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게시판 |
베스트 |
|
유머 |
|
이야기 |
|
이슈 |
|
생활 |
|
취미 |
|
학술 |
|
방송연예 |
|
방송프로그램 |
|
디지털 |
|
스포츠 |
|
야구팀 |
|
게임1 |
|
게임2 |
|
기타 |
|
운영 |
|
임시게시판 |
|
옵션 |
|
맥아더 장군과 인천상륙작전
미국의 맥아더 장군은 미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장군입니다.
1950년 6월 25일에 일어난 한국전쟁(6.25 War)이 있습니다.
한국전쟁에서 가장 중요한 작전이 '인천상륙작전'입니다.
인천상륙작전을 제안하고 지휘한 장군이 맥아더 장군입니다.
인천상륙작전은 '성동격서' (聲東擊西)의 병법을 활용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성동격서'는 동쪽으로 소리를 내고 서쪽으로 공격한다는 병법입니다.
병법 삼십육계 중 제 6계입니다.
성(聲) 소리, 성악
동(東) 동쪽
격(擊) 공격하다
서(西) 서쪽
'성동격서'에서 '동'과 '서'의 방향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미끼'와 '이익'이라는 의미가 중요합니다.
'성동격서'와 '양동작전'의 차이를 이해해야 합니다.
'양동작전'은 두 곳을 동시에 공격하는 것입니다.
병력이 충분해야 가능합니다.
'성동격서'는 주력 공격을 한 곳만합니다.
병력이 부족하다는 의미입니다.
'동'은 유인하는 역할입니다. (미끼)
'서'는 '실제 공격하는 곳' 또는 '얻고 싶은 이익'을 말합니다.
목표지 설정
참모들이 추천한 상륙지는 '군산'
적군의 방어병 주둔 가능성 있음
인천상륙작전에서 '미끼'는 '삼척', '목표지'는 '인천' 지역입니다.
실제 작전에서 미끼 역할 지역은 여러 곳이었습니다. (혼란 작전)
메인 미끼는 '삼척'이며, 근처에 추가적인 유인작전까지 있습니다.
38선 위쪽은 전쟁 전 적군지역이므로, 전략상 어려움
전략상 가능한 최대 북쪽을 작전지역으로 설정
인천상륙작전은 극심한 반대를 받음
=====================================
실제 작전
동쪽 포격지 (삼척) :
미군의 동해안 삼척해안 포격 (9월 14일 ~ 15일)
동해안이 상륙작전에 유리
상륙작전이후 주변 진출이 어려움 (산악지역)
서쪽 공격지 (인천) :
인천 상륙 (9월 15일)
조수 간만의 차(潮差)가 커서 큰 배의 운용이 어려움
군함이 갯벌위에 방치되는 위험성
상륙 선발대는 최소 9시간 동안 지원 및 보급 불가
상륙작전 성공 후, 방어가 어려움
갯벌의 특성상 상륙보병의 움직임이 제한 됨
차량통행이 거의 불가능
어려운 상륙작전 성공 후, 주변 진출이 유리(평지지역, 수도 근처)
14일에 삼척을 포격하여, 인천 주변의 병력을 유인함
15일에 목표지 상륙 (인천)
당시 대부분의 병력은 차량이 없이 이동하는 시기 (인천으로 병력지원 불가)
상륙작전 성공 (아군 피해 222명 전사)
'성동격서' 및 기습 작전 성공
해안 초소 운용 부대 정도를 제압했을 것으로 예상 됨
인천항 점령 성공
월미도의 월미산 점령 성공
==================================
인천상륙작전의 세부 작전
2차에 걸친 상륙작전 감행
1차 상륙
06시 30분 (인천의 만조시간)
월미도의 고지를 점령 (월미산)
포병으로 항구점령 지원 가능
2치 상륙
약 12시간 후 (인천의 만조시간)
썰물시간을 피해서 상륙가능 시간
1차 상륙지의 좌우에 각각 상륙 (항구 및 지원로 )
1차 상륙지의 봉쇄를 풀기 위하여 근처 좌우에 상륙
방어를 위한 공격으로 보임
다음날 새벽에 보급할때까지 진영 유지 가능
인천 이외의 서해안 지역에서 양동작전하는 군병력
적군의 혼란을 유도
심리적 압박, 추가 상륙의 두려움
1차 상륙을 기습적으로 진행 (산지, 병목지역 점령)
2차 상륙부대는 1차 상륙대비 2배 규모
지형상 월미도로 인하여 상륙작전이 어렵다고 생각했음
월미도와 월미산의 지형을 이용하여 작전에 성공함
상륙작전의 성공 후, 적 공격부대 보급로 차단
3일만에 서울 수복
서울을 통과하지 않으면, 차량보급이 불가능한 환경
보급이 없는 부대는 실제로 포로가 될 수 밖에 없음
북한군 입장에서는 공격한 전 병력 소실이나 다음 없음
===============================
추가사항
재일학도의용군도 참전
일본에 거주하다가 자발적으로 참전
장사(포항 위쪽) 상륙작전 9월 15일
북한군입장에서는 수도 병력을 삼척에서 장사로 보내려는 준비를 했을 가능성
삼척으로 향하는 서울 병력은 장사쪽으로 이동하여 방어선 구축하려고 했을 것으로 보임.
북한군 입장에서 최선의 방어작전은 무엇일까?
월미도의 월미산을 점령하여, 최대한 방어하는 작전
북한군 수도에서 서울을 거쳐 지원병 기대 가능
인천항구 방어에 실패한 이후, 서울 북쪽 북한산을 요새화하여 방어전
인천상륙작전 핵심분석
북한군의 병력이 인천을 지원하지 못하게 하여, 인천항구를 점령한다.
상륙작전에서 월미도를 점령한다.
적군이 월미도로 진입하려면, 병목현상이 생기는 것을 이용한다.
월미산을 점령 후 고지전 방식을 취한다.
반대가 극심한 상륙작전이나 대성공한 작전
"평범함은 상대적이다."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