호와 골든 디스크</b></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font></p> <div style="text-align:center;"><font size="2"><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3/1427187412k3pv4K2iP2joCyi8hgdH8Y.gif" width="800" height="732" alt="golden_record_cover.gif"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font></div><font size="2"><br></font> <p></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size="2"> 1977년에 발사된 보이저 탐사선 두 대에 실린 축음기 </font><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음반으로, 지구상의 생명체와 문화의 다양성을 알리기 위한 소리와 영상이 기록되어 있다.</span></p> <p class="바탕글"><br></p> <p class="바탕글"></p>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3/1427187501UJxqqprvlofO7jgMwWpBxknxf5MTmA.jpg" width="300" height="377" alt="300px-The_Sounds_of_Earth_-_GPN-2000-001976.jpg" style="border:none;"></div><br><p></p> <p class="바탕글"><font size="2">이는 외계에 있는 </font><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지성체가 발견하라고 실려 있는 것이지만, 보이저가 다른 별에 가까이 가는 데에는 4만 년 정도가 걸리기 때문에 누군가 찾으러 오지 않는 이상 이 음반이 발견되기까지는 최소한 그 정도가 걸린다. 보이저 탐사선의 크기도 너무 작기 때문에 발견될 가능성도 적다. 따라서 이 음반을 정말 누군가가 받는다고 해도 상당히 먼 미래일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이는 정말로 외계인과 교신하기 위한 시도라기보다는 오히려 상징적인 것이다.</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br></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size="2">수록된 내용으로는 칼 세이건이 의장으로 있는 위원회에서 결정되었는데, 115개의 그림과 파도, 바람, 천둥, 새와 고래의 노래와 같은 자연적인 소리, 서로 다른 문화와 시대의 음악, 55개의 언어로 된 인삿말, 당시 미국 대통령 지미 카터와 쿠르트 발트하임(Kurt Waldheim) 사무국장의 메시지로 이루어졌다. 115개의 그림은 음반에 아날로그 형태로 기록되어 있다. 나머지는 분당 16⅔ 회전으로 돌리도록 되어 있다. 인삿말은 6000년 전 수메르에서 쓰였던 아카디아어부터 시작하여 현대 중국어의 한 방언인 오어로 끝난다.</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p>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3/1427188311Gv2ap4SZqBD7YSzEEU.png" width="691" height="269" alt="캡처sdfb.PNG" style="border:none;"></div><br><p></p> <p class="바탕글"><br></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size="2">지구의 소리 뒤에는 90분짜리 음악이 실려 있다.</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ul style="margin:0px;padding:0px 0px 0px 30px;color:#333333;"><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a title="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href="http://ko.wikipedia.org/wiki/%EC%9A%94%ED%95%9C_%EC%A0%9C%EB%B0%94%EC%8A%A4%ED%8B%B0%EC%95%88_%EB%B0%94%ED%9D%90"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바흐</font></u></a>, <a class="new" title="브란덴브루크 협주곡 (없는 문서)" href="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EB%B8%8C%EB%9E%80%EB%8D%B4%EB%B8%8C%EB%A3%A8%ED%81%AC_%ED%98%91%EC%A3%BC%EA%B3%A1&action=edit&redlink=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브란덴브루크 협주곡</font></u></a> 제2번 바 장조, 1악장. 뮌헨 바흐 오케스트라(Munich Bach Orchestra), <a class="new" title="카를 리히터 (없는 문서)" href="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B9%B4%EB%A5%BC_%EB%A6%AC%ED%9E%88%ED%84%B0&action=edit&redlink=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카를 리히터</font></u></a> 지휘. 4:40</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a title="자와 섬" href="http://ko.wikipedia.org/wiki/%EC%9E%90%EC%99%80_%EC%84%AC"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자와</font></u></a>, court gamelan, 〈Kinds of Flowers〉, Robert E. Brown 녹음. 4:43</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a title="세네갈" href="http://ko.wikipedia.org/wiki/%EC%84%B8%EB%84%A4%EA%B0%88"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세네갈</font></u></a>, percussion, Charles Duvelle 녹음. 2:08</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a title="자이르" href="http://ko.wikipedia.org/wiki/%EC%9E%90%EC%9D%B4%EB%A5%B4"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자이르</font></u></a>, Pygmy girls' initiation song, Colin Turnbull 녹음. 0:56</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a