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삶을 살아내는 것조차 힘든 순간들이 있다.</p> <p>언덕을 올라 한 구석탱이에서 몸을 누이고 싶지만, </p> <p>야속한 중력이 몸뚱이를 끌어내리려는데</p> <p>그것을 사투할</p> <p>자동차를 굴릴 돈도, 택시를 탈 돈도, 버스를 탈 돈이 없어</p> <p>생존을 가속할 수도없이, 가속만이 상류층으로 올라설 수 있는 시대의 억울한 낮은 위치에서,</p> <p>그 마저도 국민을 신용점수화하여 관리하는 나라에서,</p> <p>그 어떤 기회조차도 저당 잡힌채</p> <p>삶을 마감해야하는 순간들이 있다.</p> <p>얇은 퇴직 권고서 한 장 받기 위해 몸과 마음을 바쳐도 </p> <p>생존을 응원받을 수 없는 사회에서</p> <p>우리는 어떠한 희망을 가져야 하는가?</p> <p>그리고</p> <p>어떠한 사회는 우리 개인의 삶을 인정해주고 응원해줄 것인가?</p> <p>이러한 주제의 사회를 우리는 건설할 수 있는가?</p> <p>우리는 어떠한 사회 건설을 위한 담론을 주고 받고는 있는가?</p> <p>개인의 역할만 하고 죽음을 받아들이는 사회인가?</p> <p>굳이 개인은 사회를 위해 삶을 헌납해야하는가?</p> <p> </p> <p>개인의 삶은 사회와 함께 할 수 밖에 없다. </p> <p>왜냐하면 사회는 개인을 계속 밀어내려고 하는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p> <p>모든 개인을 담을 수 있는 사회는 없으며</p> <p>사회에 속하고자 하는 개인은 그 사회의 시스템을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p> <p>미쉘 푸코의 권력관계에 대한 인사이트는 사회 권력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개인이 존재한다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p> <p>이것은 매우 현실에서 자주 확인할 수 있으며, 정치적으로도 해석되고 개인들도 이미 그렇게 살고 있다.</p> <p><br></p> <p>(사회는 개인에 대항하는 시스템과 힘을 가질 수 밖에 없으며</p> <p>개인은 사회를 이길 수 있기에는 너무나 힘이 약하다.</p> <p>이런 상황에서 개인은 시스템화되어 있는, 고정적인 권력에 대하여 개인의 요동이라는 행위로 존재를 증명한다.</p> <p>국가가 개인을 통제하려 할때 개인은 그 국가를 떠날 수 있으며, 대항할수도 있고, 조직된 힘을 보여줄 수도 있다.)</p> <p> </p> <p>**</p> <p>자본주의 사회는, 특히 신 자본주의 사회는 개인들의 능력을 철저히 활용하고 있다.</p> <p>자본이 없는 개인은 그 사회에서 생존하기 힘들기 때문이다.</p> <p>젊은이들은 개인의 비전과 능력으로 존재감을 드러내고 싶어하지만, </p> <p>고도화된 기득권 구조들은 젊은이들을 인턴으로 머물게 하며 "사회 초년생" 증명서를 발급해준다</p> <p>물론 그들의 능력을 10분 활용해먹기도 한다.</p> <p>즉 사회의 구성원으로써 역할을 기대하기보다 한자리를 주고 기간안에 능력을 취하고나서는 보증서를 끊어주고 관계를 끝낸다.</p> <p>한국도 그렇지만, 자본주의의 정도가 심한 나라일 수록 이 시스템은 공고하다.</p> <p> </p> <p>인간이라는 동물적 에너지 소비 구조에따라, 즉 인간은 에너지를 생산해낼 수 없는 존재다.</p> <p>에너지 소비체인 인간은 사회를 구성할 수 밖에 없고 혼자서는 존재하기가 쉽지 않다.</p> <p>많은 물자가 필요하며, 그 물자역시 혼자서 개발하기는 쉽지 않다.</p> <p>구성되는 사회에서는 어떻게 존재해야하는가?</p> <p>이 물자들의 개인 삶에 지원을 사회 시스템은 자본주의와 공산주의라는 위대한 약속들을 </p> <p>마치 실현될 수 있을 것처럼 이야기 한 시기가 <span style="font-family:'Pretendard Variable', Pretendard, '-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ystem-ui', Roboto, 'Helvetica Neue', 'Segoe UI', 'Apple SD Gothic Neo', 'Noto Sans KR', 'Malgun Gothic', 'Apple Color Emoji', 'Segoe UI Emoji', 'Segoe UI Symbol', sans-serif;">19세기와 20세기였다면, </span></p> <p>20세기와 21세기는 그 약속들이 증명되는 과정이었다.</p> <p>두 개의 약속 모두가 한계성을 드러냈고, 특히 자본주의는 빚과 이자를 재발행함므로써 개인에게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p> <p> </p> <p>***</p> <p>이러한 흐름에서 개인은 어떻게 존재해야하는가? </p> <p>답이 없어보이는 사회에서 개인의 존재는 생존할 수 있는가?