title="오스트레일리아" href="http://ko.wikipedia.org/wiki/%EC%98%A4%EC%8A%A4%ED%8A%B8%EB%A0%88%EC%9D%BC%EB%A6%AC%EC%95%84"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오스트레일리아</font></u></a> 원주민의 노래, 〈Morning Star〉와 〈Devil Bird〉, <a class="new" title="Sandra LeBrun Holmes (없는 문서)" href="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Sandra_LeBrun_Holmes&action=edit&redlink=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Sandra LeBrun Holmes</font></u></a> 녹음. 1:26</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a title="멕시코" href="http://ko.wikipedia.org/wiki/%EB%A9%95%EC%8B%9C%EC%BD%94"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멕시코</font></u></a>, 〈El Cascabel〉, performed by <a class="new" title="Lorenzo Barcelata (없는 문서)" href="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Lorenzo_Barcelata&action=edit&redlink=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Lorenzo Barcelata</font></u></a> and the <a class="new" title="Mariachi México (없는 문서)" href="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Mariachi_M%C3%A9xico&action=edit&redlink=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Mariachi México</font></u></a>. 3:14</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a class="new" title="Johnny B. Goode (없는 문서)" href="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Johnny_B._Goode&action=edit&redlink=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Johnny B. Goode</font></u></a>", written and performed by <a class="new" title="Chuck Berry (없는 문서)" href="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Chuck_Berry&action=edit&redlink=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Chuck Berry</font></u></a>. 2:38</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a class="mw-redirect" title="뉴기니" href="http://ko.wikipedia.org/wiki/%EB%89%B4%EA%B8%B0%EB%8B%88"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뉴기니</font></u></a>, men's house song, <a class="new" title="Robert MacLennan (없는 문서)" href="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Robert_MacLennan&action=edit&redlink=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Robert MacLennan</font></u></a> 녹음. 1:20</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a title="일본" href="http://ko.wikipedia.org/wiki/%EC%9D%BC%EB%B3%B8"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일본</font></u></a>, shakuhachi, 〈Tsuru No Sugomori(‘학 둥지’)〉 performed by <a class="new" title="Goro Yamaguchi (없는 문서)" href="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Goro_Yamaguchi&action=edit&redlink=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Goro Yamaguchi</font></u></a>. 4:51</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바흐, <a title="바이올린" href="http://ko.wikipedia.org/wiki/%EB%B0%94%EC%9D%B4%EC%98%AC%EB%A6%B0"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바이올린</font></u></a>을 위한 파르티타 제3번 마 장조 가운데 〈Gavotte en rondeaux〉, <a class="new" title="아르튀르 그루미오 (없는 문서)" href="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5%84%EB%A5%B4%ED%8A%80%EB%A5%B4_%EA%B7%B8%EB%A3%A8%EB%AF%B8%EC%98%A4&action=edit&redlink=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아르튀르 그루미오</font></u></a> 연주. 2:55</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a title="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href="http://ko.wikipedia.org/wiki/%EB%B3%BC%ED%94%84%EA%B0%95_%EC%95%84%EB%A7%88%EB%8D%B0%EC%9A%B0%EC%8A%A4_%EB%AA%A8%EC%B0%A8%EB%A5%B4%ED%8A%B8"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모차르트</font></u></a>, 《<a class="mw-redirect" title="마술 피리" href="http://ko.wikipedia.org/wiki/%EB%A7%88%EC%88%A0_%ED%94%BC%EB%A6%AC"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마술 피리</font></u></a>》 가운데 제14곡〈밤의 여왕의 아리아〉. 소프라노 Edda Moser. Bavarian State Opera, 뮌헨, Wolfgang Sawallisch 지휘. 2:55</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a class="mw-redirect" title="그루지야" href="http://ko.wikipedia.org/wiki/%EA%B7%B8%EB%A3%A8%EC%A7%80%EC%95%BC"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그루지야</font></u></a> S.S.R., chorus, 〈Tchakrulo〉, collected by Radio Moscow. 2:18</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a title="페루" href="http://ko.wikipedia.org/wiki/%ED%8E%98%EB%A3%A8"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페루</font></u></a>, panpipes and drum, collected by <a class="new" title="Casa de la Cultura (없는 문서)" href="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Casa_de_la_Cultura&action=edit&redlink=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Casa de la Cultura</font></u></a>, <a title="리마" href="http://ko.wikipedia.org/wiki/%EB%A6%AC%EB%A7%88"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리마</font></u></a>. 0:52</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Melancholy Blues〉, <a title="루이 암스트롱" href="http://ko.wikipedia.org/wiki/%EB%A3%A8%EC%9D%B4_%EC%95%94%EC%8A%A4%ED%8A%B8%EB%A1%B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루이 암스트롱</font></u></a>과 Hot Seven 연주. 3:05</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a title="아제르바이잔" href="http://ko.wikipedia.org/wiki/%EC%95%84%EC%A0%9C%EB%A5%B4%EB%B0%94%EC%9D%B4%EC%9E%94"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아제르바이잔</font></u></a> S.S.R., bagpipes, recorded by Radio Moscow. 2:30</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a class="mw-redirect" title="이고르 스트라빈스키" href="http://ko.wikipedia.org/wiki/%EC%9D%B4%EA%B3%A0%EB%A5%B4_%EC%8A%A4%ED%8A%B8%EB%9D%BC%EB%B9%88%EC%8A%A4%ED%82%A4"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스트라빈스키</font></u></a>, 《<a title="봄의 제전" href="http://ko.wikipedia.org/wiki/%EB%B4%84%EC%9D%98_%EC%A0%9C%EC%A0%84"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봄의 제전</font></u></a>》 가운데 〈희생의 춤〉, Columbia Symphony Orchestra,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지휘. 4:35</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바흐, <a title="평균율 클라비어곡집" href="http://ko.wikipedia.org/wiki/%ED%8F%89%EA%B7%A0%EC%9C%A8_%ED%81%B4%EB%9D%BC%EB%B9%84%EC%96%B4%EA%B3%A1%EC%A7%9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평균율 클라비어곡집</font></u></a> 제2권 중 제1곡 전주곡과 푸가 다 장조. 피아노 <a title="글렌 굴드" href="http://ko.wikipedia.org/wiki/%EA%B8%80%EB%A0%8C_%EA%B5%B4%EB%93%9C"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글렌 굴드</font></u></a>. 4:48</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a title="루트비히 판 베토벤" href="http://ko.wikipedia.org/wiki/%EB%A3%A8%ED%8A%B8%EB%B9%84%ED%9E%88_%ED%8C%90_%EB%B2%A0%ED%86%A0%EB%B2%A4"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베토벤</font></u></a>, 《<a class="new" title="제5번 교향곡 (베토벤) (없는 문서)" href="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A0%9C5%EB%B2%88_%EA%B5%90%ED%96%A5%EA%B3%A1_(%EB%B2%A0%ED%86%A0%EB%B2%A4)&action=edit&redlink=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제5번 교향곡</font></u></a>》 1악장. Philharmonia Orchestra, <a title="오토 클렘퍼러" href="http://ko.wikipedia.org/wiki/%EC%98%A4%ED%86%A0_%ED%81%B4%EB%A0%98%ED%8D%BC%EB%9F%AC"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오토 클렘퍼러</font></u></a> 지휘. 7:20</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a title="불가리아" href="http://ko.wikipedia.org/wiki/%EB%B6%88%EA%B0%80%EB%A6%AC%EC%95%84"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불가리아</font></u></a>, 〈Izlel je Delyo Hagdutin〉, Valya Balkanska 노래. 4:59</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a class="mw-redirect" title="나바호" href="http://ko.wikipedia.org/wiki/%EB%82%98%EB%B0%94%ED%98%B8"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나바호</font></u></a> 원주민, Night Chant, Willard Rhodes 녹음. 0:57</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a