</p> <p> </p> <p>먼저, 개인은 개인의 존재의 당위성을 생각할 수 있어야한다.</p> <p>개인의 존재를 무너뜨리는 자본론 기반의 사회에서 어떻게 자신의 존재를 스스로 받아들일지 고민해야한다.</p> <p>이 고민이 없이는 사회가 이야기하는 계급의, 종교의, 자본의 시스템 속에 속박당할 뿐이다.</p> <p><span style="font-family:'Pretendard Variable', Pretendard, '-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ystem-ui', Roboto, 'Helvetica Neue', 'Segoe UI', 'Apple SD Gothic Neo', 'Noto Sans KR', 'Malgun Gothic', 'Apple Color Emoji', 'Segoe UI Emoji', 'Segoe UI Symbol', sans-serif;">개인이 존립할수 있어야 사회가 존재할 수 있기에, </span>사회가 의무로 책정하는 교육이라는 것은 이 고민을 도울 수 있어야 하며. <span style="font-family:'Pretendard Variable', Pretendard, '-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ystem-ui', Roboto, 'Helvetica Neue', 'Segoe UI', 'Apple SD Gothic Neo', 'Noto Sans KR', 'Malgun Gothic', 'Apple Color Emoji', 'Segoe UI Emoji', 'Segoe UI Symbol', sans-serif;">개인의 능력을 착취하는 교육이 되어서는 안된다.</span></p> <p><span style="font-family:'Pretendard Variable', Pretendard, '-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ystem-ui', Roboto, 'Helvetica Neue', 'Segoe UI', 'Apple SD Gothic Neo', 'Noto Sans KR', 'Malgun Gothic', 'Apple Color Emoji', 'Segoe UI Emoji', 'Segoe UI Symbol', sans-serif;">개인 존재에 대한 고민에 대해 데리다는 이항대립이라는 도구를 제시하였고, </span></p> <p>개인 존재에 대한 개념을 만드는 것에 큰 도움을 주는 것은 수많은 철학 사고실험으로 증명되었다.</p> <p> </p> <p>그리고 개인 존재의 당위성은 또한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의 관계에서도 존재할 수 있어야한다.</p> <p>여기서 관계들에 대해서 좋다, 나쁘다라는 태도를 가질수록 사회 관계성은 빠르게 이념화되며, 적을 만드는 도구가 된다.</p> <p>즉, 관계 사이에서 개인의 존재성은 사회를 받아들이거나 바라보는 것에 넓은 그릇이 될 수 있어야 한다. </p> <p>질 들뢰즈는 수많은 존재들과 사회에 식물의 뿌리가 수평으로 퍼지는 듯한 "리좀" 개념을 제시하였고, </p> <p>다양한 관계성에게서 존재성을 위치할 수 있게하는 깨달음을 주고 있다.</p> <p>여기서 양비론은 이 개개인의 리좀을 갉아먹는 도구가 되며, </p> <p>극단주의가 심한사회는 개인의 존재를 부정하는 사회가 되게된다.</p> <p>즉 건강한 사회는 다양한 존재를 받아들이는 넓은 그릇을의 사회라고 말할 수 있다.</p> <p>사회 역시 리좀의 토대위에서 발전되어 나가는 것이다.</p> <p> </p> <p>마지막으로 이러한 사회 자체가 사회가 가진 한계성을 벗을 수 있어야 한다.</p> <p>그래야 개인의 존재는 멈추어진 존재, 즉 시스템에 순응만 한 존재가 아닌</p> <p>혁신같은 성격의 것을 이끄는 주체적 존재가 되는 것이다.</p> <p>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는 사회가 되어야 개인의 삶은 고정되지 않고 부품화되지 않는다.</p> <p>미쉘푸코는 개인과 권력의 구조와 사회의 구조에 대한 분석을 통해</p> <p>사화의 변화를 지속해서 요구하고 사회를 발전시키는 "새로운 고대인"의 역할을 개인에게 주문하였다.</p> <p><br></p> <p>생존은 단순한 것이 아니고</p> <p>넓은 시야를 가져야만 개인의 자본을 들었다놨다하는 이 시대에,</p> <p>민주주의가 위협받으며 하나의 독재 부품으로 전락하는 시기에,</p> <p>다시 한번 개인의 "존재"와 "실존"이 스스로에게서도 요구되는 이 시기에,</p> <p>이러한 논의가 잘 요약된 치바 마사이의 "현대 사상 입문"이라는 책을 추천핟다.</p>
댓글 분란 또는 분쟁 때문에 전체 댓글이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