class="new" title="Holborne (없는 문서)" href="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Holborne&action=edit&redlink=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Holborne</font></u></a>, <a class="new" title="Paueans (없는 문서)" href="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Paueans&action=edit&redlink=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Paueans</font></u></a>, <a class="new" title="Galliard (없는 문서)" href="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Galliard&action=edit&redlink=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Galliards</font></u></a>, <a class="new" title="Almains (없는 문서)" href="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Almains&action=edit&redlink=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Almains</font></u></a> and Other Short Aeirs, 〈The Fairie Round〉, performed by <a class="new" title="David Munrow (없는 문서)" href="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David_Munrow&action=edit&redlink=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David Munrow</font></u></a> and the <a class="new" title="Early Music Consort of London (없는 문서)" href="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Early_Music_Consort_of_London&action=edit&redlink=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Early Music Consort of London</font></u></a>. 1:17</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a title="솔로몬 제도" href="http://ko.wikipedia.org/wiki/%EC%86%94%EB%A1%9C%EB%AA%AC_%EC%A0%9C%EB%8F%84"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솔로몬 제도</font></u></a>, panpipes, collected by the <a class="new" title="Solomon Islands Broadcasting Service (없는 문서)" href="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Solomon_Islands_Broadcasting_Service&action=edit&redlink=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Solomon Islands Broadcasting Service</font></u></a>. 1:12</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페루, wedding song, John Cohen 녹음. 0:38</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a title="중국" href="http://ko.wikipedia.org/wiki/%EC%A4%91%EA%B5%AD"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중국</font></u></a>, <a title="고금" href="http://ko.wikipedia.org/wiki/%EA%B3%A0%EA%B8%88"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고금</font></u></a>, 〈Flowing Streams〉, Kuan P'ing-hu 연주. 7:37</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a title="인도" href="http://ko.wikipedia.org/wiki/%EC%9D%B8%EB%8F%84"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인도</font></u></a>, <a class="new" title="Raga (없는 문서)" href="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Raga&action=edit&redlink=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raga</font></u></a>, 〈Jaat Kahan Ho〉, <a class="new" title="Surashri Kesarbai Kerkar (없는 문서)" href="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Surashri_Kesarbai_Kerkar&action=edit&redlink=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Surshri Kesar Bai Kerkar</font></u></a> 노래. 3:30</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Dark Was the Night〉, written and performed by <a class="new" title="Blind Willie Johnson (없는 문서)" href="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Blind_Willie_Johnson&action=edit&redlink=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Blind Willie Johnson</font></u></a>. 3:15</font></li> <li style="margin:0px;padding:0px;list-style:inherit;"><font size="2">베토벤, <a title="현악 사중주" href="http://ko.wikipedia.org/wiki/%ED%98%84%EC%95%85_%EC%82%AC%EC%A4%91%EC%A3%BC"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현악 사중주</font></u></a> 제13번 내림 나 장조, 작품번호 130, Cavatina, <a class="new" title="부다페스트 현악 사중주단 (없는 문서)" href="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EB%B6%80%EB%8B%A4%ED%8E%98%EC%8A%A4%ED%8A%B8_%ED%98%84%EC%95%85_%EC%82%AC%EC%A4%91%EC%A3%BC%EB%8B%A8&action=edit&redlink=1"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u><font color="#0066cc">부다페스트 현악 사중주단</font></u></a> 연주. 6:37</font></li></ul><p class="바탕글"><br></p> <p class="바탕글"><br></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size="2"> 재생 플레이어도 함께 탑재되어 있어서, 외계인에게 어느 정도의 지능과 이해력이 있다면 직접 재생시킬 수 있을 거라 믿는다고 한다.</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face="맑은 고딕" size="4"><b> 2) 아레시보 전파 망원경에서 우주로 보낸 최초의 신호</b></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font></p> <div style="text-align:center;"><font size="2"><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3/14271885339pYLBgn3ywky1F7nbgRTk.gif" width="454" height="749" alt="decoded.gif" style="border:none;"></font></div><font size="2"><br></font> <p></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size="2">1974년 11월 16일 푸에르트리코에 위치한 아레시보 천문대에서 외계로 일정 기간 동안 메세지를 보낸 적이 있다.</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푸에르트리코에 있는 아레시보 천문대의 전파 망원경은 산악 지대의 움푹 팬 곳을 이용한 지름이 300m인 고정구면경이 있는데, 다른</font><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 전파 망원경에 비해 전파를 모으는 넓이가 매우 넓고, 강한 전력으로 전파를 발사하여 레이더 관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br></span></p> <p class="바탕글"><font size="2">이를 이용해 1974년, 헤르쿨레스자리의 구상성단 M13을 향하여 인류로부터의 메세지가 송신되었다.</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1679개의 점멸(2진법)신호의 문자열로 수학적 사고를 하는 외계인이라면 분명히 그려낼 수 있다고 판단하여 만든 이 신호의 내용은,</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 face="맑은 고딕"><i><br></i></font></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size="2" face="맑은 고딕"><i>1부터 10 까지의 이진수.</i></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 face="맑은 고딕"><i>필수 원소의 원자번호.</i></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 face="맑은 고딕"><i>생명에 중요한 분자의 화학적 형성.</i></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 face="맑은 고딕"><i>DNA 분자: 이중나선 그리고 인간유전자의 기초적인 2쌍의 수.</i></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 face="맑은 고딕"><i>세계 인구수.</i></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 face="맑은 고딕"><i>인간의 모습.</i></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 face="맑은 고딕"><i>인간의 몸무게.</i></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 face="맑은 고딕"><i>태양계.</i></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 face="맑은 고딕"><i>아레시보 망원경.</i></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 face="맑은 고딕"><i>망원경의 직경.</i></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size="2">이라고 한다.</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face="맑은 고딕" size="4"><b>3) 파이어니어 10호</b></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font></p> <div style="text-align:center;"><font size="2"><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3/1427188672jtnc6xetSQM.jpg" width="727" height="487" alt="a3_intel007.jpg" style="border:none;"></font></div> <p></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size="2">파이어니어 10호(Pioneer 10)는 1972년 3월 3일 발사되어, 처음으로 소행성대를 탐사하고 목성을 관찰한 우주선이다. </font><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1973년 12월 3일 목성에 접근하여 사진을 전송하였다. </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br></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1983년 6월 13일 해왕성의 궤도를 통과했다. 명왕성의 궤도이심률이 커, 당시에는 해왕성이 태양계의 가장 바깥 행성이었다. 정의에 따라서는 파이어니어 10호는 태양계를 벗어난 첫 우주선으로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아직 오르트 구름을 벗어나지는 못 했다.</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br></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span></p>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3/1427188741a1zTqnaI8x2DVWFD8ibkZy5MSh9BUE.jpg" width="466" height="597" alt="a4_intel007.jpg" style="border:none;"></div><br><p></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size="2">파이어니어 10호와 파이어니어 11호에는 인류가 외계의 지성체에게 보내는 메시지가 담긴 금속판이 함께 실려져 있다.</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size="2">금속판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font></p> <div style="text-align:center;"><font size="2"><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3/1427188782gPrzNHbK2lq.jpg" width="512" height="445" alt="14324_1_2.jpg" style="border:none;"></font></div> <p class="바탕글" style="text-align:left;"><font size="2" face="맑은 고딕"><br></font></p> <p class="바탕글" style="text-align:left;"><font size="2" face="맑은 고딕">- 좌측 위 : 수소원자 2개가 결합하여 수소원자가 되었다는 설명을 보여주는 것이며, </font></p> <p class="바탕글" style="text-align:left;"><font size="2" face="맑은 고딕">              우리가 우주로 보내고 있는 메세지가 바로 수소에서 나오는 21cm파임을 설명</font></p> <p class="바탕글" style="text-align:left;"><font size="2" face="맑은 고딕">- 좌측 방사선 : 정보를 실은 2진법의 펄사가 지구로부터 송신되는 방향 표시.</font></p> <p class="바탕글" style="text-align:left;"><font size="2" face="맑은 고딕">- 하단 : 태양계 도식, 탐사선의 운행 방향.</font></p> <p class="바탕글" style="text-align:left;"><font size="2" face="맑은 고딕">- 우측 : 원반 안테나와 지구인 성인 남녀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비교.</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size="2">2003년 1월 23일 마지막 교신을 끝으로 파이어니어 10호는 통신이 두절되었다. 2006년 3월 4일, 최종 교신을 시도했으나 파이어니어 10호로부터 응답이 오지 않았다.</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size="2">파이어니어 10호는 파이어니어 계획의 10호기로서 1972년 3월 3일에 아틀라스-센타우르 로켓으로 발사되었다. 1973년 12월에 목성에서 약 13만 km 까지 최접근해 사진을 전송하였다. 1983년 6월 13일에는 해왕성의 궤도를 횡단했다.</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size="2">후에 보이저 1호가 기록을 갱신하기 전까지는, 파이어니어 10호는 인간이 만든 물체 중에서 지구로부터 가장 멀리 있었다. 보이저나 파이어니어 11호와는 정반대의 방향을 향하고 있고, 태양계의 진행 방향과는 역방향이다. 2009년 1</font><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0월 시점에서는 태양으로부터 99.339 AU 의 지점에 있다고 추측되고 있다[1]. 파이어니어 10호는 알데바란이 있는 방향으로 비행을 계속하고 있지만, 알데바란에 도착한다고 해도 약 200만 년이 걸린다고 추측된다. 또, 발사로부터 약 30년간에 걸쳐 데이터의 전송이 확인되었지만, 2003년 1월 23일의 송신을 마지막으로 교신은 끊어졌다. 송신 확인은 2006년 3월 4일의 시도를 마지막으로 중지되어 이 날이 운용이 종료된 날이 되었다.</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br></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br></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br></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face="맑은 고딕" size="4"><b>4) 드레이크 방정식</b></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 1961년 그린뱅크 미팅의 의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드레이크 박사에 의해 고안된 이 방정식은 우리 은하에서 우리와 교신할 수 있는 지</font><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적 생명체의 숫자를 찾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천문학, 물리학, 화학뿐만 아니라 사회학과 인류학 등 제반 분야의 업적을 반영하고 있다.</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br></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size="2"> 1960년대에 방정식을 최초로 고안한 프랭크 드레이크 박사의 이름이 붙었다. 그린 뱅크 방정식(Green Bank equation) 또는 세이건 방정식(Sagan equation)이라고도 한다. 드레이크 방정식은 페르미 역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size="2">방정식이라고 한다면 그 해를 쉽사리 구하기 위한 공식이라고 다들 생각한다. 하지만 드레이크 </font><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방정식은 그런 방정식의 일반적인 개념과는 다르다. 드레이크의 방정식은 해를 구하는 것이 목적이라기 보다는 앞으로 외계 생명체를 어떻게 조우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적인 논의를 촉발시킨 방정식이다. 이 넓은 우주에 인간과 비슷한 지적인 생명체가 존재하는지, 만약 존재한다면 얼마만큼의 확률로 존재할 것인지, 또 인류와 조우하게 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SETI프로그램이라는 프로젝트에 의해서 지금도 진행 중이고, 그 효용성에 대해 논란이 많은 분야이다.</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br></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p> <p class="바탕글"><font size="2">드레이크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size="2" face="맑은 고딕"><b>N = R* × fp × ne × fl × fi × fc × L</b></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p> <p class="바탕글"><font size="2" face="맑은 고딕">N은 은하계에 존재하는 지적생명체(문명)의 숫자.</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 face="맑은 고딕">R*은 지적 생명체가 탄생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 항성이 생겨날 비율.</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 face="맑은 고딕">fp는 그 항성이 행성계를 거느릴 비율.</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 face="맑은 고딕">ne는 그 행성계가 생명에 적합한 환경을 가진 행성을 가질 비율.</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 face="맑은 고딕">fl은 그 행성에서 실제로 생명체가 발생할 확률.</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 face="맑은 고딕">fi는 그 생명체가 지적 능력을 가지게 될 확률.</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 face="맑은 고딕">fc는 그 지적 생명체가 다른 천체와 교신할 수 있는 기술 문명을 보유하게 될 확률.</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 face="맑은 고딕">L은 그 문명이 탐사가능한 상태로 존재하는 시간.</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p> <p class="바탕글"><font size="2">드레이크의 방정식을 보면 금방 알 수 있는 것이지만 N을 구하기 위한 우항의 어떤 항목도 쉽사리 그 숫자를 예측하기 힘들고</font><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 누군가 각항의 숫자를 제안한다고 하더라도 검증은 시도조차 할 수 없는 항목들로 나열되어 있다. 각 항에 대한 논의는 탐사나 관찰에 의한 결론이 될 수도, 단순히 직관적인 예측이 될 수도, 심지어 어떤 철학적 논의까지 불어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 </span><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과학자들이 내놓은 각 항의 값은 수 </span><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천 또는 수 만 단위의 차이를 보이는 것은 예사였기 때문에, 드레이크 자신도 그 결과 값을 좁힌다고 나름 노력하긴 했지만 은하계 내에 존재할 </span><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걸로 예상되는 문명의 숫자를 1만에서 천만 정도로 예상을 했다. 하지만 드레이크가 예상한 그 값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실제로 우주의 다른 문명을 적시하고 외계 문명에 대한 모든 논의를 촉발시켰다는데서 드레이크 방정식은 의의가 있는 것이다.</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br></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br></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br></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br></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size="2">대충 아실 분들은 아시겠지만...... 미드 빅뱅 이론에서도 자주 나오는 내용들이고.... 비 이공계 사람들에게는 </font><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이건 미친 소리야! </span><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난 여기서 나가야겠어!! 이건 모두 당신들 과학자들 때문아야!!! 으아아아~~~~~</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br></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size="2">같은 소리로 밖에 안 들리고 이해하기도 좀 힘든 건 압니다.... 압니다만</font></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 어렵고 개소리 같은 SF 소설 속 이야기 같지만, 그래도 무작정 외계인은 없어! 하고 노력도 하지 않는 것보다는 </font><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미지의 무언가를 알기 </span><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위해 사람이 이 정도 노력은 하고 있다.... 라는 것을 알려드리기 위해... 혹은 이런 걸 했다는 실제 내용을 소개하기 위해 </span><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이렇게 글을 남깁니다.</span></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미스터리로 구분하긴 했지만.... 괴게와 취지가 맞는지는 잘 모르겠네요.</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 </p> <p class="바탕글"><font size="2">아무튼 재미있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font></p> <p class="바탕글"><br></p> <p class="바탕글"><br></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br></font></p> <p class="바탕글"><font size="2">출처 : 루리웹 칼 리토 님(<a target="_blank" href="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community/327/read?articleId=17318010&bbsId=G005&searchKey=daumname&itemId=145&sortKey=depth&searchValue=%EC%B9%BC+%EB%A6%AC%EC%BD%94&pageIndex=1" target="_blank">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community/327/read?articleId=17318010&bbsId=G005&searchKey=daumname&itemId=145&sortKey=depth&searchValue=%EC%B9%BC+%EB%A6%AC%EC%BD%94&pageIndex=1</a><span style="line-height:1.5;">)</span></font></p></div>
    헨리죠지의 꼬릿말입니다
    추적당하고 직접적인 위협을 받는다고 해서 희생자는 아니다. 
    정확한 의미를 파악할 수 없는 사건에 놓였을 때, 현실이 덫이 되었을 때, 일상생활이 뒤집혀질 때에야 비로소 희생자가 되는 것이다. 진실을 찾아 나서지만 실패하기 때문에, 자신이 찾은 진실이 진정한 사실이 아니기 때문에, 그 밖의 여러 이유 때문에, 이성적으로 생각하면 할수록 더욱 더 혼란에 빠지기 때문에 그는 희생자가 되는 것이다.

    스릴러가 슬퍼지면 독자들은 빠져 나오기 어렵다. 나는 그렇게 믿는다.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03/24 18:48:56  223.62.***.49  잉여측정공식  121241
    [2] 2015/03/24 18:50:03  119.198.***.93  blzen  66166
    [3] 2015/03/24 19:02:11  59.13.***.196  아우스2  523802
    [4] 2015/03/24 19:04:20  211.253.***.194  aiidyn  440003
    [5] 2015/03/24 19:23:49  175.113.***.181  자일리톨요정  68740
    [6] 2015/03/24 19:30:03  112.146.***.9  리시타  393119
    [7] 2015/03/24 20:06:24  220.89.***.125  심리조련사  452958
    [8] 2015/03/24 20:14:06  223.62.***.46  pongpongpong  396955
    [9] 2015/03/24 21:01:28  112.166.***.53  루씨  505015
    [10] 2015/03/24 21:09:16  180.68.***.170  리아사쿠라이  119396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베스트예감
    현재 게시판의 최근 200개의 게시물 중 추천수 5 이상의 게시물 추천수가 높은 순으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915
    최근 급속히 진행되는 연구: 인류의 조상 변화 [117] 동물의피 15/05/12 11:43 10212 59
    5926
    [환상특급]인간을 대접하기 위해서...[스포주의] [13] 동물의피 15/05/13 14:18 10669 47
    5898
    스르륵 난민임당.... [15] Johnnewbie 15/05/11 01:31 4022 38
    5918
    [환상특급]시간의 구성[스포주의] [19] 동물의피 15/05/12 12:29 9317 38
    5925
    [환상특급]행복한 하루[스포주의] [10] 동물의피 15/05/13 14:16 7663 36
    5896
    (미게 고함) 물들어 올때 우리도 영업 좀 하고 삽시다 -_- [44] 아우스2 15/05/10 21:32 3003 33
    5931
    안녕하세요.. SLR에서 넘어 왔습니다.. [16] 고소한호빵맨 15/05/13 21:32 3242 33
    5767
    죄송합니다 한번만 베스트로 올려주세요 다른게시판분들 한번씩만 읽어주세요 [13] 통닭실종사건 15/04/06 10:18 4319 29
    5917
    [환상특급]출구를 찾는 다섯 사람들[스포주의] [15] 동물의피 15/05/12 12:11 7646 28
    5916
    [환상특급]악마 아저씨 쇼[스포주의] [7] 동물의피 15/05/12 11:57 9242 26
    5798
    The Hollow(속이 빈, 음푹꺼진) Earth(지구) [12] 마포이동갈비 15/04/17 12:56 8429 24
    5776
    [약혐] 세상에서 일어나는 15가지 역겨운 일들.txt [28] dfjhsdgsd 15/04/08 21:10 18542 23
    5903
    스르륵 이민문의요,,,마이너한 이미지라,,,여기가 맞는듯,,,;; [55] 세요오빠 15/05/11 16:25 3634 22
    5762
    땅속 지하도시 [BGM] [16] 햄물 15/04/04 09:43 10453 21
    5919
    스르륵에서는 까였던건데 오유 분들이 한번 더 봐주세요... [95] 우리자게했어 15/05/12 13:16 6012 21
    5807
    [BGM] 10만년된 플러그가 박혀있는 돌?? [10] 마포이동갈비 15/04/18 15:07 9511 20
    5873
    [BGM/펌] 복원도가 수정된 고생물들 [31] 헨리죠지 15/05/03 11:37 14068 20
    5907
    안녕하세요 물론 스르륵에서 넘어왔습니다 [17] 혼자삽니다 15/05/11 20:24 2677 19
    5809
    [BGM/펌] 후쿠시마 정화조 의문사 사건 [12] 헨리죠지 15/04/18 22:59 7354 19
    5881
    [BGM] 정체불명의 전파 '페리톤' [9] HeavyBullet 15/05/07 16:56 6530 19
    5758
    중국 무지개산 [16] 햄물 15/04/02 18:43 10450 17
    5797
    [BGM] 전 세계 피라미드 [12] 마포이동갈비 15/04/17 11:30 7494 17/6
    5836
    [BGM/약스압/펌] 토네이도들을 소개합니다. [9] 헨리죠지 15/04/26 12:00 4660 17
    5862
    [펌] 폭포 구경갔다가 화산 폭발 [14] 헨리죠지 15/04/30 22:16 9007 17
    5912
    스르륵 망명왔어요~ 사진은 하나만.. [11] antizero 15/05/11 23:45 3497 17
    5785
    400년전 무덤에서 '소형 스위스 시계' 발견 [23] 닉반엑셀 15/04/12 01:02 10855 16
    5823
    [BGM] 러시아 최대 미스터리 퉁구스카 대폭발 [23] 健二 15/04/22 11:31 7870 16
    5828
    emdrive 근황 [32] 딸기밀큐 15/04/23 18:52 6853 16
    5875
    [BGM/펌] 티라노 사우루스에 대해 퍼진 잘못된 정보 [53] 헨리죠지 15/05/04 15:45 7990 16
    5756
    왼손 새끼 손가락 마디가 4개입니다. [57] 귀족금어초 15/04/01 10:23 15373 15
    [◀이전10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